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2. 1. 05:04ㆍ바롱이의 쪽지/서울
[사적 경복궁 (景福宮)]
조선시대 궁궐 중 가장 중심이 되는 왕조 제일의 법궁(法宮, 임금이 사는 궁궐)으로 태조 4년(1395)에 한양으로 수도를 옮긴 후 처음으로 세운 궁궐이다.
궁궐의 이름은 정도전이 『시경』에 나오는 “이미 술에 취하고 이미 덕에 배부르니 군자만년 그대의 큰 복을 도우리라”에서 큰 복을 빈다는 뜻의 ‘경복(景福)’이라는 두 글자를 따서 지은 것이다. 1412년 태종은 경복궁의 연못을 크게 넓히고 섬 위에 경회루를 만들었다. 이 곳에서 임금과 신하가 모여 잔치를 하거나 외국에서 오는 사신들에게 연회를 베풀었다.
태종의 뒤를 이은 세종은 주로 경복궁에서 지냈는데, 경회루 남측의 궐내각사 권역에 집현전을 짓고 학자들을 가까이 하였다. 또한 경회루의 남쪽에는 시각을 알려주는 보루각을 세웠으며, 궁궐의 서북쪽 모퉁이에는 천문 관측시설인 간의대를 마련해 두었다. 또한 흠경각을 짓고 그 안에 시각과 4계절을 나타내는 옥루기륜을 설치하기도 하였다.
경복궁은 임진왜란(1592)으로 인해 창덕궁·창경궁과 함께 모두 불에 탄 것을 1867년에 흥선대원군이 다시 세웠다. 그러나 1895년 궁궐 안에서 명성황후 시해 사건이 벌어지고, 고종은 러시아 공관으로 거처를 옮기면서 경복궁은 주인을 잃은 빈 궁궐이 되었다. 1910년 한일강제병합으로 국권을 잃게 되자 일본인들은 건물을 헐고, 근정전 앞에 조선총독부 청사를 짓는 등 궁궐의 대부분을 훼손함에 따라 점차 궁궐의 제 모습을 잃게 되었다.
일제강점기 이후 궁궐 안에 남아있던 주요건물은 근정문·근정전·사정전·천추전·수정전·자경전·경회루·제수각·함화당·집경당·향원정·집옥재·협길당 등이 있다.
중국에서 고대부터 전해 오던 도성(都城) 건물배치의 기본형식을 지킨 궁궐로서, 궁궐의 왼쪽(동쪽)에는 역대 왕들과 왕비의 신위를 모신 종묘가 있으며, 오른쪽(서쪽)에는 토지와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사직단이 자리잡고 있다. 건물들의 배치는 국가의 큰 행사를 치르거나 왕이 신하들의 조례를 받는 근정전과 왕이 일반 집무를 보는 사정전을 비롯한 정전과 편전 등이 앞부분에 있으며, 뒷부분에는 왕과 왕비의 거처인 침전과 휴식공간인 후원이 자리잡고 있다. 이는 전조후침(前朝後寢)의 제도인데, 이러한 형식은 경복궁이 조선의 법궁으로서 특히 엄격한 규범을 나타내고자 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비록 궁궐 안 대부분의 건물들이 없어지기는 하였지만, 정전·누각 등의 주요 건물들이 남아있고 처음 지어진 자리를 지키고 있어서, 조선의 법궁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지이다.
[영문 설명]
Gyeongbokgung Palace, the main palace in the Joseon Dynasty, was built after King Taejo, founder of the Joseon Dynasty. He had the capital moved to Hanyang during the fourth year of his reign (1395).
Its name, literally meaning “great fortune,” originated with a phrase of Sigyeong (Book of Songs), quoted by Jeong Do-jeon, an eminent scholar in the Joseon Dynasty: "I've already drunk and have been full with virtue, so I will help you get great fortune in my late year as a man of virtue.” In 1412, King Taejong had the lake expanded in Gyeongbokgung Palace and built Gyeonghoeru Pavilion to hold parties and welcome foreign officials visiting the country.
