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천의 보물 문화유산

2021. 10. 31. 08:00바롱이의 쪽지/강원도

반응형

[보물 홍천 희망리 당간지주 (洪川 希望里 幢竿支柱)]

절에 행사가 있을 때, 절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고 부른다. 사찰 입구에 설치되어 신성한 영역임을 표시하기도 한다.

 이 곳에 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지만, 주변 부지에서 많은 기와조각이 발견되어 절터로 짐작되고 있다.

지주는 약 70㎝의 간격을 두고 마주 서 있는데, 이 두 지주의 사이가 당간이 들어갈 부분이다. 특별한 장식없이 소박하며, 중간 아래로 내려오면서 조금 굵어졌고, 밑부분에 이르러는 더욱 굵어진 모습이다. 깃대를 고정시켜주는 홈이 안쪽 윗부분에 파여져 있다.

인근에 함께 있는 홍천 희망리 삼층석탑(보물)과 관련지어 볼 때, 거의 같은 시기인 고려 중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본다.

[영문 설명]

Danggan were flagpoles on which flags (dang) were hoisted at the entrance of a temple to mark special occasions such as Buddhist ceremonies or prayers. The flagpoles were supported by two stone buttresses called dangganjiju.

These two unadorned flagpole supports stand 70cm apart at a site about which there are no known records, although the discovery of numerous fragments of broken roof tiles has led historians to conclude that it used to be occupied by a temple. 

The flagpole supports are believed to have been erected in the middle of the Goryeo Dynasty (918-1392), around the same time as the nearby Three-story Stone Pagoda in Huimang-ri, Hongcheon (Treasure No. 79).

출처:문화재청


보물 홍천 희망리 당간지주(주변은 주택가이고 앞으로는 높은 제방이 가로막긴 했지만, 바로 제방 너머 홍천강을 바라보게 되었던 게 당간지주의 본래 모습이 아니었나 여겨진다. 이 근동 일대가 모두 여기 당간이 알리던 절터였다고 전하며, 지금도 땅을 파면 기와 조각이 나온다고 하니 아마도 이 근방 유수의 대찰이었던 모양이다.

또한 현재 당간의 위치나 주변으로 봐서 천변(川邊)사찰이며 평지가람이었을 것으로 짐작되는데, 이는 매우 드문 경우에 해당한다. 다만 여기에 절이 있던 당시에도 둑방이 있었는지는 모르겠으나 작지도 않은 큰 개천이 절과 너무 가깝게 있지 않았나 하는 우려를 지울 수 없다. 만일 둑방이 없이 홍수를 만난다면 물은 여지없이 넘쳐 들어왔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당간지주는 약 70㎝ 거리에서 동서로 마주보고 서 있는데 마주보는 안팎에 아무런 조식이 없어 간결하고 수수하다. 맨 윗부분에만 작은 호선(弧線)이 그려져 있고, 당간을 고정시키는 간(杆)은 위쪽 한 곳에만 마련됐으며, 양 지주의 안쪽 윗면에 장방형의 간구가 있는 등 고려 중기에 흔히 보이던 생략된 양식이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기단과 간대가 본래 없지는 않았겠으나 석재조차 전혀 남아 있지 않아 알 방법이 없고, 현재의 기단은 새로 단장해 마련한 듯 방형의 넓적한 공간에 자갈이 촘촘히 깔려 있다. 그 안에 5m 키의 당간지주를 세웠는데, 본래 상태가 아니어서 균형을 잃고 있으나 모르는 사람이 보면 마음 써 단장을 했구나 여길 만하다. 당간 앞뒷면에 검은 페인트칠로 낙서가 돼 있어 심란하다. -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보물 홍천 괘석리 사사자 삼층석탑, 보물 홍천 희망리 삼층석탑, 등록문화재 구 홍천군청"


[국가등록문화재 구 홍천군청 (舊 洪川郡廳)]

1950년대 외국 건축물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절충적으로 표현되어 나타나는 발코니형(바렌다식) 건축물로 건립당시 관공서 건물의 특징을 잘 나타냄

[영문 설명]

This building exhibits balcony-type, which has been expressed eclectically in the process of accepting foreign buildings during the 1950s. It accurately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official buildings from the time of its establishment.

출처:문화재청


[보물 홍천 희망리 삼층석탑 (洪川 希望里 三層石塔)]

­1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갖춘 고려시대의 일반적인 3층석탑으로, 원래는 홍천초등학교 뒤에 있던 것을 현재의 군청으로 옮겨 놓았다. 보수를 하여 보존상태는 양호하나 이미 지붕돌은 깨어졌다.

