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서원, 안동 병산서원

2020. 9. 9. 03:24뚜벅뚜벅 대한민국 세계유산/한국의 서원(2019)

반응형

한국의 서원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2019)

[요약]

한국의 서원은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 시설의 한 유형으로, 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 중반에까지 향촌 지식인인 사림에 의해 건립되었다. 이 유산은 교육을 기초로 형성된 성리학에 기반한 한국 사회 문화 전통의 특출한 증거이다. 이 유산은 동아시아 성리학 교육기관의 한 유형인 서원의 한국적 특성을 나타낸다.


[사적 제260호 안동 병산서원]

서애 유성룡의 학문과 업적을 기리기 위한 곳으로, 안동에서 서남쪽으로 낙동강 상류가 굽이치는 곳에 화산(花山)을 등지고 자리하고 있다. 유성룡은 도학·글씨·문장·덕행으로 이름을 날렸을 뿐만 아니라, 임진왜란 때에도 성곽 수축·화기제작을 비롯하여 군비확충에 힘써 많은 공을 세운 인물이다.

원래 풍악서당으로 풍산 유씨의 교육기관 이었는데, 유성룡이 선조 5년(1572)에 이곳으로 옮겼다. 그 후 광해군 6년(1614)에 존덕사를 세워 그의 위패를 모시고, 1629년에 그의 셋째 아들 유진의 위패를 추가로 모셨다. 철종 14년(1863)에는 임금으로부터 ‘병산’이라는 이름을 받아 서원이 되었다. 서원내 건물로는 위패를 모신 존덕사와 강당인 입교당, 유물을 보관하는 장판각, 기숙사였던 동·서재, 신문, 전사청, 만대루, 고직사가 있다.

병산서원은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을 담당해 많은 학자를 배출한 곳으로, 1868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에도 남아 있었던 47개의 서원 중 하나이며, 한국 건축사에 있어서도 중요한 유적이다.

[영문 설명]

Byeongsanseowon, a Confucian academy, was built to commemorate Yu Seong-ryong, his life and studies. Yu Seong-ryong was not only famous for his academic standards in Confucianism, writing and calligraphy, and for his virtue, but he also made great contribution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by supporting the war through such means as building fortress walls and making firearms. This place was originally Pungakseodang Village School, an educational institution of the Pungsan Yu Clan. Yu Seong-ryong moved here in the fif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eonjo (1572). Later, in the sixth year of King Gwanghaegun’s reign (1614), Jondeoksa Shrine was built to hold his mortuary tablets and in 1629, the tablet of his third son, Yu Jin was added. Pungakseodang was given the name 'Byeongsan' by King Cheoljong in 1863 and thence became a Confucian academy. Inside the academy, there are Jondeoksa Shrine, Ipgyodang Lecture Hall, Jangpangak, where the relics are preserved, and the Dongjae and Seojae, which were the living quarters, Sinmun Gate, Jeonsacheong (a storehouse for ceremonial objects), Mandaeru Pavilion, and Gojiksa (caretakers’ quarters). It is one of the 47 Confucian academies that outlived Daewongun’s 1868 movement to abolish them.

출처:문화재청

안동 병산서원


"낙동강과 병산"


"안동 병산서원"


"고직사"


"병산과 고직사 앞 달팽이 뒷간"


"전사청"


"안동 병산서원"


"복례문"


" 만대루와 병산서원 입교당"


"광영지"


"만대루, 입교당"


"만대루 기둥"


"만대루"


"병산서원 강학영역"

서재 경의재, 입교당, 동재 명성재)


"입교당"


"입교당에서 바라본 전경"


"제향영역"


"장판각"


"내삼문"


"존덕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