King Sejong succeeded King Taejong and mainly stayed in Gyeongbokgung Palace. He built Jiphyeonjeon Hall to stay with the eminent scholars while building Borugak Hall north of Gyeonghoeru Pavilion to tell the time. On the northwest corner of the palace, Ganuidae, an astronomical observatory, was constructed. In addition, he built Heumgyeonggak Hall where Ongnugiryun (an astronomical water clock) was placed to tell the time and four seasons.
However, the whole palace was burnt dow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long with the Changdeokgung and Changgyeonggung palaces. In 1867, Heungseon Daewongun had the palace expanded and rebuilt, and it was far better than other palaces in size and style. Nonetheless, it was vacated when Queen Myeongseong was assassinated in the palace in 1895 and Emperor Gojong moved to the Russian Legation.
When Joseon lost its sovereignty, Japan tore it down to use it as the government quarters of Japan; thus it almost lost what it used to be. Today, the following main buildings still exist: Geunjeongmun Gate, Geunjeongjeon, Sajeongjeon, Cheonchujeon, Sujeongjeon, and Jagyeongjeon Halls, Gyeonghoeru Pavilion, Jaesugak Hall, Hamhwadang Hall, Hyangwonjeong Pavilion, Jibokjae Hall, Hyeopgildang Hall, etc. Gyeongbokgung was built with the basic arrangement of China's ancient capital.
On the left of the palace was Jongmyo Shrine where memorial services were performed for deceased kings and queens. At Sajikdan Altar, services for the gods of Earth and Crops were performed. In front were some halls and quarters: Geunjeongjeon where kings held a national ceremony and high-ranking officials assembled to show the highest respect to their king, and; Sajeongjeon where kings attended to their work. In the back are Chimjeon, bed chambers for kings and queens, and there was a garden where they rested. It followed the style of a place for work located in the front and the place for rest located at the back. It seemed to show that strict rules were implemented since it was the main palace in Joseon.
It was an important cultural asset that represented the main hall in the Joseon Dynasty since the main buildings like the main hall and pavilion remained and kept their original location even as most of the buildings had been gone.
출처:문화재청
"광화문과 수문장 행렬"
"흥례문에서 바라본 광화문"
[보물 경복궁 근정문 및 행각 (景福宮 勤政門 및 行閣)]
근정문은 경복궁의 중심 건물인 근정전의 남문으로 좌우에 행각이 둘러싸고 있다. 조선시대 태조 4년(1395) 경복궁을 세울 때 함께 지었으나 임진왜란으로 불에 타 버렸다. 지금 있는 건물은 고종 4년(1867) 경복궁을 다시 지으면서 새로 만든 것이다.
근정문은 앞면 3칸·옆면 2칸의 2층 건물로, 지붕은 앞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을 한 우진각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다. 이를 다포 양식이라 하며 밖으로 뻗쳐 나온 부재들의 형태가 날카롭고 곡선을 크게 그리고 있어 조선 후기의 일반적인 수법을 나타내고 있다.
행각은 근정전의 둘레를 직사각형으로 둘러 감싸고 있는데, 양식과 구조는 간결하게 짜여 있으며 남행각이 연결되는 곳에 일화문(日華門)과 월화문(月華門)이 있고 북측으로는 사정문(思政門)이 있어서 사정전과 연결된다. 동·서쪽으로는 각각 밖으로 돌출한 융문루(隆文樓)·융무루(隆武樓)가 있다. 벽에 만든 창의 형태는 사각형의 모서리를 사선으로 처리한 것이 특이하다.
근정문은 현존하는 조선시대 궁궐 정전의 남문 중 유일하게 2층 건물로 지어져서 법궁의 위엄에 맞게 조성되었으며, 궁궐건축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영문 설명]
Geunjeongmun is the south gate of Geunjeongjeon, the main hall of Gyeongbokgung Palace. It is surrounded by corridors on both sides. It was built at the same time as the palace in 1395, the fourth year of King Taejo’s reign, but was burnt down in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present gate was built when Gyeongbokgung Palace was rebuilt in 1876, the fourth year of the reign of King Gojong.
Geunjeongmun is a two-story building composed of 3-kan (a unit of measurement referring to the distance between two columns) front space and 2-kan side space. It has a hip roof called ujingakjibung, showing a trapezoid shape when looked at from the front. The gongpo that supports the roof eaves on the pillars is set up not only on the pillars but also between them. This building style is known as dapo style. It is the typical style of the latter part of Joseon that the shape of the materials extending to the outside is sharp and forms a big curve.
