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롱이의 쪽지/인천(12)
-
1964년생, 이름은 해장국
해장국집은 인천 동구 송림동 송림오거리 부근 골목에 있다. 상호는 따로 없고 해장국과 Since 1964란 글씨가 쓰인 간판이 걸려 있다. 출입문에 설렁탕이란 쓴 글자도 보인다. 조그마한 해장국집으로 내·외부가 허름하다. 음식 주문이 간단하다. 사람 수만 말하면 된다. 손님에겐 메뉴 선택의 권리가 없다. 메뉴는 설렁탕과 해장국 두 가지뿐이다. 설렁탕은 한우 뼈와 고기를 넣어 끓이며, 해장국은 설렁탕 국물에 우거지를 넣는다. 오전 5시~10시 30분까지는 해장국을, 오전 11시~오후 3시까지는 설렁탕을 판매한다. 해장국을 주문한다. 투박한 뚝배기에 담은 해장국과 신김치, 새곰한 국물의 아삭하고 무르지 않은 깍두기를 찬으로 내준다. 담백하고 자극적이지 않은 해장국과 곁들이기에 좋다. 청양고추, 고춧가루, 소..
2024.04.20 -
강화 직물 산업의 역사적 현장, 삼도직물 터
"강화 직물 산업의 역사적 현장" [심도직물 터] 1947년 김재소(제7대 국회의원)가 설립하여 2005년까지 1200여 명의 근로자가 종사했던 국내 굴지의 주식회사 심도직물 터이다. 강화는 예로부터 부녀자를 중심으로 수공업이 발달하였고 1920년대에 가내공업 형태의 직기가 도입되어 면직물과 견직물의 대량생산이 가능하였다. 1933년 강화에 최초로 근대식 방직 공장인 조양방직이 설립되었다. 1970년대부터 현대화된 공장으로 발전하여 대량생산체계와 수출산업으로서 전성기를 맞이하였으나 산업의 발달과 저가 중국산 면직물의수입 등으로 섬유공업의 번영은 힘없이 무너졌다. 이곳은 2005년 강화군에서 소도읍 육성사업의 목적으로 용흥궁 공원을 조성하면서 심도직물 건물은 모두 사라지고 공장 굴뚝의 일부만 남아있어 당시..
2024.01.01 -
한식 중층건물, 대한성공회 강화성당
[사적 대한성공회 강화성당 (大韓聖公會 江華聖堂) Ganghwa Anglican Church] 대한성공회 강화성당은 1900년 11월 15일 건립된 동서길이 10칸, 남북길이 4칸인 한식 중층건물이다. 이 성당은 서양의 바실리카식 교회건축 공간구성을 따르고 있으나 가구 구조는 한식 목구조와 기와지붕으로 되어있는 점이 특징이다. 구조와 외관을 한국전통 건축양식에 적응시킴으로서 외래종교에 대한 거부감을 완화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성공회 강화성당은 서쪽에 출입문을 배치하여 서구 형태를 취하면서 전체적으로는 배(船)모양을 본 떠 뱃머리인 서쪽에는 외삼문 및 내삼문과 동종을 배치하고, 중앙에는 성당을 두었다. 후미에는 사제관을 배치하여 특이한 양식을 보여주며 우리나라 건축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2023.12.31 -
월곶돈대와 연미정
"월곶돈대 성곽과 망루" "월곶돈대 성곽과 망루" "연미정에서 바라본 일몰" "연미정과 보호수 수령 500년 느티나무 2그루" [연미조범(燕尾漕帆)] 연미조범이란 '연미정 조운선의 돛대'란 뜻으로, 충청, 전라, 황해도에서 올라오던 조운선들이 돛을 달고 연미정 앞을 경유하던 풍경을 말한다. 燕尾亭高二水中 연미정 높이 섰네 두 강물 사이에, 三南漕路檻前通 삼남지방 조운 길이 난간 앞에 통했었네. 浮浮千帆今何在 떠다니던 천 척의 배는 지금은 어디 있나, 想是我朝淳古風 생각건대 우리나라 순후한 풍속이었는데. 고재형, 1906년에 쓴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연미정 (燕尾亭)] 자연경관을 보며 풍류를 즐기거나 학문을 공부하던 정자이다. 한강과 임진강의 합해진 물줄기가 하나는 서해로, 또 하나는 강화해협으로 흐르는..
2023.12.30 -
병자호란 충절을 기리다, 김상용 순절비
[인천광역시 기념물 김상용 순절비 (金尙容 殉節碑)] 조선 인조 때의 문신인 김상용 선생의 충의를 추모하고 기리기 위해 세워놓은 비이다. 선원 김상용(1561∼1637) 선생은 선조 23년(1590) 문과에 급제하여 판동녕부사, 병조·예조·이조의 판서, 유도대장, 우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종묘를 모시고 빈궁과 원손을 수행하여 강화도로 피란했으나 성이 함락되자 성의 남문루에 있던 화약에 불을 지른 후 순절하였다. 이러한 그의 충절을 기리고자 비를 세웠으며, 선원면에 자리한 충렬사에 그의 위패를 모시었다. 비각 안에는 2기의 비가 나란히 자리하고 있는데, 하나는 정조 때 공의 7대손인 김매순이 세운 것이고, 다른 하나는 숙종 26년(1700) 선생의 종증손 김창집이 건립한 것으로, 197..
2023.12.29 -
외세침략의 역사적인 현장, 강화산성
"외세침략의 역사적인 현장" [사적 강화산성 (江華山城) Ganghwasanseong Fortress] 강화읍을 에워싸고 있는 고려시대의 산성이다. 몽골의 침입으로 백성과 국토가 수난을 당하자, 당시 실권자인 최우는 1232년 강화도로 수도를 옮겼다. 왕궁과 성·관아 시설은 1234년 본격적인 공사가 시작되었다. 이 때 개경의 궁궐과 비슷하게 지어 산의 이름도 송악이라 지었다. 성은 흙으로 쌓았고, 내성·중성·외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내성은 주위 약 1,200m로 지금의 강화성이다. 중성은 내성을 지키기 위해 쌓았으며, 외성은 1233년 강화 동쪽해안을 따라 쌓았다. 이 외성은 몽골군이 바다를 건너 공격하지 못하게 한 가장 중요한 방어시설이자, 정부가 39년간 육지로부터 물자를 지원받았던 곳이..
2023.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