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서울 관상감 관천대
2023. 10. 28. 13:33ㆍ바롱이의 쪽지/서울
반응형
"관상감 첨성대"
[보물 서울 관상감 관천대 (서울 觀象監 觀天臺) Gwancheondae Obervatory of Gwansanggam (Bureau of Astronomy), Seoul]
조선시대 기상대나 천문대인 관상감이 있던 자리에 설치한 것으로, 흔히 소간의대(小簡儀臺)나 ‘별을 관측하는 대’ 라는 뜻에서 첨성대(瞻星臺)라고 불렀다.
세종 16년(1434)에 설치된 서운관의 관측대로서, 서운관은 천문, 지리, 측후, 물시계와 관련된 일을 관장하는 곳이었다. 서운관은 조선 세조 12년(1466)에 관상감, 고종 31년(1894)에 관상소, 1907년에 측후소로 바뀌어 현대식 시설을 갖추기 시작할 때까지 업무를 수행했던 곳이다.
관천대는 다듬은 돌을 높이 4.2m, 가로 2.8m, 세로 2.5m 크기로 만들었고, 그 위에 직사각형의 돌로 난간을 둘러 놓았다. 그리고 지금은 없어졌지만 원래는 대 위로 올라가는 돌계단이 있었다.
경주에 있는 신라의 첨성대, 개성 만월대의 고려 첨성대, 서울 창경궁 내의 관천대와 더불어 우리나라 천문 관측역사의 발전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이다.
출처:문화재청
"보물 서울 관상감 관천대"
"보물 서울 관상감 관천대"
"보물 서울 관상감 관천대"
728x90
반응형
'바롱이의 쪽지 > 서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최고, 최대 재래시장 (1) | 2023.10.30 |
---|---|
보호수 526살 회현동 은행나무 이야기 (1) | 2023.10.29 |
국내 최대 버스터미널, 강남 센트럴시티 터미널 (1) | 2023.10.22 |
미식가의 정거장, 파미에스테이션 (2) | 2023.10.21 |
우리나라 최초의 벽돌로 쌓은 교회, 서울 명동성당 (1) | 2023.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