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청주박물관, 중원의 고려 사찰 사람과 바람

2021. 9. 2. 07:36바롱이의 쪽지/충청북도

반응형

국립청주박물관 청명관 기획전시실, 고려 건국 1100주년 기념 특별전 중원의 고려 사찰 사람과 바람


고려사(조선 금속활자본(을해자)/조선 세조 원년(1455)에 만든 동활자인 을해자로 찍은 것으로 현재 전하는 고려사 판본 중 최고의 선본이다. 고려 태조가 후대의 왕들을 위해 남긴 훈요 10조가 권2 세가 태조 27년(943) 4월 기사에 수록되어 있다. 전체 10개 항목 중 제1조,제2조,제6조에서 불교에 대한 태조의 숭앙심을 확인할 수 있다.)


"고려 건국과 중원, 중원의 고려시대 사찰"


[국보 상지은니 묘법연화경 (橡紙銀泥 妙法蓮華經)]

묘법연화경은 줄여서 ‘법화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우리나라 천태종의 근본경전으로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 있음을 기본사상으로 하고 있다. 화엄경과 함께 우리나라 불교사상의 확립에 가장 크게 영향을 끼쳤으며, 삼국시대 이래 가장 많이 유통된 불교경전이다. 

이 책은 후진의 구마라습(鳩摩羅什)이 번역한 『묘법연화경』 7권을 고려 공민왕 22년(1373)에 은색 글씨로 정성들여 옮겨 쓴 것이다. 각 권은 병풍처럼 펼쳐서 볼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크기는 세로 31.4㎝, 가로 11.7㎝이다. 

책 끝의 기록에 의하면 당시 봉상대부 허칠청의 시주로 간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뒷면에 ‘영암도갑사유전(靈巖道岬寺留傳)’또는‘당사유전(當司留傳)’이라고 먹으로 쓴 기록이 몇 군데에 보이고 있어 원래 전라남도 영암의 도갑사 소장본이었음을 알 수 있다.

불경의 내용을 요약하여 그린 변상도(變相圖)는 없으나, 정성들여 만들었고 보존이 잘 된 편이다. 특히 이 책은 일본으로 유출되었다가 최근에 되찾아온 것으로서 더욱 중요하게 평가된다.

[영문 설명]

Saddharmapundarīka Sutra, or the ‘Lotus Sutra’ is the principal scripture of the Korean T'ien-t'ai Sect. The main idea of the book is that the way to become a Buddha is being to open to everyone.

Along with the Avatamsaka Sutra, this principal scripture of the Avatamsaka Sutra is one of the books that had the greatest effect in the establishment of Korean Buddhist philosophy and most widely read since the of Three Kingdoms Period.

This book was copied with extreme effort in the 22nd year of King Gongmin of the Goryeo Period from the seven books of the Saddharmapundarīka Sutra translated by Kumārajiva of the Later Qin Dynasty. The characters are written in silver and each book is made in the form of a folding screen, 11.7cm long and 31.4cm wide.

According to the remark at the end, this book was published as an offering by a senior government official by the name of Heo Chil-cheong. The writings found in several places on the back cover suggest that this had been originally kept at Dogapsa Temple in Yeongam.

Although it does not contain a summary painting, the book is made with utmost care and preserved in a relatively good condition. It was once taken to Japan, but recently returned to Korea.

출처:문화재청


한씨 여성이 만들어서 바쳤다라는 내용의 글귀가 새겨진 청동 동잔


"용두사지 철당간 복제품과 용두사지 철당간기 탁본"


[국보 충주정토사지 홍법국사탑 (忠州 淨土寺址 弘法國師塔)] 복제품

고려 목종 때의 승려인 홍법국사의 탑으로, 충청북도 중원군(현 충주시)의 정토사 옛터에 있던 것을 1915년에 경복궁으로 옮겨 왔으며,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홍법국사는 통일신라 말부터 고려 초에 활약하였던 유명한 승려로서 당나라에서 수행하고 돌아와 선(禪)을 유행시켰으며, 고려 성종 때 대선사(大禪師)를 거쳐 목종 때 국사(國師)의 칭호를 받았다.

기단(基壇)은 네모난 바닥돌을 깐 후에 8각의 아래받침돌을 놓고, 그 위로 엎어놓은 연꽃무늬가 새겨진 높직한 괴임을 두어 가운데받침돌을 올린 후 다시 윗받침돌을 얹어 놓은 모습이다. 가운데받침돌에는 구름을 타고 있는 용이 섬세하게 조각되어 있고, 윗받침돌에는 아래와 대칭되는 솟은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이 탑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탑신(塔身)의 몸돌로, 둥근 공모양을 하고 있다. 몸돌에는 공을 가로·세로로 묶은 듯한 십(十)자형의 무늬가 조각되어 있으며, 그 교차점에는 꽃무늬를 두어 장식하고 있다. 지붕돌은 별다른 장식은 없으나 여덟 곳의 모서리마다 꽃조각을 둔 것이 눈에 띄는데, 아쉽게도 대부분이 없어져 버렸다. 삿갓 모양으로 깊숙이 패인 지붕돌 밑면에는 비천상(飛天像)이 조각되어 있다.

