빌딩 숲 속 왕들의 안식처, 서울 선릉과 정릉

2023. 3. 3. 05:03바롱이의 쪽지/서울

반응형

"도심속 푸른 오아시스"

[사적 서울 선릉과 정릉 (서울 宣陵과 靖陵) Seolleung and Jeongneung Royal Tombs, Seoul]

선릉(宣陵)은 조선 9대 성종(1457~1494, 재위 1469~1494)과 세 번째 왕비 정현왕후 윤씨(1462~1530)의 능이다.

성종은 재위기간 동안 『경국대전』과 『대전속록』, 『국조오례의』를 완성하여 반포하였고, 선비들을 등용하여 기존의 훈구세력과 국정의 균형을 이루게 하였다. 정현왕후는 1473년(성종 4) 성종의 후궁이 되었고, 1480년(성종 11)에 왕비가 되었다. 선릉은 같은 능역에 하나의 정자각을 두고 서로 다른 언덕에 능을 조성한 동원이강릉(同原異岡陵)의 형태로 앞에서 봤을 때 서쪽 언덕이 성종, 동쪽 언덕이 정현왕후의 능이다.

정릉(靖陵)은 조선 11대 중종(1488~1544, 재위 1506~1544)의 능이다.

중종은 재위기간 동안 연산군 시절의 잘못된 정치와 제도를 바로 잡았고, 서적을 간행하여 인쇄 기술을 발전시켰다. 중종이 세상을 떠난 후 서삼릉에 있는 두 번째 왕비 장경왕후의 희릉 서쪽 언덕에 능을 조성하여 능의 이름을 정릉으로 바꿨으나, 1562년(명종 17) 세 번째 왕비 문정왕후가 장경왕후의 능(희릉)은 그대로 두고 중종의 능(정릉)만 현재의 자리로 옮겼다.

『선조실록』에 의하면 선릉과 정릉은 1592년 임진왜란 때 왜적들이 능을 파헤쳐 관까지 불에 타는 변을 당하여, 1593년(선조 26) 두 능을 다시 수리하고 장례를 치렀다.

[영문 설명]

Seolleung is the place where the graves of King Seongjong, the ninth king of Joseon, and his wife, Queen Jeonghyeon, are buried.

King Seongjong devoted his reign to realizing the ideal politics led by an authoritative king and stabilizing the politics of early Joseon by utilizing Confucianism as well as the academe. In Seolleung, the king's and queen's tombs are separated, forming different ridges. The left ridge, where the queen's grave is placed, does not have a stone screen behind. Other stone sculptures are arranged as in the king's tomb according to the book of national ritual guidance. The king's ridge has a twelve-sided stone-screen engraved with the twelve zodiac animal deities in a human body and the stone screen that used to be omitted according to King Sejo's will. Other stone sculptures such as those of the civil vassals stand outside the balustrade. The sculptures of the civil and military vassals look so real in terms of the face but do not have any cubic effect in the body.

This is Jeongneung where King Jungjong, the eleventh king of Joseon, is buried.

King Jungjong had striven to correct the wrong politics led by Prince Yeonsan but failed following the heated argument between the reformists and the loyalists. Originally, Jeongneung wa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tomb of King Jungjong's wife, Queen Janggyeong, but was moved to its current location at the advice of Queen Munjeong, King Jungjong's wife after Queen Janggyeong, i.e., the original location was inauspicious based on geomancy beliefs. Currently, the tomb is located at a very low-lying ground such that it requires special care during floods. The stone sculptures around the tomb were made after those in Seonneung, the tombs of King Seonjong and his wife. This is one of the three royal tombs where only the king without his wife is placed. The other two cases are that of King Taejo, the founding father of Joseon, and that of King Danjong, whose tomb was recognized as that of a king after he was unseated and kill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both tombs, Seolleung and Jeongneung, were severely damaged. The room for memorial service lies between two tombs and layers used for protection from submersion. Such structure constitutes one of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Jeongneung and Seonneung. Only related officers were allowed in the area of the royal tomb, but the Japanese colonial rule permitted the commoner to cultivate the low-lying ground and even that between two tombs. Due to the cultivation, those woods around the tombs were cut off. After the Korean War, the cultivation around the area by the commoner was accelerated, and farmland reform by the Korean government classified the area as a private farm.

