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42)
-
청주자랑 100가지, 청주향교
"삼남 제일의 향교"옛 절터에 만들어진 호서 제일의 향교[청주향교]향교는 3단 1묘의 하나이다. 고을 수령이 해마다 두 차례 제향을 지내던 곳으로, 오늘날까지 유일하게 남아있다. 청주향교는 조선 태조 때 창건하였으며, 1446년(세종26) 세종이 초정에 행차하여 향교에 서적을 하사한 일이 있었다. 조선 후기 들어 서원이 번창하며 그 역할이 크게 축소되었다. 공자를 비롯한 성현을 모시는 대성전과 학교인 명륜당으로 나눈다. 명륜당의 측면 지붕과 실내 배치는 주례의 하옥제도를 본따 만들었다. 충청북도유형문화유산 청주시 상당구 대성로122번길 81 출처:청주시[청주향교 외삼문 입춘대길] 立春大吉)과 건양다경(建陽多慶) 입춘첩(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立春)은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로 보통 양력으로 2월 4일..
2025.05.18 -
청주자랑 100가지, 충청도병마절도사영문
"충청도병마절도사영의 출입문, 정곡루"1651년 옮겨온 충청병영의 유일한 자취 [충청도병마절도사영문]청주읍성 안에 있던 충청도병마절도사영의 출입문이다. 충청도병마절도사영은 당초 충남 해미현에 있다가 조선 효종 2년(1651)에 이곳으로 옮겼다. 앞면 3칸·옆면 2칸의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다. 네모진 높은 주춧돌 위에 세운 2층의 누문으로, 아래층의 중앙에는 문을 달아 출입하고 위층은 마루를 깔고 난간을 둘렀다. 지붕 모퉁이의 길게 가파른 처마 곡선은 뛰어난 건축기술을 보여준다. 조선 후기 병영이나 수영(水營)의 출입문 양식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는 문루 건축이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청주시 상당구 남사로117 출처:청주시[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청주 충청도병마절도사영문 ..
2025.05.17 -
청주자랑 100가지, 망선루
"고려 공민왕의 자취가 남은 누각"고려 말 공민왕의 자취가 남아있는 망선루, 제일교회를 거쳐 새로운 터에 복원하다 [망선루]망선루는 고려시대 청주 관청 하나로 객사 동쪽에 있던 취경루에서 유래한다. 공민왕이 홍건적의 침입으로 피난 와 머무르며 과거를 치르고 이곳에 합격자 명단을 걸었다. 1461년(세조 7)에 수리하였고 한명회가 현판을 '망선루(望仙樓)'라 하였다. 일제강점기 경찰서 무덕관을 지으며 뜯겨 제일교회로 옮겼다가 2000년 12월 중앙공원에 다시 세웠다. 앞면 5칸·옆면 3칸이며, 나무로 지은 2층 건물이다. 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자 모양으로 가장 화려한 팔작지붕으로 누각이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청주시 상당구 남사로117 출처:청주시[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청주 망선루 (淸州 望仙樓)] 고려시..
2025.05.16 -
청주자랑 100가지, 오송역
"생명의 땅, 국토의 중앙 오송역"충북선의 간이역이 전국 최고의 여객 운송을 책임지는 거점 역으로 탈바꿈하다 [오송역]오송역은 1921년 조치원-청주간 열차의 정류장으로 문을 열었으나 1983년 여객취급이 중지되었던 곳이다. 2010년 11월 1일 경부고속철도 2단계 개통과 함께 KTX 오송역 시대가 열렸다. 현재 오송역은 환승편의를 위해 모든 충북선 열차와 1일 90여 차례의 KTX 열차가 정차하고 있다. 호남고속철도 분기역으로, 청주시와 세종특별자치시의 관문역으로 자리잡았다.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가락로 123 출처:청주시"오송역"기차는 25000볼트의 전기를 먹고 사람만 바꿔 태우며 제 길을 달린다."비둘기와 철길"철길 사이 공터에 비둘기 두 마리가 땅에 부리를 쪼아대고 있다. 살기 위해선 위..
2025.05.09 -
달팽이의 기지개
아침 햇살 받는두 개의 달팽이가 보였다.기지개만 1분 가까이했다.달팽이는 한 발자국도음직이지 않았다. "달팽이 기지개를 켜다!"
2025.05.04 -
청주자랑 100가지, 화장사 가침박달군락
가침박달은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중국과 만주에 4종이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1914년 처음 관찰되었으며, 1종 1변종이 자라고 있는 드문 수종이다. 임실 덕촌리 가침박달 군락은 가침박달 분포의 남방한계선으로서 식물분포 지리학상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어 1997년 12월 30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2021년 4월 21일 임실 덕천리 가침박달 군락을 찾았다. 이전 3~4차례 답사했지만, 처음으로 가침박달꽃을 보았다. 2차례 답사할 때까지도 가침박달이 맞는지 정확히 알 수 없었지만, 꽃을 보고 가침박달임을 확신할 수 있었다. 열매와 씨방(열매껍질)은 보지 못했다.청주에도 가침박달 군락이 있다. 청주 화장사 가침박달 군락지는 1979년 11월 7일 천연보호림 32호로 지정되어 보호받..
2025.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