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먹거리

2020. 8. 7. 07:02뚜벅뚜벅 대한민국 국보/충청남도

반응형

[사적 보령 성주사지]

 

보령 성주산 남쪽 기슭에 있는 9산선문의 하나인 성주사가 있던 자리이다.

백제 법왕 때 처음 지어졌는데 당시에는 오합사(烏合寺)라고 부르다가, 신라 문성왕때 당나라에서 돌아온 낭혜화상이 절을 크게 중창하면서 성주사라고 하였다. 산골에 자리잡고 있는 절이지만 통일신라시대의 다른 절과는 달리 평지에 자리하는 가람의 형식을 택하였다.

절터에는 남에서부터 차례로 중문처, 석등, 5층석탑(보물 제19호), 금당건물과 그뒤에 동서로 나란히 서있는 동삼층석탑, 중앙 3층석탑(보물 제20호), 서 3층석탑(보물 제47호)가 있고 그 뒤에  강당이 자리하고 있다. 최치원의 사산비문 중 하나인 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국보 제8호)도 절의 북서쪽에 있다.

발굴조사결과 건물의 초석, 통일신라시대의 흙으로 빚은 불상의 머리, 백제·통일신라·고려시대의 기와 등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성주사는 당대 최대의 사찰이었으며, 최치원이 쓴 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는 신라 석비 중 가장 큰 작품으로 매우 중요한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 

 

출처:문화재청

보령 성주사지


"통일신라 으뜸 석비"

[국보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성주사터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 낭혜화상 무염(無染)의 탑비이다. 

낭혜화상은 무열왕의 8세손으로 애장왕 2년(801)에 태어나 열세 살 되던 해에 출가, 헌덕왕 13년(821)에 당나라로 유학하여 수도를 통해 깨달음을 얻게 되었고 문성왕 7년(845)에 귀국하여 당시 웅천(지금의 보령)에 있던 오합사(烏合寺)의 주지가 되었다.

이 절에서 선(禪)을 널리 알리고 점점 크게 번성하게 되자, 왕은 ‘성주사’라는 절 이름을 내려주었으며, 진성여왕 2년(888) 89세로 이 절에서 입적하니 왕은 시호를 ‘낭혜’라 하고, 탑 이름을 ‘백월보광’이라 내리었다.

절터 서북쪽에 세워진 이 비는 거북 모습의 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그 위로 머릿돌을 얹은 모습으로 받침돌이 심하게 부서진 채 흙에 묻혀 있던 것을 1974년에 해체·보수하였다. 

얼굴의 일부분이 깨져 있는 거북은 머리 위쪽에 둥근 뿔이 나 있고, 뒤로 째진 눈에는 눈썹이 휘말려 있으며, 입은 마치 불을 내뿜으려는 기세이다. 등에는 선명한 이중의 육각무늬를 새기고, 중앙에는 제법 굵직한 구름무늬가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구름무늬 위로는 비몸을 꽂아두는 네모난 홈을 높게 마련하여 각 면을 장식하였다. 길다란 비몸은 앞면에만 비문을 새기고, 위쪽 양 모서리를 둥글게 깎아 놓았다. 맨 위에 올려진 머릿돌은 밑면에 연꽃을 두르고, 그 위로 구름과 용이 서로 뒤엉킨 장면을 입체적으로 조각하였는데, 힘찬 용틀임과 웅장한 기상이 잘 나타나 있다. 앞면에는 받침돌의 거북머리와 같은 방향으로 용머리가 툭 불거져 나와 있어 흥미를 자아낸다.