As Seoul started expanding in 1960, the city launched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 in the 1970s, accelerating the transformation of the area of the royal tombs as a residential area.

출처:문화재청

선릉 성종대왕릉/선릉 정현왕후릉/정릉 중종대왕릉


"빌딩 숲 속 왕들의 안식처, 서울 선릉과 정릉"

반응형

"유네스코 세계유산 조선왕릉, 서울 선릉과 정릉"


[정릉 중종대왕릉]

정릉은 조선 11대 중종의 능이다. 단릉의 형식으로 왕 한분을 모신 능이다. 진입 및 제향공간에는 홍살문, 향로와 어로, 정자각, 비각이 배치되어 있다. 능침은 선릉과 같이 『국조오례의』를 따르고 있다. 석양과 석호의 전체적인 자세는 선릉과 비슷하면서도 세부적인 표현에 있어서는 조금 더 사실적인 묘사가 돋보인다. 문무석인은 높이가 3m가 넘을 정도로 큰 편이며, 얼굴의 퉁방울눈이 특이하며 코 부분이 훼손되고 검게 그을려 있어 정릉의 수난을 상기시켜 준다.

1544년(중종 29)에 중종이 세상을 떠나자 이듬해인 1545년에 두 번째 왕비 장경왕후 윤씨의 희릉 서쪽 언덕에 능을 조성하고 능호를 정릉(靖陵)이라 하였다. 그러나 17년 후인 1562년(명종 17)에 세 번째 왕비 문정왕후 윤씨에 의해서 중종의 능을 선릉 부근으로 천장하였다. 문정왕후는 봉은사 주지였던 보우와 논의하여, 중종의 능침이 풍수지리상 좋지 않으므로 선릉 동쪽 언덕이 풍수상 길지라 하여 천장한 것이었으나, 지대가 낮아 비가 오면 홍수 피해가 자주 있던 자리였다. 결국 중종과 함께 묻히기를 바랐던 문정왕후는 그 뜻을 이루지 못하고, 현재 태릉(泰陵)에 능을 조성하였다. 그 후 정릉은 임진왜란 때 선릉과 함께 왜구에 의해 능이 파헤쳐지고 재궁이 불태워지는 수난을 겪기도 하였다.

중종(재세 : 1488년 음력 3월 5일 ~ 1544년 음력 11월 15일, 재위 : 1506년 음력 9월 2일 ~ 1544년 음력 11월 15일)은 성종과 정현왕후 윤씨의 아들로 1488년(성종 19)에 태어났다. 1494년(성종 25)에 진성대군(晋城大君)에 봉해졌고, 1506년에 중종반정으로 연산군이 폐위되자 왕위에 올랐다. 1506년 박원종이 성희안, 유순정, 신윤무 등과 함께 연산군의 폭정에 반기를 들어 반정을 일으켰다. 그들은 밀약 후 연산군이 유람하는 날을 기하여 거사하기로 계획을 꾸몄다. 1506년 9월 1일, 반정 세력들은 훈련원에 무사들을 집결시켰다. 훈련원을 출발한 반정세력은 창덕궁 어귀의 하마비동에서 유순, 김수동 등을 만나 함께 진을 치고 경복궁에 있는 대비(정현왕후 윤씨)에게로 가서 거사의 사실을 알렸다. 처음에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던 대비는 신료들의 요청이 계속되자 연산군 폐위와 진성대군의 추대를 허락하는 교지를 내렸다. 교지를 받은 반정 주도세력들은 먼저 권신 임사홍, 신수근 등 연산군의 측근을 죽인 다음 창덕궁을 에워싸고 옥에 갇혀 있던 자들을 풀어 종군하게 하였다. 이튿날인 9월 2일, 박원종 등은 군사를 몰아 텅 빈 창덕궁에 들어가서 연산군에게 옥새를 내놓을 것을 요구하였다. 사태가 기울었음을 안 연산군은 옥새를 내주었고, 반정군의 호위를 받으며 경복궁에 도착한 진성대군은 대비의 교지를 받들어 왕위에 올랐다. 

