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양산 통도사 국장생 석표

2022. 6. 6. 06:02바롱이의 쪽지/경상남도

반응형

[보물 양산 통도사 국장생 석표 (梁山 通度寺 國長生 石標) Stone Boundary Marker of Tongdosa Temple, Yangsan]

통도사를 중심으로 사방 12곳에 세워놓은 장생표의 하나로 절의 경계를 나타내는 표시이며, 절의 동남쪽 약 4㎞지점에 서 있다. 국장생이라는 명칭은 나라의 명에 의해 건립된 장생이라는 의미로, 거친 자연석면에 글씨가 새겨져 있다.

장생은 수호신, 이정표, 경계표 등의 구실을 하고 있어 풍수지리설과 함께 민속신앙과도 깊은 관계를 맺고 있는데, 이 장생은 경계표와 보호의 구실을 한 것으로 보인다.

고려 선종 2년(1085)에 제작된 것으로, 나라의 통첩을 받아 세웠다는 내용이 이두문이 섞인 금석문으로 새겨져 있어 국가와 사찰과의 관계를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영문 설명]

Situated about 4km southeast of the temple, this boundary marker with an inscription on its rough surface is one of twelve stone boundary markers (gukjangsaeng) erected to demarcate the boundary of Tongdosa Temple. Gukjangsaeng were generally erected by order of the national government.  

Stone boundary markers serve as guardian gods, markers, and landmarks, and are deeply connected with folk religion and the theory of geomancy. The stone boundary marker at Tongdosa Temple appears to have been erected to protect the temple from harm as well as serving as a boundary post.  

Erected in 1085 (the second year of the reign of King Seonjong of the Goryeo Dynasty), this marker contains an inscription stating that it was erected at the order of the national government, and an epigraph in Idu, a writing system in which Chinese characters were borrowed to express Korean sounds. This invaluable information sheds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emples.

출처:문화재청


[보물 양산 통도사 국장생 석표]

장승의 초기 모습으로 보기도 하는 석물이다. 이 석표는 이곳이 통도사의 땅임을 표시하기 위해 고려 선종 2년(1085)에 세운 기념물이다. 표면에 크기가 6~10㎝ 정도 되는 한자들이 네 줄로 음각돼 있는데, “通道寺孫仍川國長生一坐”(통도사손잉천국장생일좌)로 시작되는 그 내용을 번역해보면 다음과 같다. “통도사 솔내천 국장생 일좌는 절에서 문의한바 상서호부(尙書戶部)에서 을축 5월자 통첩에 있는 이전의 판결과 같이 고쳐 세우게 함으로 이를 세운다. 태안(太安) 원년 을축 십이월.” 태안 원년은 고려 선종 2년(1085)에 해당하며, 이 돌기둥은 이 당시 통도사 소속의 땅을 표시하기 위해 세운 기념물, 곧 국장생 석표라는 이야기다. 이 국장생 석표는 보물 제74호로 지정돼 있다. 당시 이런 기념물들이 통도사 주변 열두 곳에 세워졌다고 하는데, 현재 발견된 것은 이 국장생 석표와 울산시 삼남면 상천리 국장생 석표 둘뿐이다.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