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벅뚜벅 대한민국 천연기념물/천연기념물 소나무(3)
-
헌법재판소 백송 후계목
600살 어르신 뒤에 50살도 먹지 않은 후계목이 자란다. 머리는 어르신을 닮아 푸르지만, 몸은 군복색에 군데군데 흰빛을 띨 정도다.후계목은 천연기념물 서울 재동의 백송 종자를 1977년 채종하여 국가유산청(사릉 전통 수목 양묘장)에서 발아시켜 30년 동안 관리해 오던 것을 기증받아 2008년 3월 7일 심었다. 아직 어리지만, 어르신을 바라보며 무럭무럭 자라고 있다. 승리의 V는 대를 잇는다.
2024.12.28 -
헌법재판소 승리의 나무
서울 헌법재판소 본관 왼쪽 언덕에는 승리의 나무가 있다. 2024년 11월 27일부터 이틀간 서울에 폭설이 내렸다. 117년 만에 내린 기록적인 폭설이다.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안에 있는 ‘서울 재동 백송’은 이번 폭설로 직경 5~20cm, 길이 3~8m에 이르는 가지 5곳 이상이 부러졌다. ‘서울 재동 백송’은 수령 600년으로 추정되는 나무로 196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천연기념물로 보존가치가 높은 재동 백송의 피해 소식에 28일 국가유산청은 "5~20cm 직경의 백송 가지 5개가 부러진 것을 파악했으며,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수목 상부에 쌓인 눈을 즉시 제거했다"며 "정밀한 피해 정도와 상처 치료 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현장조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서울 재동 백..
2024.12.27 -
뚜벅뚜벅 천연기념물 소나무
[소나무] 소나무는 겉씨식물 구과목 소나무과의 상록침엽 교목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나무이다. 주로 솔나무·송목·적송·육송 등으로 부르며, 송유송(松油松)·여송(女松)·자송(雌松)·청송(靑松) 등으로도 부른다. 학명은 Pinus densiflora S. et Z.이다. 높고 굵게 크는 나무로서 우리나라의 나무 가운데 은행나무 다음으로 큰 몸집을 갖고 있다. 소나무는 나무 앞에 ‘솔’이 붙어서 이루어진 이름인데, '솔'은 '우두머리' '으뜸'을 뜻하는 순우리말 '수리'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한다. 소나무를 '나무 가운데 으뜸'으로 본 것이다. 자라는 곳에 따라 나눠보면, 바닷가의 소나무와 뭍의 소나무로 나눠볼 수 있다. 바닷가에서 자라는 소나무는 '해송(海松)' 이라고 하는데, 해안가 절벽이나 모래사장에서 자란..
2020.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