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 예천권씨 초간공파 종택

2022. 1. 10. 05:06바롱이의 쪽지/경상북도

반응형

[국가민속문화재 예천 예천권씨 초간공파 종택 (醴泉 醴泉權氏 草澗公派 宗宅)]

이 집은 낮은 뒷동산을 배경으로 경사진 대지 위에 동쪽을 향하여 위치하고 있다. 

조선시대 전기 양반집으로 초간(草澗) 권문해(權文海)의 할아버지인 권오상(權五常)이 1589년(선조 22)에 건립하였으며 임진왜란 이전에 지은 주택으로 그 유례가 드물고 학술적 가치가 높다.

별당인 사랑채(보물)는 앞쪽에 돌출되어 있으며, 그 왼쪽 뒤로 ‘ㅁ’자형 몸채를 지어 별당과 연결하였다. 별당의 왼쪽에는 백승각이 별당을 바라보고 있고, 별당의 오른쪽 뒤로는 사당이 있다. 별당 앞쪽에도 행랑채 겸 대문채가 있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고 한다. 

별당 전면에 높은 축대 및 대청에 난간이 설치되어 있어 배면으로 오를 수 있고, 사랑채 뒤로는 2칸의 날개채를 달아 안채 행랑과 연결되어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사랑채인 별당이 대청 위주의 누각식으로 지었고 안채에서는 건넌방에 비해 안방이 과도하게 강한 공간 위계를 가지며 행랑과 날개채 등을 통해 안채와 사랑채가 긴밀히 연결되어 있는 것은 조선 전기 접객 중심의 살림집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조선 전기 누각형 접객 건물의 흔적을 볼 수 있는 드문 사례가 된다. 

[영문 설명]

This tile-roofed house with a low mountain in the background is situated on a sloping area facing southeast. 

It was built by the 13th great grandfather of the present owner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which was before the Imjin Waeran o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Sarangchae (men’s quarters), which protrudes to the right front, was built on a high pedestal in pavilion style with railings (Treasure No. 457). The “ㄱ”-shaped anchae (women’s quarters) on the left back side was also constructed on the 2-layered high pedestal. By installing several steps in front of the middle gate leading to the anchae, the whole building looks grand. On the right side of the anchae is an inner sarangchae connected to the sarangchae through its wooden floor. There is a shrine on the right side of the anchae. A vertical support wa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door frame of the shrine. 

This house has been well-preserved and is an excellent example of housing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hus providing important information in studying the structure and style of residential housing of the Joseon Dynasty. This house used to be called “Head House of the Yecheon Gwon Clan” at the time of its designation as important folklore cultural heritage. Note, however, that Gwon Mun-hae (pen-name: Chogan) was the eldest son of O Sang-gong, who was the 5th-generation descendant of the progenitor of Yecheon Gwon’s Clan. Since the name of the house could be mistaken for the head house of Yecheon Gwon’s Clan, it was changed at the request of the Yecheon Gwon Clan Association and based on an agreement with the current owner of the house (Jan. 29, 2007). 

출처:문화재청


[경상북도 기념물 예천죽림리향나무 (醴泉竹林里향나무)]

향나무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을 비롯해 울릉도와 일본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상나무·노송나무로도 불린다. 이 나무는 강한 향기를 지니고 있어 제사 때 향을 피우는 용도로도 쓰이며 정원수·공원수로 많이 심는다.

예천 죽림리 향나무의 나이는 30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10m, 둘레 0.6m로 울향(鬱香)나무라고 불리고 있다. 전해져 내려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권오상이라는 사람이 울릉도로 유배당했다가 돌아올 때 가지고 온 향나무로 이 마을을 개척할 때 연못가에 심었다고 해서 울향나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예천 죽림리 향나무는 오랜 세월 대수마을 주민들의 관심과 보살핌 속에서 지내온 나무로 생물학적 보존가치가 인정되어 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출처:문화재청


"예천권씨 초간공파 종택"


안채와 별당(점점 높아가는 지세에 따라 집을 지어 집이 층위를 이루고 있다. 건물 전체가 매우 높고 웅장해 보인다. -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예천권씨 초간종택 백승각('대동운부군옥' 목판 677매, '초간일기', '해동잡록', '죽소일기', 14대째 전해오는 옥피리가 보관되어 있다.)

