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향교

2023. 11. 29. 04:54바롱이의 쪽지/경상북도

반응형

[영천향교]

 

영천향교가 들어선 곳도 영천시 교촌동 경사가 가벼운 언덕이다. 일반적으로 향교는 관아에서 1~3리 정도 떨어진 읍성의 외곽 동쪽이나 서쪽에 위치하며, 좋은 산세를 배경으로 자좌오향(子坐午向), 즉 남향을 철저히 지켜 세워진다. 영천향교의 입지조건도 이에 근사하다. 경사가 가벼운 언덕에서 남쪽을 바라보고 있다. 전학후묘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향교배치를 따랐다.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유래루]


영천향교의 정문은 이층누각 유래루(牖來樓)이다. 보통 향교의 정문은 두 가지 양식으로 지어진다. 하나가 유래루와 같은 누각식이고 다른 하나가 문 세 개가 나란한 삼문 형식이다. 누각식의 경우 아래로 출입구를 내어 정문의 구실을 하면서 누마루는 유생들이 시부(詩賦)를 읊조리고 경치를 조망하며 휴식을 취하기도 하고 학문을 연찬하기도 하는 장소로 쓰인다. 편액의 내용은 ‘깨우치러(牖) 오다(來)’가 되겠는데, ‘배우러 오는 사람은 누구라도 막지 않는다’(來者莫拒)는 뜻을 담고 있다 한다. 누마루로 연결된 나무계단을 오르면 금호강 줄기에 나뉜 영천 시내가 눈 아래로 들어오지만 특별한 감흥이 이는 풍경은 아니다.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유래루에서 바라본 영천 전경"


[삼일재]


향교 입구에 서면 오른쪽으로 향교의 살림을 맡아보는 부속건물인 교직사(校直舍)가 들어섰고 왼쪽으로 담장에 둘러싸여 삼일재(三一齋)가 지붕만 내밀고 있다. 조선 말기가 되면 거의 유명무실해진 향교의 강학기능을 회복하고자 지방관이 양사재(養士齋)·흥학재(興學齋)·육영재(育英齋) 등을 향교 부속으로 건립하여 운영하기도 하는데, 삼일재가 바로 영천향교의 양사재이다. 건물 이름은 ‘부모가 모두 계시고 형제가 무고하며, 우러러 하늘에 부끄럽지 않고 굽어보아 사람에 부끄럽지 않으며, 천하의 영재들을 모아 가르치는’ 이른바 맹자삼락의 하나인 교육함을 즐겁게 생각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명륜당]

 

명륜당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겹처마 팔작지붕 건물이다. 가운데 3칸을 모두 틔워 대청으로 만들고 그 양쪽으로 온돌방을 하나씩 들였다. 정면에는 대청과 온돌방에 이어지는 쪽마루를 깔았는데 대청과 이어진 부분은 대청보다 낮고 양 옆의 툇간 부분은 더 높아 턱이 졌다. 이렇게 대청과 턱을 지워 앞퇴를 두는 구조는 가까이 있는 숭렬당과 흡사하여 영천 일대의 특색인 듯하다. 돌아가며 잘 살펴보면 여러 차례 보수한 내력을 보여주듯 몇 가지가 뒤섞인 막새기와의 무늬가 간결하면서 재미있다.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강학공간]


유래루를 통과하여 계단을 올라서면 정면에 명륜당이 듬직하고 양쪽으로 동재와 서재가 나란하다. 학문의 전수가 이루어지는 강학공간이다. 향교건축은 검박하고 고상한 선비의 기품과 엄정하고 균형 잡힌 법도를 숭상하는 유교의 영향을 받아 대체로 단순소박하고 잘 균제(均齊)되어 있다. 이곳의 명륜당이나 동·서재도 그러하여 건물들은 기능에 충실할 뿐 다른 장식이 배제되어 질박하고, 이 공간의 남북으로 중심선을 하나 그어보면 양쪽이 정확한 대칭을 이루고 있어 단정한 선비를 대하는 기분이 된다.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동.서재]