전체적인 구성에서는 8각형을 기본으로 하는 신라의 탑형식을 잃지 않으면서 일부분에서 새로운 시도를 보여준 작품으로, 제작연대는 고려 현종 8년(1017)이다. 공모양의 몸돌로 인해 ‘알독’이라고 불려지기도 한 이 탑은 새로운 기법을 보여주는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탑으로, 섬세한 조각과 단조로운 무늬가 잘 조화되어 부드러운 느낌을 주고 있다.

[영문 설명]

This reliquary monument, set up to honor eminent Goryeo monk and State Preceptor Hongbeop, had originally been located at a Buddhist temple called Jeongtosa in Jungwon-gun (today’s Chungju), Chungcheongbuk-do but was moved to Gyeongbokgung Palace in 1915 and, finally, to its current location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Seoul.

Hongbeop was an eminent spiritual leader for the Korean Buddhists in the 10th century, introducing them to Seon (or Zen) Buddhism that he had studied in Tang. He was given the honorable title “State Preceptor” (Guksa) after “Great Seon Master” (Seonsa) when Goryeo was under the reign of King Seongjong (981-997).

The stupa features a foundation consisting of a square slab supporting an octagonal base and a three-tier pedestal whose lower pedestal is shaped like a down-turned lotus blossom; the octagonal middle pedestal is elaborately carved with dragons flying between clouds, and the upper pedestal is shaped like an upturned lotus blossom.

On the pedestal is a spherical stone carved with ropes tying the stone sphere crisscross with floral motifs placed on the spots where the ropes intersect. The roofstone is comparatively simple, with no significant ornamentation except the “corner flowers,” most of which are now missing. Under the roofstone are heavenly maids carved in relief.

As a work built in 1017 when Goryeo was under the rule of King Hyeonjong (r. 1010-1031), the stupa had introduced some new elements even as it also maintained the style of Silla stupas characterized by an octagonal structure. With fine balance and harmony between new and old techniques and elements and use of a spherical stone for its main feature, the monument is widely considered one of the most valuable stupas erected during the Goryeo period.

출처:문화재청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보물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좌측), 국보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우측)


[보물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蜜經)]

이 책은 목판본으로 구마라즙(鳩摩羅什)이 번역한 금강경을 바탕으로 육조 혜능(慧能)이 금강경에 대해 해석한 내용을 붙인 것이다.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은 줄여서 ‘금강경(金剛經)’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모든 법이 실체가  없으므로 집착하는 마음을 일으키지 말라는 공(空)사상을 중심사상으로 하고 있다. 제10의 <장엄정토분(莊嚴淨土分)>에서는 청정한 마음으로 외적인 대상에 집착함이 없이 ‘마땅히 머무르는 바 없이 그 마음을 낼 것(應無所住而生其心)’을 가르친다.

이는 혜능 및 여러 고승들을 깨닫게 한 유명한 구절이다. 우리나라에서 조계종의 근본경전으로 반야심경과 함께 가장 많이 읽히는 경전이다.

고려 충렬왕 31년(1305) 청주 원흥사(元興寺)에서 개판된 점이 주목되는데, 곧 원흥사의 육구(六具), 박지요거사(朴知遙居士) 등이 발원한 사찰판이다. 이는 1377년의 흥덕사(興德寺) 간행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이전에 간행된 판본으로서, 청주지역이 우리나라 인쇄문화의 발흥지임을 나타내는 중요한 자료라는 점에서 소중하다.

[영문 설명]

This woodblock-printed book of the Geumgangbanyabaramilgyeong (Diamond Sutra), which is more commonly known as Geumganggyeong, is translated by Kumarajiva and is inclusive of a commentary by Huineng of the Tang Dynasty of China. The central principle behind its teachings is the concept of emptiness – since all laws of the universe are spiritual, one should empty one’s mind from all attachment to the material world. Chapter 10 of the book (On Buddha’s Pure Land) teaches how one must have a pure heart and must avoid becoming deeply attached to the external world, and that one should empty one’s mind and avoid getting attached to one place.
This is a famous teaching that brought enlightenment to many high monks including Hyeneung.

Geumganggyeong is the main Buddhist scripture of the Korean Buddhist Jogye Order and -- together with the Banyasimgyeong (Prajina-Paramita Sutra) -- is the most widely read Buddhist scripture. As a revised edition made in 1305 (the 31st year of the reign of King Chungnyeol of Goryeo) by Monk Yukgu and Bak Ji-yo of Wonheungsa Temple in Cheongju, this book was published before Jikji (Baegun hwasang chorok buljo jikji simche yojeol), the world’s earliest surviving book printed from metal type (published in 1377 by Heungdeoksa Temple) and is a testimony to the significant role played by Cheongju City in the country’s printing history.