Geunjeongjeon Hall is surrounded by Haenggak, a rectangular-shaped gallery with two corridors, which were originally one. Its style and structure are generally simple. There are the gates Ilhwamun and Wolhwamun where Namhaenggak (south Haenggak) meet, and Sajeongmun in the center of Bukhaenggak (north Haenggak). Two pavilions, Yungmunnu and Yungmuru, are placed to the east and west respectively. It has the unique features that the corners of the quadrilateral windows were made diagonally and that the style of the ceiling leaves all the materials exposed.
This is the only two-story building remaining among the south gates of the main palace buildings of the Joseon Dynasty. It is an important cultural asset and a source for studying palace architecture.
출처:문화재청
[국보 경복궁 근정전 (景福宮 勤政殿)]
경복궁 근정전은 조선시대 법궁인 경복궁의 중심 건물로, 신하들이 임금에게 새해 인사를 드리거나 국가의식을 거행하고 외국 사신을 맞이하던 곳이다.
태조 4년(1395)에 지었으며, 정종과 세종을 비롯한 조선 전기의 여러 왕들이 이곳에서 즉위식을 하기도 하였다. ‘근정’이란 이름은 천하의 일은 부지런하면 잘 다스려진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 정도전이 지었다. 지금 있는 건물은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고종 4년(1867) 다시 지은 것이다.
앞면 5칸·옆면 5칸 크기의 2층 건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여진 구조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식 건물이며 그 형태가 화려한 모습을 띠고 있다. 건물의 기단인 월대의 귀퉁이나 계단 주위 난간기둥에 훌륭한 솜씨로 12지신상을 비롯한 동물상들을 조각해 놓았다.
건물 내부는 아래·위가 트인 통층으로 뒷편 가운데에 임금의 자리인 어좌가 있다. 어좌 뒤에는 ‘일월오악도’병풍을 놓았고, 위는 화려한 장식으로 꾸몄다.
근정전에서 근정문에 이르는 길 좌우에는 문무백관들의 지위를 표시하는 품계석이 차례로 놓여 있으며, 햇빛을 가릴 때 사용하였던 차일 고리가 앞마당에 남아 있다. 근정문 주변으로는 행각(行閣)이 연결되어 근정전을 둘러싸고 있다.
근정전은 조선 중기 이후 세련미를 잃어가던 수법을 가다듬어 완성시킨 왕궁의 위엄을 갖춘 웅장한 궁궐건축이다.
[영문 설명]
Geunjeongjeon is the main hall of Gyeongbokgung Palace. Officials assembled in this hall to wish the kings a Happy New Year.
And this place was also used by kings to conduct state affairs, hold national ceremonies, and receive foreign envoys. It was built in 1394 (the 3rd year of King Taejo). Kings in the early years of Joseon, including King Jeongjong, ascended their thrones in this court. Its name, Geunjeong, literally indicated diligent politics, which was originated in the belief that the more rulers are diligent, the better they rule over the state. It was burnt dow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and rebuilt in 1867, the 4th year of King Gojong. Geunjeongjeon is a second-story building that contains 5 rooms each in the front and side.
The roof is ‘八’ shaped from the side. The stone platforms in front of the hall are carved with various animal ornaments, including 12 Chinese zodiac signs. The throne is centered toward the back of the hall. Behind the throne, there are folding screen and canopy located over the throne. Various wooden poles support the roofs.
The stones, indicating the rank of officials, are placed on either of the corridor from Geunjeongjeon to Geunjeongmun Gate. The rings used to tie the sunshade are still remained in front of the court. Small rooms for servants on both sides of Geunjeongmun circled around Geunjeongjeon.
Geunjeongjeon in Gyeongbokgung Palace shows dignity of the palace and is considered as a magnificent building that was losing its sophisticated touch after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출처:문화재청
[국보 경복궁 경회루 (景福宮 慶會樓)]
경복궁 근정전 서북쪽 연못 안에 세운 경회루는, 나라에 경사가 있거나 사신이 왔을 때 연회를 베풀던 곳이다.
