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꼭 가봐야 할 곳(146)
-
청주자랑 100가지, 조헌 전장기적비
"임진왜란의병장 조헌의 청주성 탈환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조헌 전장기적비]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인 조현선생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비이다. 조헌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옥천에서 의병을 일으켜, 승병장 영규와 힘을 합쳐 청주성을 탈환하였다. 이후 왜적이 호남 일대를 차지하려 하자 승병장 영규와 700명의 의병을 이끌고 금산에서 적과 싸웠으나 중과부적으로 모두 순절하고 말았다. 기적비는왜란이 끝난 후 숙종 36년(1710)에 비를 세웠으며 김진규가 바문을 짓고, 이수당이 글씨를 썼다. 청주성 탈환의 전말과 조헌의 행적을 기록하였다 충청북도유형문화유산 청주시 상당구 남산로117 출처:청주시[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청주 조헌 전장기적비 (淸州 趙憲 戰場記蹟碑)]조선시대 의병장인 조헌 선생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비..
2025.05.19 -
청주자랑 100가지, 청주향교
"삼남 제일의 향교"옛 절터에 만들어진 호서 제일의 향교[청주향교]향교는 3단 1묘의 하나이다. 고을 수령이 해마다 두 차례 제향을 지내던 곳으로, 오늘날까지 유일하게 남아있다. 청주향교는 조선 태조 때 창건하였으며, 1446년(세종26) 세종이 초정에 행차하여 향교에 서적을 하사한 일이 있었다. 조선 후기 들어 서원이 번창하며 그 역할이 크게 축소되었다. 공자를 비롯한 성현을 모시는 대성전과 학교인 명륜당으로 나눈다. 명륜당의 측면 지붕과 실내 배치는 주례의 하옥제도를 본따 만들었다. 충청북도유형문화유산 청주시 상당구 대성로122번길 81 출처:청주시[청주향교 외삼문 입춘대길] 立春大吉)과 건양다경(建陽多慶) 입춘첩(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立春)은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로 보통 양력으로 2월 4일..
2025.05.18 -
청주자랑 100가지, 충청도병마절도사영문
"충청도병마절도사영의 출입문, 정곡루"1651년 옮겨온 충청병영의 유일한 자취 [충청도병마절도사영문]청주읍성 안에 있던 충청도병마절도사영의 출입문이다. 충청도병마절도사영은 당초 충남 해미현에 있다가 조선 효종 2년(1651)에 이곳으로 옮겼다. 앞면 3칸·옆면 2칸의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다. 네모진 높은 주춧돌 위에 세운 2층의 누문으로, 아래층의 중앙에는 문을 달아 출입하고 위층은 마루를 깔고 난간을 둘렀다. 지붕 모퉁이의 길게 가파른 처마 곡선은 뛰어난 건축기술을 보여준다. 조선 후기 병영이나 수영(水營)의 출입문 양식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는 문루 건축이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청주시 상당구 남사로117 출처:청주시[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청주 충청도병마절도사영문 ..
2025.05.17 -
청주자랑 100가지, 망선루
"고려 공민왕의 자취가 남은 누각"고려 말 공민왕의 자취가 남아있는 망선루, 제일교회를 거쳐 새로운 터에 복원하다 [망선루]망선루는 고려시대 청주 관청 하나로 객사 동쪽에 있던 취경루에서 유래한다. 공민왕이 홍건적의 침입으로 피난 와 머무르며 과거를 치르고 이곳에 합격자 명단을 걸었다. 1461년(세조 7)에 수리하였고 한명회가 현판을 '망선루(望仙樓)'라 하였다. 일제강점기 경찰서 무덕관을 지으며 뜯겨 제일교회로 옮겼다가 2000년 12월 중앙공원에 다시 세웠다. 앞면 5칸·옆면 3칸이며, 나무로 지은 2층 건물이다. 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자 모양으로 가장 화려한 팔작지붕으로 누각이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청주시 상당구 남사로117 출처:청주시[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청주 망선루 (淸州 望仙樓)] 고려시..
2025.05.16 -
청주자랑 100가지
[청주자랑 100가지]'청주'와 '청원'이 전국 최초로 주민주도의 행정구역 통합을 실현하여, 2014년 7월 역사적인 통합청주시가 출범하였다. 행정조직의 통합을 넘어, 하나의 뿌리였던 역사와 문화, 경제와 사회, 자연과 환경의 일체감을 회복하고, 도시와 농촌이 상생 화합하는 지속가능한 청주의 미래를 꿈꾸고 있다. 청주시 100가지 자랑을 통해 시민들의 동질성 확대와 자긍심 고취, 실질적인 주민화합에 기여하고자 한다. '청주자랑 100가지'는 녹색청주협의회 주관으로 청주를 대표하는 역사유적, 문화유산, 자연환경 등 자긍심이 담겨있는 “어메니티” 자원 발굴로 시작됐다. 어메니티(Amenity)란 자연, 경관, 문화, 유적 등 다양한 차원에서 사람들에게 만족감과 쾌적성을 주는 요소를 통틀어 일컫는 개념을..
2025.03.18 -
사적 청주 상당산성 동북 암문
[상당산성 동북 암문 上黨山城 東北 暗門]암문은 성을 몰래 드나들 수 있도록 만든 사잇문이다. 암문은 아군이 적군 몰래 출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축, 양식 등을 나를 때 사용하기도 하였다. 비상시에는 흙으로 문을 막아 통로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당산성에는 동북 암문과 서남 암문이 있다.동북 암문은 동북 방향의 산줄기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일 뿐만 아니라, 동문 밖 골짜기로 모여드는 적군의 뒤쪽으로 가서 포위할 수 있는 중요한 곳에 있다. 암문에는 원래 문짝이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졌고, 문 안쪽에 빗장을 걸었던 네모난 구멍이 남아 있다.한편 동북 암문의 안쪽 옆면에 '강희* 경자 오월 康熙 庚子 五月' 이 새겨져 있는 것을 보면 암문이 숙종 46년 1720에 축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
2025.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