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자랑 100가지, 국립청주박물관(야외전시)

2023. 9. 30. 08:27청주자랑 100가지/문화·휴양공간

반응형

"중원문화의 보고"

[국립청주박물관]

충북지역의 문화유산을 조사, 연구, 전시하고 다양한 문화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중원문화의 특색을 조명하고자 1987년 10월30일 개관했다. 건축가 김수근이 설계한 건축사의 기념비적 작품이며 충북에서 출토된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2,300점의 유물을 시대별로 전시하고 있다. 우암산과 어우러진 조경이 뛰어나며 청명관과 정보자료관 등의 부대시설이 있다.

청주시 상당구 명암로 143

출처:청주시


[야외전시]

국립청주박물관을 우암산을 배경으로 산 속에 자리를 잡은 아름다운 문화 공간입니다. 박물관 뒤뜰에는 국립청주박물관이 1994년부터 4년에 걸쳐 조사한 진천 석장리 제철유적 조사결과를 토대로 고대 철생산과정을 복원 실험한 제철로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청련관 앞 야외정원에는 국립청주박물관이 발굴조사 후 이전 복원한 통일신라무덤이 있습니다. 아울러 우리나라 현대건축을 이끈 김수근이 설계한 아름다운 건물 주변에는 다양한 석조유물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건축과 수려한 경관 속에서 문화의 향기를 느낄 수 있습니다.

출처:국립청주박물관


"국립청주박물관"


"석조 조각"


"석조 조각"


"석조 조각"


[청주 용담동유적 돌덧널무덤]

淸州 龍潭洞遺蹟 石槨墓 Stone Coffin Tombs from Yongdam-dong Site, Cheongju

이 무덤들은 청주 동부우회도로 건설구간에서 발굴된 것을 이곳으로 옮겨 복원한 것입니다. 청주상당구 용담동의 산자락에서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무덤이 모두 29기가 확인되었습니다. 청주의 옛사람들은 1천년 넘게 용담동의 산자락을 무덤으로 사용하기에 좋은 곳으로 생각했습니다

도로가 건설되면 이 무덤들이 파괴되므로, 국립청주박물관이 2000~2001년에 걸쳐서 무덤들을 발굴했습니다. 우리 조상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소중한 유물들은 현재 국립청주박물관에 보관되어 있고 일부는 현재 전시 중입니다. 여기에 있는 무덤은 통일신라시대 것으로, 가장 보존상태가 좋은 무덤을 박물관으로 옮겨 놓은 것입니다.

통일신라시대의 청주 사람들은 커다란 돌로 무덤방을 만들고, 그 위에 흙을 덮어서 여기에 무덤이 있었다는 것을 표시했습니다. 당시 청주는 중원지역의 중심지로 서원경(西原京)이라고 불렸습니다. 용담동의 무덤들은 통일신라시대 서원경에서 살던 사람들의 무덤이 어떠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입니다.


"문인석"


"해태"


"석조 조각"


[돌계단과 소맷돌 階段石·隅石]

Stone Stairs Corner Stone 김홍기·엄순녀 기증(2005년)

네모난 돌을 말끔하게 다듬어 계단을 만들고 옆면에 소맷돌을 세워 놓았습니다. 소맷돌은 대부분 삼각형 또는 무지개 모양이며, 소맷돌에는 행운을 가져다주는 동물 또는 여러 가지 상징적인 무늬를 화려하게 새겨 넣기도 합니다. 이 소맷돌 앞면에는 용龍의 모습을 한 동물이 위엄 있는 표정을 하고 있으며, 옆면에는 장수를 상징하는 사슴과 소나무가 생동감 있게 조각되어 있습니다.


"고인돌"


"우물모양석재"


"연지와 석조 조각"


"해.연꽃.동물새김 돌"


[망주석 望柱石]

Stone Watch Pillar 조선시대 朝鮮時代 파평 윤씨 종친회 기중(2021년)

망주석은 멀리서도 묘를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묘역의 좌우에 세우는 돌기둥이다. 우리나라 망주석은 통일신라시대의 왕릉에서 처음 나타나며 조선시대에는 왕릉뿐만 아니라 사대부 묘에서도 확인된다. 이 망주석은 충북 진천군 파평윤씨 종중 묘역에 있던 것으로 받침대와 기둥이 하나의 돌로 제작되었으며 무늬가 없고 간략한 형태가 특징이다.