중종은 연산군대의 잘못된 정치를 바로잡고 새로운 왕도정치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노력하였다. 새로운 개혁정치를 표방한 조광조를 내세워, 훈구세력을 견제하고 사림을 등용하였으나, 소격서 폐지, 위훈삭제 등 급진적인 정책이 큰 반발을 불러와 기묘사화가 일어나기도 하였다. 그러나 사회적으로는 향약이 전국적으로 실시되어 유교적 향촌질서가 자리를 잡았으며, 인쇄술의 발달로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비롯한 많은 서적이 편찬되었다. 경제적으로도 동전의 사용을 적극 장려하고 도량형의 통일을 꾀하였으며, 사치를 금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1544년(중종 39)에 창경궁 환경전에서 57세로 세상을 떠났다. 

출처:문화재청


"정릉 중종대왕릉"

홍살문, 향로, 어로, 정자각


"정릉 중종대왕릉"

향로, 어로, 정자각


"정릉 정자각과 비각"


"정릉 정자각"


"정릉 비각"


"정릉 정자각"

정자각/정릉/향로, 어로, 홍살문


"정릉 예감"


"정릉 중종대왕릉"


"선릉 정현왕후릉"


[난간석주]

이곳에 노출된 석물인 난간석주는 조선시대 정현왕후릉 조성 당시 또는 그 후 보수과정에서 파손되어 능 주변에 묻혀 있던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의 관람로가 신설된 후 토양이 빗물에 일부 유실되어 노출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 정현왕후의 능은 능제 형식에 맞게 12개의 난간석주로 완전하게 구성되어 있다.


[선릉 정현왕후릉]

선릉은 조선 9대 성종과 왕비 정현왕후 윤씨의 능이다. 같은 능역에 하나의 정자각을 두고 서로 다른 언덕에 능침을 조성한 동원이강릉(同原異岡陵)의 형태이다. 정자각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 언덕(서쪽)이 성종, 오른쪽 언덕(동쪽)이 정현왕후의 능이다. 

정현왕후의 능침은 병풍석만 생략하였을 뿐 성종의 능침과 같은 형태이다. 난간 석주의 윗부분에는 초기 난간석의 부드러운 맛이 그대로 남아 있고, 문무석인은 윤곽과 조각이 섬세하고 아름답다.

성종의 왕비 정현왕후 윤씨(재세 : 1462년 음력 6월 25일 ~ 1530년 음력 8월 22일)는 본관이 파평인 영원부원군 윤호와 연안부부인 전씨의 딸로 1462년(세조 8)에 신창 관아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윤창년(尹昌年)이다. 1473년(성종 4)에 후궁으로 간택되어 숙의(淑儀, 종2품)에 봉해지고, 1479년(성종 10)에 연산군의 생모 윤씨가 폐비되자 이듬해인 1480년(성종 11)에 왕비로 책봉되었다. 당시 정계에 떠오르던 아버지 윤호는 막강한 권력을 휘두르던 외척 한명회를 견제할 수 있는 인물로 여겨졌다. 폐비 윤씨의 비극적인 최후를 바라본 정현왕후는 성종에게 매우 관대하였다. 이에 성종은 ”다행히 어진 왕비를 찾아 마음이 평안하다.”고 흡족해 하였다. 연산군 즉위 후 자순왕대비가 되었으며, 1506년(중종 1)에 중종반정으로 진성대군의 즉위를 허락하기도 하였다. 그 후 1530년(중종 25)에 경복궁 동궁 정침에서 69세로 세상을 떠났다. 

연산군의 생모 윤씨가 폐비된 이후 중전의 자리에 오른 정현왕후는 연산군을 친아들처럼 키웠고, 연산군 역시 정현왕후 윤씨를 친어머니로 알고 자랐다. 그러나 연산군은 즉위 후 성종의 능지문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폐비 윤씨의 아버지 윤기견(尹起畎)이라는 이름을 처음 접하고는, 자신이 친어머니로 알고 있던 정현왕후 윤씨의 아버지 윤호(尹壕)를 잘못 표기한 것이 아니냐는 질문을 던질 만큼 폐비 윤씨의 존재를 몰랐다. 이 질문에 승지들이 비로소 윤기견과 폐비 윤씨에 관한 일을 아뢰었고, 연산군은 그때서야 자신의 친어머니의 존재에 대해 알게 되었다고 한다. 『연산군일기』 1495년(연산군 1) 3월 16일자 기사에는 “왕이 비로소 윤씨(폐비 윤씨)가 폐위되어 죽은 줄을 알고 수라를 들지 않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연산군일기』 1504년(연산군 10) 3월 20일자 기사에는 연산군이 폐비 윤씨의 죽음에 연루된 귀인 정씨와 엄씨를 잔인하게 때려죽인 뒤 장검을 들고 정현왕후의 처소로 들어가 “어서 밖으로 나오라”며 행패를 부린 기록이 있다. 그러나 연산군은 정현왕후를 해치지 않았고, 정현왕후의 아버지 윤호가 폐비 윤씨의 복위를 앞장서 반대했음에도 정현왕후에 대한 예우를 소홀히 하지 않았다고 한다.