경복궁을 처음 지을 때의 경회루는 작은 규모였으나, 조선 태종 12년(1412)에 연못을 넓히면서 크게 다시 지었다. 그 후 임진왜란으로 불에 타 돌기둥만 남은 상태로 유지되어 오다가 270여 년이 지난 고종 4년(1867) 경복궁을 다시 지으면서 경회루도 다시 지었다. 연못 속에 잘 다듬은 긴 돌로 둑을 쌓아 네모 반듯한 섬을 만들고 그 안에 누각을 세웠으며, 돌다리 3개를 놓아 땅과 연결되도록 하였다.
앞면 7칸·옆면 5칸의 2층 건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누각건물에서 많이 보이는 간결한 형태로 꾸몄다. 태종 때 처음 지어진 경회루는 성종 때 고쳐지으면서 누각의 돌기둥을 화려하게 용의 문양을 조각하였다고 전해지나,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이후 고종대에 다시 지으면서 지금과 같이 간결하게 바깥쪽에는 네모난 기둥을, 안쪽에는 둥근기둥을 세웠다. 1층 바닥에는 네모난 벽돌을 깔고 2층 바닥은 마루를 깔았는데, 마루의 높이를 3단으로 각각 달리하여 지위에 따라 맞는 자리에 앉도록 하였다.
경복궁 경회루는 우리 나라에서 단일 평면으로는 규모가 가장 큰 누각으로, 간결하면서도 호화롭게 장식한 조선 후기 누각건축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는 소중한 건축 문화재이다.
[영문 설명]
Gyeonghoeru was erected in the northwest side of the pond in Geunjeongjeon, Gyeongbokgung Palace, and was used to hold the royal banquets and receiving foreign officials.
Gyeonghoeru was built when the construction of Gyeongbokgung Palace was first made, and was small at first but was expanded in 1412 (the 12th year of King Taejong of Joseon) as the pond was enlarged. It was burnt dow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leaving only the stone supports. It was reconstructed about 270 years later when it was rebuilt in 1867 (the 4th year of King Gojong of Joseon) while rebuilding Gyeongbokgung Palace. After building a square island with long and smooth stone, the pavilion was built on them. It was connected with the land by three stone bridges to the grand Gyeonghoeru Pavilion. Behind the pavilion, a hill called Amisan, made up of the soils from digging up the earth in the pond, was erected.
Gyeonghoeru that has 7 rooms in the front and 5 rooms in the side is a two-story of splendid and magnificent building.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ng, there were 48 stone pillars, carved with wriggling dragon. Under the reconstruction, square pillars were erected outside, while circular pillars were erected inside. The first floor was covered with a square stone, while the second floor was covered with wooden floor. The height of the room floor was different so that officials could sit according to respective position. The roofs were made up of a set of decorative roof tiles over the angle rafter which is the fine point of the palace.
As the largest elevated pavilion in Korea, the simple and yet splendidly designed pavilion is considered as a valuable cultural asset, representing the work style of the late Joseon Dynasty.
출처:문화재청
"경회루"
"경회루"
[보물 경복궁 풍기대 (景福宮 風旗臺)]
조선시대 바람의 세기와 방향을 재는데 사용했던 것으로 풍기와 풍기대에 대해 『증보문헌비고』를 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화강암을 다듬어 아래에 상을 조각한 대를 놓고, 그 위에 구름무늬를 새긴 8각기둥을 세운 모습이다. 8각형 기둥의 맨 위의 중앙에는 깃대를 꽂는 구멍이 있고, 그 아래 기둥옆으로 물이 고이지 않게 배수구멍을 뚫었다. 깃대 길이는 확실치 않고 깃대 끝에는 좁고 긴 깃발을 매어 그것이 날리는 방향으로 풍향을 재고 나부끼는 정도로 바람의 세기를 알 수 있었다.