비문에는 낭혜화상의 업적이 자세히 적혀 있는데, 진골이던 낭혜화상의 가문이 아버지 대에 이르러 6두품의 신분으로 낮아지는 대목도 나타나 있어 당시 신라골품제도의 연구자료로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최치원이 글을 짓고 그의 사촌인 최인곤이 글씨를 썼으며, 비를 세운 시기는 적혀 있지 않으나, 낭혜화상이 입적한 지 2년 후인 진성여왕 4년(890)에 그의 사리탑을 세웠다는 기록이 있어 이 때 비도 함께 세웠을 것으로 보고 있다.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탑비 중에서 가장 거대한 풍채를 자랑하며, 화려하고 아름다운 조각솜씨가 작품속에서 유감없이 발휘되어 통일신라시대 최고의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영문 설명]

Located at the former site of Seongjusa Temple, this stele was erected in memory of Nanghye, a Buddhist monk of the Unified Silla Period. Born in 801 (the 2nd year of King Aejang’s reign), he was an eighth-generation descendant of King Muyeol, and entered the monkhood at the age of 13 with the Buddhist name of Muyeom. In 821 (the 13th year of King Heondeok’s reign), he travelled to Tang China and achieved spiritual enlightenment through rigorous discipline. In 845 (the 7th year of King Munseong’s reign), he returned to Korea and became the head monk of Ohapsa Temple, which used to be located at Ungcheon (now Boryeong). As the temple came to prosper, the king gave it the name "Seongjusa”. In 888 (the 2nd year of the reign of Queen Jinseong), Muyeom passed into Nirvana at Seongjusa Temple at the age of 89, and the queen bestowed upon him the posthumous name of Nanghye. 

The stele standing to the northwest of the temple site has a tortoise-shaped pedestal and a body topped with an ornamental capstone. The pedestal was seriously damaged and lay buried underground for many years, until it was discovered and repaired in 1974. The tortoise’s face is partly broken, and it has a round horn on its head, while the eyebrows are rolled into the eyes and the mouth seems to be exhaling fire. The tortoise shell features a clear double hexagonal design, with fairly thick cloud designs realistically expressed at the center. On the cloud designs, there is a square seat for resting the stele’s body, each side of which is decorated. 

The inscription is carved on the facade of the stele’s long body, and both corners of the upper part of the facade are cut round. The lower part of the capstone is decorated with lotus flower carvings, while a figure of entangled clouds and a dragon are carved in relief on its upper part. The carvings on the capstone brilliantly express the energetic fiery belch of a dragon and its magnificent spirit. On the front face, the dragon’s head is, interestingly, prominen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ortoise head of the pedestal. The inscription, which was composed by Choe Chi-won and calligraphed by his cousin Choe In-gon, contain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chievements of Buddhist monk Nanghye, and also states that Nanghye’s family originally belonged to the jingol (“true bone”) class of the royal family, but slid down to the middle of the “head rank six” class in his father’s generation. As such, the inscription is a very valuable material for studies of the class system during the Silla Period. The date of the stele’s establishment is not recorded in the inscription, but since it states that the monk’s stupa was built in 890 (the 4th year of the reign of Queen Jinseong), two years after Nanghye’s death, it is presumed that the stele was erected at the same time. The stele displays the beautiful carving skills so typical of the late Silla Period, making it one of the best – as well as the largest - of those produced during that period.

출처:문화재청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사적 보령 성주사지(2018년 11월)"


"사적 보령 성주사지(2018년 11월)"


"사적 보령 성주사지(2017년 12월)"


"사적 보령 성주사지(2017년 12월)"


"국보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2018년 11월)"


"받침돌"


"머릿돌 정면, 비몸, 머릿돌 후면"


"국보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2017년 12월)"


"받침돌, 비몸, 머릿돌"


보령 성주면 삼거리 성주사지 방향 우측 대로변 황해원


짬뽕(춘장, 양파, 깍두기, 단맛과 신맛 적고 짭짤한 짠지 느낌의 수제무, 그릇에 푸짐히 담겨 나온 짬뽕, 깍두기와 수제무는 양껏 덜어 먹는다.)


"시원하고 깔끔한 매운맛"

짬뽕(자극적이지 않은 삼삼한 간의 깔끔하고 시원한 국물, 길게 채 썬 돼지고기, 졸깃한 오징어, 시원한 배추와 중간 굵기의 넓적하고 쫀득한 기계면이 한데 어우러진 짬뽕.)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