출처:문화재청


[선릉 성종대왕릉]

선릉은 조선 9대 성종과 왕비 정현왕후 윤씨의 능이다. 같은 능역에 하나의 정자각을 두고 서로 다른 언덕에 능침을 조성한 동원이강릉(同原異岡陵)의 형태이다. 정자각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 언덕(서쪽)이 성종, 오른쪽 언덕(동쪽)이 정현왕후의 능이다. 

진입 및 제향공간에는 홍살문, 판위, 향로와 어로, 정자각, 수복방, 수라간, 비각이 배치되어 있다. 성종의 능침은 『국조오례의』의 예를 따라 병풍석과 난간석을 둘렀고, 문무석인, 석마, 장명등, 혼유석, 망주석, 석양, 석호 등을 배치하였다. 난간 석주의 윗부분에는 초기 난간석의 부드러운 맛이 그대로 남아 있고, 문무석인은 윤곽과 조각이 섬세하고 아름답다.

1494년(성종 25)에 성종이 세상을 떠나자 이듬해인 1495년에 광주 학당리(현 선릉)에 능을 먼저 조성하였다. 원래 이 자리는 세종의 아들인 광평대군묘역이 있던 자리였으나, 선릉이 조성되면서 광평대군묘역은 현재 강남구 수서동으로 이장되었다. 그 후 1530년(중종 25)에 성종의 왕비 정현왕후 윤씨가 세상을 떠나자 선릉 동쪽 언덕에 능을 조성하였다.

선릉은 유독 수난을 많이 겪었다. 그 첫 수난은 임진왜란이 한창이던 1593년(선조 26)에 일어났다. 『선조실록』 1593년 4월 13일자의 기사에는 “왜적이 선릉과 정릉을 파헤쳐 재앙이 재궁에까지 미쳤으니 신하로서 차마 말할 수 없이 애통합니다.”라는 경기좌도관찰사 성영의 치계와 “이 서장을 보니 몹시 망극하다. 속히 해조로 하여금 의논하여 조치하게 하라.”는 선조의 명이 기록되어 있다. 1625년(인조 3)에는 정자각에 불이 나고, 그 다음해에는 능침에도 불이 났다.

성종(재세 : 1457년 음력 7월 30일 ~ 1494년 음력 12월 24일, 재위 : 1469년 음력 11월 28일 ~ 1494년 음력 12월 24일)은 추존 덕종(의경세자)과 소혜왕후 한씨(인수대비)의 둘째 아들로 1457년(세조 3)에 경복궁에서 태어났다. 태어난 지 두 달 만에 아버지 의경세자가 일찍 세상을 떠나자 할아버지인 세조가 잠시 궁중에서 키웠는데, 성품이 돈후하고 서예와 서화에도 능하여 세조의 사랑을 받았다고 한다.

1461년(세조 7)에 자산군에 봉해졌고, 숙부 예종이 1469년(예종 1)에 세상을 떠나자 할머니인 정희왕후 윤씨의 명으로 예종의 양자로 입적되어 13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즉위 후 정희왕후 윤씨의 수렴청정을 7년 동안 받았으며, 1476년(성종 7)에 친정(親政)을 시작하였다. 성종은 법령을 정리하여 세조대에 부터 편찬해오던 『경국대전』을 1485년(성종 16)에 반포하였고, 1492년(성종 23)에는 『대전속록』을 완성하여 유교적 통치의 전거가 되는 법제를 완비했다. 세조 측근 공신을 중심으로 하는 훈구세력을 견제하기 위하여 신진 사림세력을 등용하여 훈신과 사림 간의 세력 균형을 이루게 함으로써 왕권을 안정시키고, 조선 중기 이후 사림정치의 기반을 조성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 그 후 1494년(성종 25)에 창덕궁 대조전에서 38세로 세상을 떠났다. 