세종 때 이후 측우기로 강우량을 측정하고 강과 개천의 수량을 재는 등 관측기술이 발달했는데 풍기에 의한 바람 측정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적어도 18세기에도 실시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풍기대도 18세기 것으로 보인다. 궁궐의 모습을 볼 수 있는 그림인 동궐도(東闕圖, 고려대학교박물관소장)에도 풍기대 위에 길게 나부끼는 풍기가 그려져 있어 당시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크기는 아랫단의 높이가 80.8㎝, 위 8각 기둥의 높이가 143.5㎝로 전체 높이가 224.3㎝이다. 경복궁 풍기대는 창경궁 풍기대와 함께 조선시대 바람을 측정했다는 실증적 자료로서 기상관측의 선구적인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영문 설명]
From Jeungbomunheonbigo (Revised Analysis of Literary Sources) on the wind streamer and its pedestal used during the Joseon Dynasty for measuring the strength and direction of the wind, one can get to know the following facts.
The granite structure is seated on an octagonal pillar engraved with pictures of clouds, and beneath it there is a pedestal on which images are also engraved. At the center of the top, there is a hole for inserting a flagpole and below it, on the side of the pillar; a drainage hole has been made so that the hole does not get filled up with water. The length of the pole is not certain, but at the end of the pole there was tied a long, narrow flag, and the direction and the strength of the wind could be known from the degree of the flutter.
With the observation technology that had developed since the time of King Sejong the Great, amounts of rainfall and the levels of river and stream water were measured with a pluviometer. However, it has not been discovered from when winds were measured with the wind streamer. But it can be known that it was used at least from the 18th century, and this wind streamer pedestal, too, looks as if it dates from that time. Donggwoldo, a painting of a royal palace from the time, shows a wind streamer that flutters at length, from which one may make a guess about the time of its appearance.
The height of the bottom pedestal is 80.0 cm, and of the 8-cornered pillar, 143.5 cm, making the total height 224.3 cm. It occupies an epoch-making position in the meteorological observatory of the Joseon Dynasty as actual evidence of measuring the winds, along with the wind streamer pedestal of Changgyeonggung Palace.
출처:문화재청
열상진원 샘(경복궁 창건 당시(1395)부터 있던 왕궁의 샘으로 물이 맑고 차 음료수로 이용하였다. 글을 새긴 우물 뚜껑은 경복궁 중건(1868)때 만든 것이다. 샘에서 솟은 물은 두번 직각으로 꺽여 향원지로 잔잔히 흘러 들어간다.)
[보물 경복궁 향원정 (景福宮 香遠亭)]
향원정은 경복궁 북쪽 후원에 있는 향원지 내의 가운데 섬 위에 건립된 육각형의 정자이다. 향원지의 ‘향원(香遠)’은 ‘향기가 멀리 간다’는 뜻으로 북송대 학자 주돈이(1017∼1073)가 지은 '애련설(愛蓮說)'에서 따온 말로서 왕이나 왕족들이 휴식하고 소요하던 침전의 후원으로 여기에는 향원지(香遠池)와 녹산(鹿山)등 원림 (苑林)공간이 된다.
향원지가 있던 곳에는 본래 세조 2년(1456)에 취로정(翠露亭)이란 정자를 짓고 연꽃을 심었다는 기록이「세조실록」에 보인다.
향원지는 4,605㎡의 넓이의 방형인데, 모서리를 둥글게 조성한 방형의 연지에 연꽃과 수초가 자라고, 잉어 등 물고기가 살고 있다. 향원지의 수원(水源)은 북쪽 언덕 밑에 솟아나는 '열상진원(洌上眞源)'이라는 샘물이다.
이 향원정에 들어가는 다리인 '취향교'는 본래 목교로서 1873년에 향원정의 북쪽에 건청궁 방향으로 설치되었다. 취향교는 건청궁에서 향원정으로 들어가도록 북쪽에 있었으나, 6·25전쟁 당시 없어졌으며, 현재는 1953년에 지은 다리가 향원지 남쪽에 있다.
본래의 취향교는 조선시대 원지에 놓인 목교로는 가장 긴 다리(길이 32m,폭 165cm)이다.
향원지의 북쪽으로 녹산지역에 있는 담장에는 인유문(麟遊門)이란 일각문(一角門)이 있으며, 그 남쪽에는 봉집문(鳳集門)이 있었는데 이로 인해 연못은 한층 아늑한 정취(情趣)에 싸여 있었다.