널찍한 돌 2장이 놓여 있고 그 위로 기단과 탑신부가 있는 상태이다. 기단 가운뎃돌의 각 모서리에 기둥모양을 새겨두었으며 가운데에도 기둥조각을 두었다. 기단을 마감하는 맨 윗돌은 윗면에 약간의 경사가 있다.

탑신부는 각 층의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는데, 몸돌마다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조각하였다. 안타까운 것은 3층의 몸돌이 없어져 위층으로 가면서 줄어드는 비율을 뚜렷하게 관찰할 수 없다는 것이다. 지붕돌 밑에는 모두 4단씩의 받침을 새겼다. 지붕돌이 두껍지는 않지만, 네 귀퉁이 끝부분의 치켜올림이 적어서 날렵한 느낌은 없다.

각 부의 조각이 약화된 모습을 보여 고려 중기 이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영문 설명]

This typical three-story stone pagoda consisting of a one-layer stylobate and a three-story main body used to be located in the rear grounds of Hongcheon Elementary School, but is now kept at the county office. It is in a reasonable state of preservation, although its roof stone was already broken prior to being moved.

The pagoda’s base is made of two wide supporting stones for the stylobate, and the corners and center of the middle stone of the stylobate are carved with pillar patterns. The upper side of the cover stone is slightly slanted. 

The main body, whose corners are carved with pillar patterns, and the roof stones of each story are each made from a single block of stone. A four-stepped cornice is carved under each of the roof stones, which, though slim, look rather heavy. As the body of the third story is missing, the tapering of this pagoda is not immediately apparent.

Given the simple sculptural style of each part, this pagoda is assumed to have been built sometime after the mid-Goryeo Period (918-1392).

출처:문화재청


[보물 홍천 괘석리 사사자 삼층석탑 (洪川 掛石里 四獅子 三層石塔)]

원래 두촌면 괘석리에 있던 탑으로, 현재의 자리인 홍천 군청 안으로 옮겨 세웠다. 탑이 서 있던 원래의 위치는 일대가 절터였을 것이나, 지금은 밭으로 변하고 주변에는 기와조각들만이 흩어져 있다.

탑은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로, 4마리의 돌사자가 있어 4사자탑(四獅子塔)이라 부르고 있다. 아래층 기단의 각 면에는 안상(眼象)이 조각되어 있는데, 그 안에 꽃무늬조각이 장식되어 있어, 고려시대의 특징이 잘 담겨져 있다. 위층 기단에는 각 모서리에 돌사자 1마리씩을 두어 넓적한 윗돌을 받치게 하였는데, 이 탑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다. 이 사자들이 둘러싸고 있는 중앙의 바닥과 천장에는 연꽃받침대가 놓여 있어, 원래는 이곳에 불상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새겼다. 지붕돌은 밑면에 3단의 받침을 새겼고, 가파른 경사면 탓인지 얇고 밋밋하다. 네 귀퉁이는 살짝 젖혀져 뾰족하다. 탑의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네모난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만 남아 있다.

전체적으로 곳곳에 파손된 부분이 있고, 닳은 흔적이 보이나 대체로 본 모습을 잘 갖추고 있다. 기단에서 보이는 안상 조각수법과 돌사자, 연꽃받침 및 지붕돌의 3단 받침 등에서 고려시대의 양식을 물씬 풍기고 있다. 각 재료의 구성이 통일신라의 방법을 많이 따르고 있지만 고려시대 중기이후에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영문 설명]

This stone pagoda, located at the county office of Hongcheon, used to be in Gwaeseok-ri of Duchon-myeon.  The original site at Gwaeseok-ri where a Buddhist temple is presumed to have once stood is today used as a farm field. 

A few roof tile shards still lie about in this place. The pagoda has three stories, mounted on a two-tier base with four seated stone lions.  For this reason, the pagoda is referred to as the Four Lions Pagoda. The four sides of the base are sculpted with floral designs inside a beveled area, true to the prevailing Goryeo-period style. The stone lions each occupy one of the four corners of the pagoda, propping up with the wide stone slab above their head.  A lotus pedestal is visible on the stone slab above the four lions and in the middle of the stone slab on which they are seated, indicating that a Buddha used to be ensconced there.

The roof stones are separate from the rest of the pagoda and have three-tier beveled edges at their base. The roof stones are rather thin and plain in appearance, possibly due to the steep pitch.  The four tips of the roofs are slightly turned up and pointed.  The finial base is missing, with only the dew basin remaining.

The stone pagoda has pieces broken off in various places with traces of erosion, but retains its original appearance overall.  Based on the sculptural techniques used to create the beveled areas of the base, enclosing floral designs, stone lions, lotus pedestal and the three-tier bottom edges of the roof stones, this pagoda is strongly reminiscent of a Goryeo pagoda.  Although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Unified Silla style in terms of the overall design, this pagoda is likely to date from the mid-Goryeo period or later.

출처:문화재청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