성종은 백성들이 사는 것을 둘러보기 위해 미행(임금이 변복을 하고 궁궐 밖에 나가 민정을 살피는 것)을 자주 했다고 전해진다. 사람들은 성종이 궐 밖을 다니며 겪은 일화들을 입에서 입으로 전해왔다. 어느 해 겨울, 성종이 여느 때처럼 미행을 나갔을 때, 남산골 초라한 오막살이에서 글 읽는 소리가 흘러나오는 것을 들었다. 담은 무너지고 서까래가 썩어가는 누추한 곳이었는데, 『춘추좌전』을 읽는 소리가 물 흐르듯 막힘이 없었다. 성종은 등불이 꺼져 불을 얻고자 한다는 핑계를 들어 집 안으로 들어갔다. 글을 읽던 선비와 이야기를 나누고, 그가 지은 문집을 읽어본 성종은 선비의 해박함과 그 문집의 명문에 깜짝 놀랐다. 훌륭한 학식을 갖춘 선비가 과거에 급제하지 못하고 어려운 살림을 하는 것이 안타까웠던 성종은 선비 몰래 쌀과 고기를 그 집에 보내고, 예정에 없던 과거령을 내렸다. 그리고는 그 선비의 문집에서 본 글을 과제로 내걸고, 선비가 과거에 응시하기를 기다렸다. 이윽고 선비의 문집에 있던 글이 제출되자, 성종은 더 살펴볼 것도 없이 그 글을 장원급제를 시켰다. 그런데 글을 지은 사람의 이름이 그 선비의 이름이 아니었다. 이상하게 여겨 장원급제자를 들이라 하였는데, 주인공은 선비가 아닌 새파란 젊은이였다. 자초지종을 묻자 젊은이는 “그 분은 저의 스승이었는데, 이번 과거를 꼭 보시려고 했으나, 며칠 전 굶주리다가 갑자기 먹은 고기 때문에 크게 병이 나서 돌아가셨다.”고 답하였다. 성종은 안타까움에 크게 탄식하였다고 한다.


"선릉 성종대왕릉"


"선릉 성종대왕릉 비각"


[선릉 성종대왕릉 수복방]

수복방은 능지기들이 능역을 관리하기 위하여 정자각 동쪽에 지은 집이다.


[선릉 성종대왕릉 수라간]

매년 제향을 지낼 때, 음식을 덥히는 곳이다. 정자각에서 10걸음 서쪽에 2칸으로 있다는 춘관통고의 기록과 유적 발굴로 초석을 찾아 2014년에 복원하였다.


[선릉 성종대왕릉 예감]

제향에 사용 된 축문을 태워서 묻는 돌구덩이다.


"선릉 성종대왕릉"


"선릉 성종대왕릉"


선릉·정릉 역사문화관 앞 눈 위에 쓰여진 글이다. 눈에 덮여 사라질 수도, 눈이 녹아 사라질 수도 있다. 그러나 글 쓸때의 마음은 변치 않을 것이다.


"선릉·정릉 역사문화관"


"빌딩 숲 속 왕들의 안식처, 서울 선릉과 정릉"


"세계유산 조선왕릉 선릉·정릉"


"연산군과 폐비 윤씨"


"선릉과 정릉의 임진왜란 피해"


"선릉과 정릉의 원찰, 봉은사"


"조선왕릉 분포도"


"조선왕릉 공간 구성"


[보호수 노거수 제160호 은행나무]

재실 위 은행나무는 수령 약 500살로 4월에 꽃이 피며, 9월에 열매가 익는다. 이 나무는 서울의 대표적 나무라 할 수 있고 능의 수호수다.


[재실]

재실은 제례를 지내기 전 제관들이 미리 도착하여 몸과 마음을 정화하고 제례를 준비하는 곳이다. 평소에는 종9품 참봉 등의 관리가 이곳에 상주하면서 능과 그 주변을 돌보았다. 

주요 시설로는 향香을 보관하는 안향청, 제례 업무를 주관하는 전사청, 제기祭器를 보관하는 제기고祭器庫, 행랑채 등이 있다. 단청은 칠하지 않았다.


선릉·정릉 산책로를 걷다가 본 새들이다. 비둘기, 꿩, 까치, 참새들이 산책하는 사람들은 안중에도 없고 제일 하기 바쁘다. 빌딩 숲 속 왕들의 안식처는 새들에게도 인간에게도 사막의 오아시스 같은 역할을 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