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 통도사성보박물관

2022. 6. 7. 05:26바롱이의 쪽지/경상남도

반응형

[양산 통도사성보박물관]

한국 최초의 불교전문박물관인 통도사성보박물관은 1954년 통도사 관음전 보물장 설치로 시작되었으며 1999년 현 건물을 건립하여 이전하였다. 통도사성보박물관의 가장 큰 특징은 불교회화를 효과적으로 전시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2층에 마련된 불교회화실 운영과 함께 높이 10m 이상의 초대형 불화인 괘불(掛佛)을 1층 중앙홀에 상시로 전시하고 있다. 또한, 국내 유일의 불교미술 전문 연구단체인 불교미술사학회와 다양한 강좌가 마련된 문화센터를 운영하여 박물관이 대중들에게 폭넓은 배움의 장이 되는 동시에 한국 불교문화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아릎다운 숲 경남 양산 통도사 무풍한솔길"


"용피바위"


"버섯을 문 학 조형물과 그림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양산 통도사 석당간 (通度寺石幢竿)]

통도사 석당간은 기단부(基壇部) 전체가 후대에 와서 중수된 것이다. 지주(支柱)는 당간과 함께 조립하였으나, 지상에 노출된 부위만 가공된 상태이고, 표토 부위에서부터 지하 2m 가량 묻힌 부분은 가공되지 않은 원석이다.

기단부는 전반적으로 후대 중수 시에 개수·보완한 것으로 추정된다. 마치 탑의 기단부와 같이 장대석을 놓아 사방의 하대 윤곽을 잡은 다음 다시 간격을 좁혀 조금 짧은 장대석으로 기단을 만들고, 기단석 양쪽(남북)에 지주가 맞물릴 수 있도록 유구(有溝)가 있다.

그리고 지주 상하에는 타원형으로 2개의 간공(竿孔)을 만들고, 동서 방향으로 장대석을 보완한 다음 다시 중앙에 간대(竿臺)를 놓고 당간(幢竿)을 세웠다. 당간 중앙(中央)에는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이라는 명문이 음각되어 있다.

통도사의 석당간은 원래의 형태는 아니고, 후대에 보수하면서 다소 변형된 상태라 할 수 있다. 당간이 현존하는 사례는 흔하지 않으며 제작 시기는 기단의 구조나 지주의 규모 등으로 미루어 보아 여말 선초로 추정되므로 가치가 있다.

출처:문화재청

석당간에 나무아미타불 명문이 보인다.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양산 통도사 청동시루 (靑銅시루<철부포함>)]

시루는 밥을 찌거나 떡을 찌는데 사용한 주방기구로서, 이것은 전체 높이 73㎝, 지름 123㎝, 무게 350근에 달하는 대형시루이다.

현재 시루밑에 받쳐둔 발이 셋 달린 원형의 대형 솥은 처음부터 이 시루와 동시에 사용되었던 한 쌍으로 보인다. 청동 시루는 4곳에 손잡이가 있으며, 모습은 양호한 상태로 통도사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조선 효종 10년(1659)에 만들어졌음을 알려주는 글이 쓰여있다.

청동으로 된 이 시루는 통도사의 600여명의 승려가 이 시루에 떡과 밥을 쪄서 먹었다고 전해진다.

출처:문화재청


[보물 양산 통도사 금동천문도 (梁山 通度寺 金銅天文圖) Gilt-bronze Celestial Chart of Tongdosa Temple, Yangsan]

양산 통도사의 금동천문도의 전면에는 천구(天球)의 북극을 중심으로 둥글게 북극으로부터 적도부근에 이르는 영역의 별자리들이 표시되어 있고, 항현권((恒顯圈, 주극성(週極星) 영역))이 직경 19㎝가 되는 둥근원으로 그려져 있다. 별자리의 형태나 위치는 조선 초기의 천상열차분야지도와 비교해 보아 대체로 일치하며, 동판 위에 표시된 별자리는 천상열차분야지도의 모든 별 가운데 중요하게 여겨지는 109개의 별자리(자미원과 28수)이며 별의 총 개수는 481개이다. 각 별자리는 별과 별 사이가 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별 하나하나마다 구멍을 뚫어 진주를 박아 넣어 아름답게 조립했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24개의 진주만이 남아 있는데 별에 따라서 0.5㎝, 0.7㎝ 등 여러 가지 종류의 것들이 구멍에 박혀 있다.

