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용주사 동종&먹거리

2021. 5. 24. 08:46뚜벅뚜벅 대한민국 국보/경기도

반응형

"삼존상이 처음으로 새겨진 고려 종"

[국보 제120호 용주사 동종 (龍珠寺 銅鍾)]

신라 종 양식을 보이는 고려시대 초기에 만들어진 대형의 범종으로, 높이1.44m, 입지름 0.87m, 무게 1.5톤이다.

종 맨 위에는 소리의 울림을 도와 주는 용통이 있고, 고리 역할을 하는 용뉴는 용이 여의주를 물고 두 발로 힘차게 몸을 들어 올리는 형상을 하고 있다. 윗 문양띠(上帶)에는 구슬무늬로 테두리를 하고 있는데, 아래 위 서로 어긋나게 반원을 그리고 그 안에 꽃과 구슬무늬을 새긴 넓은 띠를 두르고 있다. 이 띠는 사각형 모양의 연곽과 한 면이 붙어 있다.

4곳의 연곽 안에는 9개의 돌출된 연꽃 모양의 연뢰가 있는데, 남아 있는 것은 1곳 뿐이다. 종의 몸체 앞뒤에는 비천상을, 좌우에는 삼존상(三尊像)을 두었고, 아래쪽으로 치우쳐 4곳에는 종을 치는 부분인 원형의 당좌를 두었다. 비천상과 삼존상은 모두 구름을 타고 하늘을 나는 모습으로 옷자락이 가볍게 날리고 있다. 종 입구 부분의 아래 띠(下帶)는 구슬무늬로 테두리를 하고 윗띠(上帶)와는 다르게 덩굴무늬를 두고 있어 이 종의 특징이 되고 있다.

종 몸체에 통일신라 문성왕 16년(854)에 조성된 것이라는 후대에 새긴 글이 있으나, 종의 형태와 문양이 그 시대와 일치되지 않아 학계에서는 고려 전기의 종으로 추정하고 있다. 용통에 약간 금이 가고 연뢰가 부서진 것 외에는 보존 상태가 좋으며, 조각한 수법이 뛰어나 고려 종의 걸작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영문 설명]

With height of 1.44m, mouth diameter of 87cm, and weight of 1.5 tons, the bell was made in the early Goryeo Period (877-1394), displaying a style typical of that of the Silla Period.

At the head of the bell is yongtong (sound cylinder). Yongnyu (canons) is shaped like a dragon with a magic bead in the mouth, moving the body energetically with the two feet solidly planted on the ground. The shoulder is adorned with a strap containing a bead and flower pattern. Right below the shoulder are four yugwak (square-shaped ornamental space with nine lotus flower-shaped ornamental nipples arranged symmetrically). Apsaras are inscribed at the front and back of the bell. Images of the Buddha Triad are inscribed on the sides. The bell has four dangjwa (the striking point on the bell). Both Apsaras and Buddha Triad are portrayed to be flying through the clouds, their robes flapping in the wind. The wide strap at the mouth of the bell is adorned with vine patterns.

Chinese characters on the body of the bell, which must have been inscribed later, state that the bell was made in 854 (16th year of the reign of King Munseong of Unified Silla), but the shape of the bell and patterns do not match those of said period. Thus, experts think that it dates back to the early Goryeo Period (877-1394). Overall, the bell is in good condition, except for a crack on yongtong and broken ornamental nipples on yugwak. It is regarded as one of the masterpieces among the existing bells dating back to the Goryeo Period.

출처:문화재청


"용주사 동종"

반응형

"용주각"


"용주사  동종"


"용주사  동종"

종 몸체에 통일신라 문성왕 16년(854)에 조성된 것이라는 후대에 새긴 글이 있으나, 종의 형태와 문양이 그 시대와 일치되지 않아 학계에서는 고려 전기의 종으로 추정하고 있다. 


"용주사  동종"


"용통, 용뉴, 삼존상,당좌, 비천상"


화성 화산 용주사 식사 공양(고춧잎, 무생채, 민들레 잎, 무 볶음, 콩나물, 무침, 약간 되진 밥에 달큰하고 칼칼한 고추장을 넣고 비빈다. 담백하고 깔끔하다. 삼삼한 미역국을 곁들여 먹는다. 상큼하고 달금한 토마토로 입안을 상쾌하게 마무리한다.)

728x90
반응형

'뚜벅뚜벅 대한민국 국보 > 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주 고달사지 승탑&먹거리  (0) 2019.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