동재와 서재는 학생들의 기숙사이다. 조선은 신분제사회였으므로 누구에게나 교육의 기회가 주어진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향교교육은 법적으로는 양반뿐만 아니라 평민에게도 열려 있었다. 일단 향교의 교생이 되면 양반이건 평민이건 군역의 면제, 과거 응시자격의 부여 등에서 차별을 두지는 않았다. 그렇다고 반상의 구별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니 동재에는 양반의 자제들이 기숙하고 서재에는 평민 자제들이 생활하는 것도 그 하나였다. 모양이 똑같은 두 건물은 각기 정면 4칸 측면 1칸의 남북으로 긴 홑처마 맞배지붕 건물이다. 남쪽의 2칸은 마루이고 북쪽의 2칸은 온돌방이다.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보호수 수령 400년 회화나무]


명륜당 뜰 앞에는 400년쯤 묵은 회나무가 한 그루 정정하다. 향교나 서원의 뜰에 해묵은 은행나무가 서 있는 것을 자주 보게 된다. 행단(杏壇)이라 하여 공자가 은행나무 아래서 제자들을 가르친 데서 유래한 것이다. 향교에 회나무를 심는 것도 그와 비슷한 맥락에서다. 중국 주나라 때는 삼괴(三槐)라 하여 조정에 회나무 세 그루를 심고 삼공(三公)의 자리를 나타냈으며, 당나라 때는 회나무 꽃이 노랗게 변하는 음력 7월 무렵에 과거를 보였다. 특히 낙양 동쪽의 회나무숲에서는 선비들이 손수 쓴 책을 사고 팔고 또 강론을 하기도 하여 흔히 괴시(槐市)라고 불렀는데 후대에는 이 일을 들어 대학을 괴시라고 일컬었으니 향교 마당에 회나무가 선 연유를 미루어 알 수 있다.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내삼문과 제향공간"


[제향공간]


명륜당을 돌아들면 좌우로 담장이 이어진 내삼문이 나온다. 신문(神門)이라고도 하는 이 문을 들어서면 대성전이 정면에 있고 그 앞의 좌우로 동무(東廡)와 서무(西廡)가 시립하듯 벌려 섰다. 공자를 비롯한 중국과 우리나라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제향을 받드는 제향공간이다. 서무의 뒤쪽에 있는 전사청을 제외하면 이곳 역시 좌우의 대칭이 철저하고 세 건물의 지붕구조가 맞배지붕으로 같은데다 문의 구조와 단청수법까지 동일하여 차분한 통일성과 조용한 엄숙함이 가득하다. 동무와 서무는 구조와 크기가 같다. 정면 3칸 측면 1칸의 홑처마 맞배지붕 건물들이다. 정면에는 칸마다 널문을 달았으며 대성전의 그것처럼 윗부분에는 정자살을 대었다. 가구수법이 지극히 간단하여 기둥머리에서는 창방·도리·들보만이 기둥과 맞짜이고 있다. 이른바 무익공양식이다. 안에는 신라의 설총과 최치원, 고려의 안향과 정몽주를 포함한 우리나라 18현의 위패를 모셨다.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보물 영천향교 대성전 (永川鄕校 大成殿) Daeseongjeon Shrine of Yeongcheon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영천향교는 옛 성현께 제사를 드리고 학문을 갈고 닦는 지방의 국립교육기관이다. 제사를 지내는 공간의 중심 건물인 대성전은 공자를 비롯한 여러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조선 세종 17년(1435)에 처음 세웠고 중종 8년(1513)에 군수 김흠조가 고쳤는데, 지금 있는 건물은 그 뒤에도 여러 차례 다시 짓고 수리한 것이다.

 

규모는 앞면 5칸·옆면 3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이다. 가운데 칸과 양쪽 두 칸에 여닫이문을 달아 문 윗부분을 우물 정(井)자 모양의 창살로 꾸몄다. 옆면 1칸을 터서 복도형식으로 만든 일반적인 대성전 건축 형식과는 달리, 옆면 3칸을 모두 내부로 만들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건물 안쪽은 가운데 칸 뒷쪽에 1개, 양쪽에 2개씩 제단을 만들었고 천장은 서까래가 훤히 보이는 연등천장이다.

 

출처:문화재청

728x90
반응형

'바롱이의 쪽지 > 경상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천 자천교회  (1) 2023.12.01
영천 팔공산 은해사&백흥암  (2) 2023.11.30
영천역 급수탑  (1) 2023.11.28
보물 영천 숭렬당  (4) 2023.11.27
영남 7대 누각, 영천 조양각  (2) 2023.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