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롱이의 쪽지/광주(16)
-
시간을 담은 1913 송정역시장
[1913 송정역시장] KTX 송정역 건너편 골목 송정역전 매일시장이 새 단장을 했다. 가게마다 예쁜 글씨 간판이 내걸렸다. 동네 호떡, 꼬지샵, 계란밥, 어묵, 고로케, 홍삼 요거트 등 ‘시장’하면 떠오르는 음식들이 눈과 코를 자극한다.두부마을 옆 국수공장에서는 천 원짜리 잔치국수도 맛볼 수 있다. 전통적인 전라도 사투리를 이용해 만든 달력이나 공책 등이 인기만점. 1913 년부터 광주 송정역과 함께 명맥을 같이한 송정역 매일시장은 100년 역사를 간직한 유서 깊은 전통 시장이다. 한때 생활에 필요한 식재료와 물건을 찾는 손님들로 북적 거렸던 이곳도 1990년대 이후 우후죽순으로 생겨난 대형 마트에 밀려 여느 전통시장 처럼 서서히 쇠퇴의 수순을 밟아 왔다. 송정역 시장은 전통시장 과 대형마트와의 다름을..
2024.08.02 -
광주 셔틀 열차 운행종료
중흥삼거리에서 광주역으로 향한다. 광주역과 광주송정역을 오가는 셔틀 열차 운행종료(12월 18일)를 알리는 플래카드가 붙어 있다. 광주역에 정차중인 셔틀 열차가 보인다. 10시 52분 광주발 광주송정역행 셔틀 열차를 코레일톡앱으로 예매한다. 요금은 1,000원이고 자유석이다. 광주역과 광주송정역을 운행하는 셔틀 열차다. 일반 무궁화와 외부 색과 내부 공간이 다르다. 외부에 붙은 통근(Commuter Train)이라 쓴 글자가 열차의 운행 목적을 말해준다. 내부 공간과 좌석은 기차와 지하철을 섞은 느낌이 든다. 11시 2분 극락강역에 정차 후 11시 7분 광주송정역에 하차한다.
2023.11.16 -
잊지 않겠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2017년 8월 여름방학때 고등학교 1학년 남자 조카(벌써 대학교 3학년이다. 지금은 국방의 의무를 다하러 3주동안 훈련을 받으러 같다.)와 함께 광주 여행을 떠났다. 점심으로 탕수육을 먹고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았다. 참배광장에서 묵념을 한 뒤 5.18추모관으로 향했다. ‘영원한 빛’은 5.18 민중항쟁 추모탑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것으로 탑신 중간에 두손을 모으고 있는 형상은 추모와 염원을 상징하며 탑 중간에 있는 조형물은 난형환조로 구천을 떠도는 영령들의 혼백이 새로운 생명으로 부활하는 생명의 씨앗을 의미한다. ‘한줄기 눈물’은 추모관에서 대표적인 추모의 공간으로 2층에 있는 민주의 샘에서 흘러 내린 물이 역사의 강을 건너 원추형의 상징물을 통해 빛과 눈물로 승화하는 모습을 보여 주고있다. 여기에 ..
2023.05.18 -
국립광주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 한국의 전통양식에 맞추어 지어진 국립광주박물관은 현재 지상 2층, 지하 4층의 건물에 3,305m²(1,000여평) 전시실과 넓은 유물보관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넓은 야외전시장겸 정원이 박물관을 감싸고 있다. 또한 1996년 12월 착공한 전시실 개보수 및 수장고 신축공사의 완공으로 기획전시실과 불교미술실이 신설되었다.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전시 유물은 호남지방의 선사시대 유물, 백제·통일신라·고려·조선시대에 걸친 불교미술품과 각종 도자기 등이 있고, 신안 앞바다의 해저유물 등이다. 1층에는 서화실, 기획전시실Ⅰ·Ⅱ, 불교미술실, 2층에는 선사실, 고대실, 고려도자실, 조선도자실, 신안해저유물실이 있고, 야외에는 고려청자가마터, 각 지석묘, 전 보안사지부도, 광주 장운동 석탑 등이 전시..
2022.11.08 -
광주향교&사직공원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광주향교 (光州鄕校)] 조선태조(朝鮮太祖)가 왕이 되던 해 서기 1392년에 각도의 안찰사(按察使)에게 교육을 개혁(改革)하라는 명을 내린 것을 계기로 광주향교는 옛날 서석산(瑞石山) 현 무등산 서쪽 장원봉(壯元峰)아래에 세워졌으나, 호랑이가 자주 나타나서 성(城)의 동문(東門)안으로 옮겨 지었다. 그러나 성종(成宗)19년 서기 1488년 현감(縣監) 권수평(權守平)이 이 곳 또한 지대가 낮고 수해가 자주 일어나서 지금의 이 자리에 옮겨지었다. 그 후 선조(宣祖) 30년 서기 1597년 정유재란(丁酉再亂)때 왜적(倭賊)들에 의하여 불에 타 선조(宣祖) 33년 서기 1600년에 관(官)과 백성이 협력하여 다시 세우고 그 뒤 수차례의 보수(補修)를 하면서 오늘에 이르렀다. 현재의 교궁..
2022.11.07 -
광주광역시역사민속박물관
[광주광역시역사민속박물관] 사라져 가는 우리 민속자료들을 수집, 전시함으로써 옛조상들의 얼을 깨치고 우리문화의 원형을 후손들에게 전승하고자 1987년 국내 최대 시립박물관(현 역사민속박물관)으로 개관하였다. 현재 지상 2층 지하1층 구조로 1층의 상설 전시실과 2층의 정신문화 전시실을 운영하고 있다. 상설 전시실의 1층은 물질문화전시실로 의식주, 생업, 민속공예를, 2층은 정신문화 전시실로 한 사람의 일생을 중심 주제로 하여 민속놀이, 세시풍속, 민간신앙 등을 전시하여 이 지역의 민속을 한눈에 볼 수 있게 하였다. 지난 30여 년 간 시민들의 사랑을 받아왔던 광주민속박물관은 광주 역사 공간에 대한 시민들의 오랜 여망을 담아 “남도 민속”에 “광주 근대 역사”의 숨결을 더하여 우리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종..
2022.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