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8. 23. 10:40ㆍ뚜벅뚜벅 대한민국 국보/충청남도
[사적 부여 정림사지]
백제가 부여로 도읍을 옮긴 시기(538-660)의 중심 사찰이 있던 자리다. 발굴조사 때 강당터에서 나온 기와에서 ‘태평 8년 무진 정림사 대장당초(太平八年 戊辰 定林寺 大藏唐草)’라는 글이 발견되어, 고려 현종 19년(1028) 당시 정림사로 불렀음을 알 수 있다. 즉 고려시대에 백제사찰의 강당위에 다시 건물을 짓고 대장전이라 했던 것으로 보인다.
정림사의 주요 건물 배치는 중문, 오층석탑, 금당, 강당에 이르는 중심축선이 남북으로 일직선상에 놓이고, 건물을 복도로 감싸고 있는 배치를 하고 있다. 그러나 특이하게 가람 중심부를 둘러싼 복도의 형태가 정사각형이 아닌, 북쪽의 간격이 넓은 사다리꼴 평면으로 되어있다.
발굴조사에서 드러난 중문 앞의 연못이 정비되어 있고, 석불좌상을 보호하기 위한 건물은 1993년에 지어졌다. 백제 때에 세워진 5층석탑(국보 제9호)과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석불좌상(보물 제108호)이 남아 있다. 출토유물로는 백제와 고려시대의 장식기와를 비롯하여 백제 벼루, 토기와 흙으로 빚은 불상들이 있다.
[영문 설명]
The Jeongnimsa Temple Site is where a major temple, Jeongnimsa Temple, stood in the capital movement period from 538 to 660. When the excavation was performed, the writing “8th year of Taepyeong, Mujin Jeongnimsa Temple Daejangdangcho” was discovered on the piece of tile from the site of the auditorium, suggesting that it was Jeongnim Temple in Goryeo Dynasty. The 8th year of Taepyeong corresponds to the year 1028, the 19th year of the reign of King Hyeonjong in Goryeo. In particular, it explains that a building was rebuilt on the site of the auditorium of Baekje Dynasty in Goryeo and was assumed to have been named Daejangjeon Hall. Jeongnimsa Temple has a central line, with Jungmun (central gate), five-story stone pagoda, Geumdang Hall, and auditorium arranged in a straight line from north to south. The garam-style arrangement is made on the plane surrounding Daejangjeon Hall with corridor. These kinds of garam arrangement had an influence on the garam style of the Japanese temple in the 7th century, forming the fundamentals of the garam arrangement of Japanese temple in the ancient times. Still, a special feature of the garam arrangement is that the shape of the corridor surrounding a center of garam arrangement is similar to a trapezoid whose northern gap is wide rather than a square. The pond in front of the temple unearthed by the excavation investigation has been improved, and a hall for the protection of stone seated Buddha was newly constructed in 1933. The Five-story Stone Pagoda (National Treasure No. 9) made in the age of Baekje and the Stone Seated Buddha (Treasure No. 108) made during the Goryeo period remain. The excavated relics include various temple items such as decorative tiles of Baekje and Goryeo, inkstone, earthenware, soil Buddha statue, etc. This indicates the cultural state at that time and serves as representative remains in the age of Baekje.
출처:문화재청
부여박물관 소장 정림사가 새겨진 암기와('태평팔년술진정림사(太平八年戌辰定林寺)'라고 쓰여진 기와 조각이 발견되었다. 태평 8년은 요(遼)나라 성종(成宗)의 연호로 고려 현종 19년(1028)에 해당되어 고려시대에는 이 절을 '정림사'라 부른 것을 알게 되었다. 오늘날에도 이곳을 정림사터로 부르고 있다. - 출처:한국 미의 재발견)
"시련의 세월을 견딘, 백제탑의 정수"
[국보 제9호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부여 정림사터에 세워져 있는 석탑으로, 좁고 낮은 1단의 기단(基壇)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신라와의 연합군으로 백제를 멸망시킨 당나라 장수 소정방이 ‘백제를 정벌한 기념탑’이라는 뜻의 글귀를 이 탑에 남겨놓아, 한때는 ‘평제탑’이라고 잘못 불리어지는 수모를 겪기도 하였다.
