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 해저터널&착량묘

2022. 3. 30. 05:14바롱이의 쪽지/경상남도

반응형

[한산대첩 전투 군상]

임진왜란 당시 한산대첩 전투장면을 판옥선 위에 재구성한 수군 군상 조형물이다. 조형물은 이순신장군을 중심으로 우국충정으로 전투에 임한 수군들을 함께 구성하였다. 사부(활을 쏘는 사람),포수(포를 쏘는 사람), 기수(깃발로 신호하는 사람), 나팔수(나팔을 불어 신호하는 사람), 고수(북을 치는 사람), 격군(노를 젓는 사람)등 각자의 자리에서 혼신의 힘을 다해 나라를 지키고자 사투를 벌였던 수군들의 활약상을 함께 기리고자 하였다.


"한산대첩 전투 군상"


"한산대첩 전투 군상"


[국가등록문화재 통영 해저터널 (統營 海底터널) Tongyeong Undersea Tunnel]

1932년 건립된 터널시설로, 통영과 미륵도를 연결하는 동양 최초의 해저 구조물이다. 

일제 강점기 당시 우리나라 침탈의 기반 시설로서 건립되면서, 터널 건설에 주도적 역할을 하였던 일본인 통영 군수 야마구찌의 자작 휘호로 전해오는 “龍門達陽”이란 글씨가 남아 일본의 침탈의 역사를 그대로 증언하고 있다.

일본 어민의 이주가 본격화됨에 따라 두 지역 간 거리 단축을 위해 건립되었으며, 길이 483m, 폭 5m, 높이 3.5m, 해수면 아래 최대 10m 깊이 규모로 철근콘크리트조로 터널부가 이루어져 있다.

[영문 설명]

Established in 1932 This facility is the first undersea tunnel in Asia that connects Tongyeong and Mireukdo Island. 

Before the tunnel construction, Mireukdo was island during rising tide but accessible by foot during the ebb. But as Japanese fishermen flooded into Korea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is tunnel was built to shorten the distance between these two regions. 

Although the construction was undertaken by the Japanese Empire, the tunnel is historically valuable in that manpower and materials were Korean.

출처:문화재청


[경상남도 기념물 통영 착량묘 (統營 鑿梁廟)]

임진왜란 때 큰 공을 세운 충무공 이순신(1545∼1598) 장군의 위패와 영정을 모시고 있는 사당이다.

착량(鑿梁)이란 ‘파서 다리를 만들다.’라는 뜻으로 당포해전에서 참패한 왜군들이 쫓겨 달아나다 미륵도와 통영반도 사이 좁게 이어진 협곡에 이르러 돌을 파서 다리를 만들며 도망한데서 붙인 이름이다.

이순신 장군이 임진왜란에서 혁혁한 공을 세우고 선조 31년(1598) 노량해전에서 전사하자 이를 애통하게 여긴 이 지방 사람들이 그의 충절과 위업을 기리기 위해 착량지가 내려다보이는 언덕 위에 초가를 짓고 정성껏 그를 모셔온 것이 이 사당의 시초가 되었다. 이후 고종 14년(1877) 그의 10대손인 이규석이 통제사로 있을 때 초가집을 기와집으로 고쳐 지었고 호상제를 지어 지방민들의 자제를 교육하였다. 1979년 동재를, 1980년 고직사를 새로 지어 서원 양식을 갖추었다.

또 다른 사당인 충렬사에서는 봄과 가을로 향사를 하고 이곳에서는 해마다 음력 11월 19일 충무공이 돌아가신 날을 추모하는 기신제(忌宸祭)를 지내고 있다.

출처:문화재청


[착량묘]

충무공 이순신의 사당은 남해 여러 곳에 있는데, 통제영이 있었던 인연으로 통영(통영과 통합되기 전 옛 충무시의 ‘충무’도 충무공의 시호를 딴 것임)이라는 이름을 갖게 된 이 고장에도 충무공 사당이 둘이나 있다.

하나는 미륵도 가는 통영대교를 건너기 전 해저터널 위쪽 언덕에 있는 착량묘로, 임진왜란이 끝난 뒤 1599년 군인과 이 지방 사람들이 착량 언덕에 초당을 지어 이순신의 초상을 봉안하고 제사를 모셨으니 가장 오래된 충무공의 사당인 셈이다.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착량묘 이순신 장군 영정(관리인분이 문을 열어 주셔서 묵념 드리고 방명록을 작성하였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