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자랑 100가지/인문·지리(7)
-
청주자랑 100가지, 우암산 순환도로
"청주를 굽어보는 최고의 전망" [우암산 순환도로] 충북교육과학원 후문쪽 사거리에서 시작하여 우암산 자락을 감싸며 청주랜드까지 이어지는 4.7km의 도로로, 벚나무가 가로수로 심겨져 있고 인도가 조성되어 무심천 벚꽃의 절정이 지나면 개화가 시작된다. 순환도로변에 삼일공원, 수암골 전망대, 청주대학교 등이 있고, 청주시내를 조망할 수 있어 벚꽃이 필 무렵 또는 야경을 즐기려는 이들이 필수로 찾는 곳이다. 청주시 상당구 수동 ~ 청주시 상당구 명암동 70 (4.7km) 출처:청주시 "삼일공원" [청주 우암산 둘레길] 청주시는 민선 8기 3대 현안사업 중 하나인‘우암산 둘레길 조성사업’을 조기에 완료하여 2023년 12월 8일부터 전면 개방한다고 밝혔다. 본 사업의 위치는 삼일공원에서 어린이회관까지이며, 지난..
2023.12.20 -
청주자랑 100가지, 수암골
"벽화마을로 유명해진 달동네 수암골" 우암산록에 형성된 청주의 대표적인 달동네다. 행정동은 중앙동, 법정동은 수동이다. 6.25전쟁 당시 피란민들이 판잣집을 지으면서 마을이형성됐으며 원래 수암골은 수동과 우암동이 만나는 곳(삼충상회 주변)의 지명이다. 2000년대 들어 벽화마을이 조성되면서 영화, 드라마 촬영지로 각광을 받고 있다. 청주시 상당구 수동 1 출처:청주시 "청주자랑 100가지, 수암골" "팔봉제빵점, 삼충상회" [추억의 골목여행 수암골] 수암골 아트 투어 청주시내가 한눈에 내려다 보이는 수암골은 본래 한국전쟁당시 피난민들이 정착하면서 만들어졌던 달동네이다. 과거 청주 제일의 인쇄골목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곳으로 지역예술가들이 ‘추억의 골목길 여행’이라는 주제로 서민들의 생활을 담은 벽화를 그..
2023.07.27 -
청주자랑 100가지, 성안길
"청주 쇼핑 일번지" [성안길] 옛 청주읍성의 북문과 남문을 연결하는 도로였다. 남북대로의 서쪽은 동헌과 병영이 있었고, 동쪽은 관아 일부와 민가가 있었다. 1911~1914년 청주읍성이 훼철된 후 일본인들이 주도하는 행정과 상업의 중심이 되었다. '차 없는 거리'가 된 후 오늘에 이르러서는 청주의 대표적인 상권으로 자리 잡았다. 청주시 상당구 북문로1가 210-1, 남문로2가 120-1 출처:청주시 "성안길" "성안길" "성안길"
2023.06.27 -
청주자랑 100가지, 중앙동 차없는 거리
"활기 넘치는 도시재생의 실험대" [중앙동 차없는 거리] 중앙로 옛 수아사 앞에서 청주시청 인근까지 조성한 걷는 길을 '차 없는 거리'라고 부르며, 그 안에 야외공연장인 청소년 광장(옛 중앙극장 자리)이 있다. 일부 구간 길 가운데에 소나무 등을 심어 정원을 조성했으며 과거 기찻길이 지난 흔적 등을 재현했다. 인공수로와 분수대, 조형물 등이 있으며 1968년까지 청주역이 있던 자리에는 기차모형을 설치했다. 청주시 상당구 중앙동(북문로2가) 출처:청주시 "중앙동 차없는 거리" "중앙동 차없는 거리" "중앙동 차없는 거리" "중앙동 차없는 거리" "중앙동 차없는 거리"
2023.06.26 -
청주자랑 100가지, 산성고개
"걸어서 넘는 고개로 돌아온" [산성고개] 신작로가 개설되기 이전 상당산성에 오르기 위해서는 낭성면을 통해 남문이나 동문으로 들어서는 길을 제외하면 상봉재나 율봉역 뒷길 같은 산길을 이용하였다. 그런데 일제강점기에 쇠내울 상류와 상당산성 언저리의 금광을 채굴하기 위하여 차량 통행이 가능한 도로를 개설한 것이 산성고개이다. 눈이 내리면 자주 폐쇄되기도 했던 이 길은 현재 둘레길로 조성되었다. 청주시 상당구 명암동 산25-13 (산성고갯길 입구) 출처:청주시 "청주자랑 100가지, 산성고개" [죽어가는 목숨 살린 명암약수] 신혼초부터 악질에 시달린 초순 이라는 여인이 마침내 죽음에 이른무렵 천수사 스님으로부터 동북간 범바위이란 곳에 맑은 산골이 있으니 수양을 해보는 것이 좋겠다는 권유를 받고 그곳에 머물러 ..
2023.06.25 -
청주자랑 100가지, 남주동 한복거리
"혼수골목, 웨딩타운으로 거듭나다" [남주동 한복거리] 남주동시장 일대에 6.25전쟁 직후부터 형성돼 온 혼수골목을 2012년 청주시가 한복의 거리로 지정해 특화했다. 현재는 대다수 점포가 시장 안쪽에서 중앙공원 북쪽 간선도로 변으로 200m에 걸쳐 진출했다. 청주시가 국비와 시비를 들여 이 일대의 간판을 전통적인 디자인으로 일제히 정비했다. 현재 이 일대에는 한복 및 혼수가게 50여 곳이 밀집돼 영업을 하고 있다. 청주시 상당구 남주동 출처:청주시 "남주동 한복거리" "남주동 한복거리"
2023.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