기단은 각 면의 가운데와 모서리에 기둥돌을 끼워 놓았고, 탑신부의 각 층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을 세워놓았는데, 위아래가 좁고 가운데를 볼록하게 표현하는 목조건물의 배흘림기법을 이용하였다. 얇고 넓은 지붕돌은 처마의 네 귀퉁이에서 부드럽게 들려져 단아한 자태를 보여준다.
좁고 얕은 1단의 기단과 배흘림기법의 기둥표현, 얇고 넓은 지붕돌의 형태 등은 목조건물의 형식을 충실히 이행하면서도 단순한 모방이 아닌 세련되고 창의적인 조형을 보여주며, 전체의 형태가 매우 장중하고 아름답다.
익산 미륵사지 석탑(국보 제11호)과 함께 2기만 남아있는 백제시대의 석탑이라는 점에서도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며, 세련되고 정제된 조형미를 통해 격조높은 기품을 풍기고 있는 아름다운 작품이다.
[영문 설명]
This elegant five-story stone pagoda of the Baekje period exhibits a refined structural beauty. Su Dingfang, a general of the Tang Dynasty, made an inscription meaning “Pagoda Celebrating the Destruction of Baekje” on this pagoda, after destroying Baekje in alliance with Silla, hence the pagoda was once humiliated by being falsely called for some time as Pyeongjetap, meaning “celebrating pagoda on destroying Baekje.” The pagoda’s five-story body stands on a single narrow low platform, and stone pillars are fixed into the middle and corners of each side of the platform. Pillars displaying the baeheullim style (narrow at the upper and lower part and convex at the middle of the pillar) stand at each corner of the stories of the pagoda’s body. The roofstones are thin and wide, and raised at the end of the eaves to give it a nimble appearance. Overall, the pagoda has a similar structure to that of a wooden building, showing the significant characteristic of this pagoda. Although the pagoda faithfully follows the structure of wooden buildings, it is not a mere imitation but rather a refined and creative work. The figure in general is very majestic and beautiful. The pagoda is regarded as an extremely precious heritage, being one of only two extant stone pagodas of the Baekje Period along with the Stone Pagoda at the Mireuksa Temple Site, Iksan (Treasure No. 11).
출처:문화재청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2017년 9월)"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2017년 9월)"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2017년 9월)"
정림사지 오층석탑 초층탑신 명문, 대당평백제국비명(2017년 9월), 정림사지박물관 대당평백제국비명 탁본
"국보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2018년 11월)"
"국보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2018년 11월)"
부여 정림사지 부근 사또국밥
사또국밥(신맛 적은 시원하고 아삭한 깍두기, 짭짤한 감칠맛의 조개젓, 맵지 않은 고추, 양념 과하지 않게 담은 시원한 겉절이, 큼직한 콩알갱이가 보이는 구수한 된장, 약간 양이 적은 공깃밥, 일반 식당보다 넓고 깊은 뚝배기에 끓여 내온 국밥.)
사또국밥(한우와 소머릿고기로 우려낸 보기보다 매운 맛 덜한 진하고 시원한 국물에 대파, 보들보들 촉촉한 우설, 쫀득한 부위, 졸깃한 살코기등 다양한 식감의 소머릿고기, 달걀 풀어 넣은 소머리국밥.)
'뚜벅뚜벅 대한민국 국보 > 충청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산 수덕사 대웅전&먹거리 (0) | 2020.12.16 |
---|---|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먹거리 (0) | 2020.09.03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먹거리 (0) | 2020.08.07 |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먹거리 (0) | 2020.08.05 |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먹거리 (0) | 2020.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