출처:문화재청


[보물 선림보훈(禪林寶訓)]

『선림보훈』은 고려 우왕 4년(1378)에 충주의 청룡선사(靑龍禪寺)에서 간행한 서책으로, 선사들의 도와 덕에 관한 교훈을 모은 선서(禪書)이다.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의 동일한 판본이 이미 보물 제700호로 지정되어 있듯이 고려 말기부터 조선으로 이어지는 시기의 우리 불교 사상이나 선종의 흐름을 살필 수 있는 귀한 자료이다. 또한 서책 간행과 관련된 거의 모든 사실이 기록으로 남아 있어서 고려 말기 지방 사찰본의 간행 특징을 살필 수 있다.

발문 및 간행에 참여한 인물들에 관한 기록이 수록되어 있으며 이 책이 우리나라에서 간행된 전말에 관한 자세한 사실을 알 수 있다. 더욱이 현재 전래되고 있는 판본 가운데 판각과 인출이 가장 정교한 고려본으로 판단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이러한 점에서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하여 연구하고 보존·관리할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

출처:문화재청


"직지심체요절 목판본, 직지심체요절 판목"


"왕실 사찰 숭선사"


"숭선사 출토 유물"


"청동 풍판과 금동 풍탁"


"금동 풍탁"


"숭선사 금동용두토수와 금당 지붕 모형(추정)"


[보물 금동용두토수(金銅龍頭吐首)]

토수란 지붕의 추녀나 사래 끝이 비바람에 부식되는 것을 막기 위해 끼우는 용머리형의 기와이다.

높이 30.5㎝, 길이 35.2㎝의 이 토수는 목 부분을 방형으로 절단하고, 그 속을 비워 나무를 끼울 수 있게 하였고, 나무를 고정시키기 위해 못 구멍 좌우에 각각 2개씩 뚫었다. 전체를 도금하였으나 현재는 대부분 탈락되었다.

용은 눈을 크게 부릅뜨고 있으며, 뭉툭한 윗이빨이 아래입술 위로 돌출되어 있다. 코는 짧게 처리했고 약간 불거져 나온 눈동자를 2단으로 만들어 생동감 있게 처리하였다. 눈 위로 돌출된 눈썹은 각을 이루며 끝부분을 뒤쪽으로 흩날리듯 뾰족하게 조각하였다. 이마 정수리에 높게 솟은 뿔은 뒷쪽으로 길게 뻗어가다 끝부분이 앞으로 둥글게 말린 고사리 형태를 하고 있다.

금동용두토수(金銅龍頭吐首)는 안압지 금동제 용두나 경상북도 영주 출토 금동용두보당과 비교하면 사실적인 면이나 역동감이 부족한 느낌이 든다. 세부장식 표현이 생략되었고 코가 짧고 뭉툭하여, 용보다는 거북이 머리에 가깝게 표현된 점에서 통일신라 또는 고려 초기에 만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설명]

Tosu is an interior ornament that covers the wooden portion of a roof to increase its durability and prevent wear and tear from heavy rain and strong wind.

This one is 30.5 cm high and 35.2 cm long. The neck area is cut to a square shape and then a hole is made and a piece of wood inserted. To fix the wood, two nail holes were made on each side of the hole. The whole area had been plated, but most of the plating has come off over years.

The eye of dragon is open wide, while its stubby upper teeth stick out over the lower lip. The nose is short and to make the dragon look alive, the pupils are made rather reddish and divided into two parts. The eyebrows sticking out above the eyes are bent backwards at a sharp angle while the tips of eyebrow are dancing in the wind. The two horns rising high from the forehead extend far backwards and roll up like bracken at their tips.

Compared to gold-plated dragonheads found in Anapji Pond and another site in Yeongju, Gyeongsangbuk-do Province, this piece is inferior in both artistic quality and dynamics. The details of its ornaments are abbreviated and the nose is short and broad, making it look more like the head of a turtle than of a dragon. It can be presumed from the evidence that this was produced from the period between the last days of Unified Silla and the beginning of Goryeo Dynasty.

출처:문화재청


"현존 국내 유일 금동 토수"


숭선사 출토 금동 연꽃봉오리 모양 기와못, 백자 연꽃봉오리 모양 기와못 장식, 청자 연꽃보엉이 모양 기와못 장식


"불이문"


흥덕사가 새겨진 청동 금고(흥덕사 터가 위치한 운천동 지역의 택지 개발 공사로 인해 파손된 상태로 수습되었다, 1985년에 금고 편이 먼저 발견되고 이듬해에 인근의 주택지에서 몸체가 추가로 수습된 것이다 금고 편에는 '흥덕사'라는 글귀가 선명하게 남아있어서 이 금고가 발견된 장소가 직지심체요절 (1377)을 금속 활자로 간행한 흥덕사 터임을 알 수 있었다.)


흥덕사가 새겨진 찟겨진 부분 금구(직지의 간행처 흥덕사 실체 확인. 갑인년 5월 서원부 흥덕사 금구 하나를 고쳐 만드는데 들어간 구리는 32근이다라는 전체 내용 확인)


"깊고 오묘한 깨달음의 맛, 황통 10년이 새겨진 발우"


"청주 영하리 석조여래좌상"

금동 금강령.금강저, 청동 금강령.금강저


"우리의 간절한 바람을 담아서"


"청주를 Memo(利)하다! 청주를 감(感)치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