[동자석 童子石]

Stone Statues of a Young Boy to be placed in front of a Tomb

동자석은 무덤 앞에 세우는 어린아이 모습의 돌 조각상입니다. 무덤 주인의 영혼을 위로하고 무덤을 지키는 지신地神으로서 저승길의 동행자이자 안내자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죽은 자의 시중을 들기 위해 꽃, 과일, 술병과 잔 등 다양한 공양물을 손에 들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신文臣을 상징하는 홀과 장수를 의미하는 창 등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하여 자손들의 복을 기원하기도 합니다. 무덤을 옮길 때에는 땅에 묻어 두는 경우가 많지만, 때로는 신령을 모시는 신당神堂에 옮겨 신앙의 대상으로 삼기도 합니다.


"석조 조각"


"흥덕사 글자가 있는 청동 금고(느린 우체통)"


"석조 조각"


"금동 풍탁 느린 우체통"


"석조 조각"


[박물관 벌레 Museum bug]

박물관을 사랑하고 좋아하는 어린이들이 많이졌으면 좋겠습니다. 박물관은 과거가 아니라 미래입니다. 박물관에서 우리 내일의 모습을 찾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책에에 미친 책벌레처럼 박물관에 미친 박물관벌레를 상상해 봅니다.

2004년에 임옥상과 정철민, 임용현, 라윤주가 함께 만들었다. 스테인레스 스틸을 사용하였고 크기는 가로 6m, 세로 3m, 높이 3.4m입니다.

출처:국립청주박물관


[연자방아 硏子磨]

Millstone Worked by a Horse or Ox

연자방아는 곡식을 찧거나 빻을 때 썼던 도구로, '연자매’ 또는 '돌방아'라고도 합니다. 둥글고 넓적한 돌판 위에 그보다 작고 둥근 돌을 옆으로 세워 얹어 말이나 소가 끌어서 돌리게 합니다. 밑에서 받치는 돌의 안쪽을 낮게 하고 바깥쪽을 높게 하여, 위에서 구르는 돌은 안쪽에서만 돌아가게 됩니다.

맷돌이나 절구는 적은 양의 곡식을 빻을 때 사용하였으나, 연자방아는 한꺼번에 많은 양을 쌓고자 할 때 사용했기 때문에 주로 마을에서 공동으로 관리하였습니다.


"석조 조각"


"휴식동산"


[백제 제철 복원 실험로 古代 製鐵爐 復原]

이 곳은 국립청주박물관이 1994년부터 1997년까지 4년간에 걸쳐 발굴 조사한 진천 석장리유적의 제철로를 복원하여 실험한 것입니다. 석장리유적은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석장리 381번지에 위치합니다. 조사결과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확인된 고대 제철유적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것으로 백제시대3세기 말~5세기 초의 제철유적입니다.

이 유적에서는 방형·장방형·원형 등의 다양한 제철로가 30여기 이상 조사되었습니다. 이 가운데 실험의 모델로 삼은 것은 석장리 A-3호 원형로元形爐와 A-4호 상형로箱形爐입니다.

출처:국립청주박물관


[상석 床石]

청주 창리 淸州 倉里 조선 朝鮮 18세기 2009~2011년 발굴

상석 床石은 무덤 앞에 제물祭物을 차리고 제사를 지내기 위해 돌로 만들어 놓은 상을 말합니다. 이 상석은 조선시대 인물인 권익관權益寬·권익경權益敬 형제 부부묘夫婦墓 앞에 놓여 있던 것입니다.


[돌장승 石長丞]

Stone Village Guardian 김홍기 · 엄순녀 기증(2005년)

장승(벅수)은 긴 통나무나 돌에 사람의 얼굴을 새겨 마을이나 절 입구 또는 길가에 세웁니다. 장승은 주로 마을의 수호신, 이정표, 마을과 마을의 경계표로 여겨졌습니다. 일반적으로 장승은 남녀 한 쌍으로 만드는데, 위쪽에서 사람의 얼굴을 새기고 아래쪽에는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 수 있도록 글을 써 놓았습니다.

이 장승은 달걀 모양의 긴 얼굴에 부리부리한 눈과 오똑한 코, 두툼한 입술에서 위엄이 느껴지지만, 살짝 미소를 띠고 있어 익살스럽게 보이기도 합니다.


"석조 조각"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