향원정은 고종이 아버지 흥선대원군의 간섭에서 벗어나 친정체제를 구축하면서 정치적 자립의 일환으로 건청궁을 지으면서 그 건청궁 앞에 연못을 파서 가운데 섬을 만들고 세운 2층 정자로, 고종 4년(1867)부터 고종 10년(1873)사이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향원정으로 가는 섬에는 나무로 만들어진 취향교라는 다리가 있으며, 남쪽에는 함화당, 집경당이 위치해 있다.
정자의 평면은 정육각형으로 아래·위층이 똑같은 크기이며, 장대석으로 마무리한 낮은 기단 위에 육각형으로 된 초석을 놓고, 그 위에 일층과 이층을 관통하는 육모기둥을 세웠다.
공포는 이층 기둥 위에 짜여지는데, 기둥 윗몸을 창방(昌枋)으로 결구하고 기둥 위에 주두(柱枓:대접받침)를 놓고 끝이 둥글게 초각(草刻)된 헛첨차를 놓았다. 일출목(一出目)의 행공첨차를 받치고, 다시 소로를 두어 외목도리(外目道里)밑의 장혀를 받친 물익공이다.
일층 평면은 바닥 주위로 평난간을 두른 툇마루를 두었고, 이층 바닥 주위로는 계자난간을 두른 툇마루를 두었다. 천장은 우물천장이며 사방둘레의 모든 칸에는 완자살창틀을 달았다.
처마는 겹처마이며 육모지붕으로, 중앙의 추녀마루들이 모이는 중심점에 절병통(節甁桶)을 얹어 치장하였다.
향원정은 왕과 그 가족들이 휴식을 취하는 공간으로 경복궁 후원의 아름다운 풍광 속에 안겨있는 상징적 대표 건물이다. 육각형 초석, 육각형 평면, 육모지붕 등 육각형의 공간을 구성하여 섬세하고 미려하게 다듬은 모든 구성요소들이 절묘한 조화를 이룬 비례감이 뛰어난 정자로 역사적, 예술적, 건축적으로 가치가 높다.
[영문 설명]
Hyangwonjeong Pavilion stands on an islet at the center of a square pond named Hyangwonji, which is located in the rear garden of Gyeongbokgung Palace.
According to Sejo sillok (Annals of King Sejo), a pavilion named Chwirojeong was constructed in the area now occupied by Hyangwonji Pond in 1456 (the 2nd year of the reign of King Sejo of the Joseon Dynasty) with lotus flowers planted around it.
The square-shaped Hyangwonji Pond (4,605㎡) has rounded corners, and is inhabited by carp and water plants including lotus flowers. The water of the pond originates from Yeolsangjinwon Well, which is located on a small hill to the north of the pond. In 1873, a wooden bridge named Chwihyanggyo was installe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pond, allowing people to reach Hyangwonjeong from Geoncheonggung.
It was the longest wooden bridge (length: 32m, width: 1.6m) built on a pond during the Joseon Period.
However, the bridge was destroyed during the Korean War, and a new bridge was built over the southern part of the pond in 1953. Hyangwonjeong is the most famous structure of the marvelous rear garden of Gyeongbokgung Palace, and was used as a place of relaxation by Joseon’s kings and their family members.
It displays outstandingly beautiful architectural features, including the hexagonal foundation stone and hexagonal hipped roof, as well as harmonious proportions and a graceful appearance.
출처:문화재청
"향원정"
"향원정"
"향원정"
집옥재 일원(중국적인 요소들이 많이 섞여 궐내에서 이국적인 지역을 형성하며 팔우정, 집옥재, 협길당의 건물이 복도를 통해 하나의 내부로 연결된다.)
건청궁 옥호루 곤녕합(명성황후가 1884년부터 1895년까지 침전으로 사용하던 건물로서 1895년 10월 8일 명성황후가 시해되어 을미사변이 일어난 곳이다.)
"명성황후를 그리다, 명성황후 영정"
"옥호루 안 꽃이 떨어지다"
'바롱이의 쪽지 > 서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철도안전수송비 (0) | 2022.07.20 |
---|---|
한국의 미소, 사유의 방(반가사유상) (0) | 2021.12.02 |
서울 선릉과 정릉 (0) | 2021.11.29 |
오랜 친구와 노포는 맛깔스럽다 (0) | 2021.11.28 |
서울 한국사찰음식문화체험관 (0) | 2021.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