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여행(203)
-
청주 운보의 집, 예수의 생애관
"갓쓴 예수의 일대기"[청주 운보의집 예수의 생애관] 운보 김기창 화백의 역작으로 예수의 수난상을 한국화로 표현한 r예수의 생애」 (1952~53년) 성화 30점(판화)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운보는 피난생활 동안 예수의 일대기가 동족상잔의 우리 비극과 유사하다고 생각했고, 어서 전쟁이 끝나고 통일된 평화가 오기를 기원하는 마음에서 이 작품을 그렸습니다. 그림 속 인물들은 모두 한복을 입은 모습이며, 기적의 배경도 한국의 산하입니다. 한복속에 숭고하게 표현된 갓쓴 예수의 일대기를 감상하십시오.예수의 생애관(수태고지, 아기 예수의 탄생, 동방박사들의 경배)예수의 생애관(아기예수 이집트로 피난, 요한에게 세례를 받음, 사탄에게 시험받다, 산상설교)예수의 생애관(병자 고치다, 오천인을 먹임, 물 위를 걷다, 어..
2021.07.11 -
청주자랑 100가지, 운보의 집
"김기창 화백의 말년이 깃든…"[운보의 집] 청각장애를 앓았던 천재화가 운보 김기창이 말년을 보냈던 곳으로 안채와 행랑채, 정자와 연못, 돌담 등을 갖춘 전통 한옥이다, 운보미술관, 조각공원, 수석공원 등이 자연풍광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곳은 운보를 화가의 길로 이끈 어머니 한윤명의 고향이다. 운보는 부인 박래현 화백과 사별 후 1984년 운보의 집을 완공했으며 2001년 1월, 88세에 별세했다.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형동2길 92-41 출처:청주시"청주 운보의 집""운보의 집""운보의 집""운보의 집""운보의 집""모과나무와 운보의 집""모과나무""모과나무"[청주 운보의집] 이곳은 故 운보 김기창 화백 어머님의 고향으로 1976년 부인(故 우향 박래현 화백)과 사별하신 후 1984년 운보의 집을 ..
2021.07.10 -
안심사 영산회 괘불탱&먹거리
"유일하게 배채법(背彩法)을 사용한 조선후기 괘불탱 " [국보 제297호 안심사 영산회 괘불탱 (安心寺 靈山會 掛佛幀)] 석가불이 영취산에서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한 영산회상을 그린 괘불이다. 괘불이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하기 위해 법당 앞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는 대형 불교그림이다. 안심사에 있는 이 괘불은 길이 7.26m, 폭 4.72m의 크기로, 본존인 석가불을 중심으로,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비롯하여 설법을 듣기 위해 모여든 여러 무리들과 석가를 호위하는 사천왕상 등이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석가불은 오른쪽 어깨가 드러나는 우견편단을 걸치고 손가락을 땅으로 향하게 하여 마귀를 물리치는 의미를 지닌 항마촉지인의 수인을 취하고 중앙에 앉아있다. 길어진 팔과 손의 처리 등 세부적인 표현은 세..
2021.03.17 -
청주 연제리 모과나무&먹거리
"무동 마지막 모과나무"[천연기념물 청주 연제리 모과나무] 국내 모과나무 중 규모가 크고 수형 및 생육상태도 양호하며 줄기는 심한 요철이 그대로 나타나며 표면에 점박의 특징이 잘 나타난다. 조선 세조 초에 이곳에 은거하던 류윤이 세조의 부름을 받았을 때 이 모과나무를 가리키며 쓸모없는 사람이라며 거절하자 세조가 친히 ‘무동처사’라는 어서를 하사하기도 했다고 전해진다. 청주 연제리 모과나무는 ‘무동처사’라는 어서를 하사한 유서깊은 나무로, 생물학적 가치뿐만 아니라 역사·문화적 가치도 크다. [영문 설명] This tree, known to be the largest quince tree in Korea, boasts an excellent shape and growth condition, and has ..
2020.08.12 -
청주 공북리 음나무&먹거리
"조상들의 삶과 함께 살아온 나무"[천연기념물 청주 공북리 음나무 (淸州 拱北里 음나무) Carstor Aralia of Gongbuk-ri, Cheongju] 음나무는 보통 엄나무라고도 불리며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중국·만주·우수리 등지에 분포한다. 연한 잎은 나물로 먹고 가시가 있는 가지는 악귀를 물리치는데 사용하였다. 옛날에는 이 나무로 6각형의 노리개를 만들어 어린아이에게 채워 줌으로써 악귀가 들어오지 못하게 하였는데, 이것을 ‘음’이라고 하여 음나무로 불리워졌다. 청주 공북리의 음나무는 나이가 약 700살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8.96m, 가슴높이의 둘레 4.94m이다. 굵은 가지는 사방으로 뻗어 있으며, 편평한 가시가 있다. 마을 주민들이 신성시하며 치성을 드려왔지만 지금은 산속에 외로이 서..
2020.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