항아리가 얹어진 작은 사랑채(안채 아랫방) 벽 작은 굴뚝 


[보물 예천권씨 초간종택 별당 (醴泉權氏 草澗宗宅 別堂)]

조선 중기의 문신인 초간 권문해(1534∼1591) 선생의 할아버지 권오상 선생이 지었다고 전하는 건물이다.

규모는 앞면 4칸·옆면 2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앞쪽에서 보면 오른쪽 3칸은 대청마루고 왼쪽 1칸은 온돌방인데 온돌방은 다시 2개로 나뉘어 있다. 대청 앞면은 문짝 없이 열려 있지만 옆면과 뒷면은 2짝 널문을 달았으며 집 주위로 난간을 돌려 누(樓)집과 같은 모양으로 꾸몄다.

겉모습은 대체로 소박한 구조를 보이고 있으나 안쪽은 천장 부분에 설치한 여러 재료들을 정교하고 화려하게 장식하여 호화롭게 꾸미고 있다. 별당 뒤 서고에는 권문해 선생이 쓴『대동운부군옥(大東韻部群玉)』의 판목 677매와 14대째 전하는 옥피리,『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전질 120권을 보존하고 있다.

일반 주택건축으로는 보기 드물게 건물 안쪽을 장식하여 꾸민 수법이 뛰어난 조선시대 별당 건축이다.

[영문 설명]

The detached quarters of the house of Yecheon Gwon’s Clan are said to have been built by Gwon O-sang, a grandfather of Gwon Mun-hae (pen-name: Chogan, 1534-1591) who was the civil minister of mid-Joseon.

The building has four kan (a unit of measurement referring to the distance between two columns) at the front and two kan at the side and half-hipped roof resembling the shape of 八 when viewed from the side. From the front, three kan on the right are used as the main floor, whereas one kan on the left is a room with a floor heating system divided into two spaces. The front of the main floor is open without a door, and its side and back side have two pairs of wooden door each. In addition, the handrail is installed around the house so that the building looks like a pavilion.

The building appears to have a simple structure on the whole; note, however, that the ceiling part inside the building was constructed with splendid decorations using various kinds of materials. The library, placed at the rear to the detached quarters, preserves 677 pieces of the printing block Daedong unbu gunok (Encyclopedia of Korea, Arranged by Rhymes of the Entries) written by Gwon Mun-hae, a jade flute handed down through 14 generations, and the complete set of 120 volumes of Jachi tonggam gangmok (Itemized Comprehensive Mirror for Aid in Government).

This building, construc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exhibits sophisticated skill in decorating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which is rarely found in regular private houses.

출처:문화재청


보물 예천권씨 초간종택 별당(예천권씨 초간종택 별당은 풍수지리상 명당 자리로 유명한 죽림리 대수마을에 있다. 조선 중기 문인 초간 권문해(權文海, 1534~1591)의 할아버지 권오상(權五常)이 지었다고 전하며, 예천권씨 초간공파 종택국가민속문화재 제201호 안채의 오른쪽 앞에 있는 별당 형식의 사랑채이다. 평지 위에 막돌로 높게 축대를 쌓고 그 위에 집을 세우고 난간을 돌린 다락집 모양이다. 실제로는 안채와 연결되어 있으나 지붕이 팔작지붕이기 때문에 정면에서 보면 독립된 건물처럼 보인다.

규모는 정면 4칸 측면 2칸으로, 오른쪽 3칸은 대청이고, 왼쪽 1칸은 온돌방이다. 대청 앞면은 문짝 없이 개방하고 옆면과 뒷면은 판벽을 쳤다. 외관은 네모 기둥에 주두*만을 얹어 대들보를 받친 간소하고 소박한 모습이나 별당 내부 천장은 상당히 공을 들여 정교하게 꾸몄다. 일반 주택 건축으로는 보기 드물게 뛰어난 기법으로 건물 안쪽을 장식하여 꾸민 조선 시대 별당 건축물이다.

*주두: 공포를 받치는 넓적하고 네모진 나무로 기둥 위를 장식하며 공포를 타고 내려온 하중을 기둥에 전달하는 역할을 함

출처:문화재청)


예천권씨 초간종택에서 바라본 오미봉, 금당실마을, 천연기념물 예천 금당실 송림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