별자리 이외에 3개의 구멍이 원판의 중심부근과 좌우 바깥부근에 일직선상으로 놓여져 있는데, 어두운 상황에서도 천문도의 방향을 파악할 수 있고 28수 등 각 별자리들을 손으로 더듬어 알 수 있어 하늘을 보면서 별자리를 찾아 볼 수 있었으리라 생각된다. 실제 별을 관측할 수 있도록 진주보석에 희미한 빛을 비추어 별자리를 찾거나 익히는데 편리했을 이 천문도판은 휴대하여 사용에 편리하도록 제작된 과학유물로 볼 수 있다.

후면에는 점각(點刻)으로 표현된 송악도(松岳圖)가 있는데 봉우리가 다섯 개인 오악(五嶽)과 두 그루의 소나무가 그려져 있고, 그 아래에 바다가 표현되어 있어 전통공예품으로서의 예술적인 가치는 물론 회화사 및 사상사적인 측면에서도 연구가치가 높다 하겠다. 그림 우측하단에 「순치구년임진구월(順治九年壬辰九月) 삼각산문주암비구니(三角山文殊庵比丘尼) 선화자조성(仙化子造成)」이라는 명문이 점각되어 있어 이 천문도는 조선 효종 3년(1652)에 비구니 선화자가 조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설명]

This gilt-bronze Celestial Chart shows the constellations from the North Pole to the equator, portraying the circle of apparition as a circle with diameter of 19cm. The positions and patterns of the constellations marked therein are generally consistent with the Cheonsangyeolcha bunyajido (Traditional Astronomical Chart made by the Joseon Dynasty). A total of 109 of the most important constellations and 481 stars (28 divisions of stars around the North Star) are carved on a round copper plate. The stars in each constellation are linked with each using lines. A hole was made in the place of each star and set with a pearl. There are only 24 pearls left. Diverse types of pearls (measuring 0.5cm, 0.7cm, etc.) are set into the holes.

Apart from the constellations, three holes are carved at the center and on each side of the round plate in an imaginary straight line, presumably to enable the user to find the proper direction of the astronomical chart in the dark and find the constellations by feel while looking up at the sky. This astronomical chart would have been a very convenient scientific instrument since it could be carried around and the pearls would shine in the dark, so that the constellations could be observed and found easily.

On the back are stipple engravings of five mountain peaks and two pine trees, with the sea below. In this regard, the astronomical chart is not just a scientific instrument; it also has artistic value as a traditional craftwork and academic value in relation to the history of pictorial art. An inscription at the lower right section of the picture indicates that the astronomical chart was made in 1652 (the 3rd year of King Hyojong’s reign) by female monk Seonhwaja of Hermitage Munjuam in Samgaksan Mountain.

출처:문화재청


"석조비로자나불좌상"


"통도사의 기와"


[슌티三년 철제명문와]

가장 특색있는 기와로는 무쇠로 만든 철기와를 꼽을 수 있다. 그 유래를 찻아 보기 힘든 철기와 중에는 통도사 대웅전의 중건과 중수를 알려 주는 중요한 자료가 포함되어 있다 특히 '슌티三년'이라고 쓴 한글 명문이 있는 철기와는 대웅전의 최종 완공이 1645년에 이루어졌음을 알려주는 흥미 있는 자료이다.


[보물 양산 통도사 은제도금아미타여래삼존상 및 복장유물 (梁山 通度寺 銀製鍍金阿彌陀如來三尊像 및 腹藏遺物) Silver-gilt Amitabha Buddha Triad and Excavated Relics of Tongdosa Temple, Yangsan]

이 삼존상은 복장에서 발견된 발원문에 의하면 경태 원년(景泰元年)경오(庚午, 1450년, 세종 32)에 아미타삼존상으로 조성된 것이다. 육각연화대좌 위에 항마촉지인을 짓고 결가부좌한 아미타불상을 중심으로 연화좌 위에 선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상을 좌우 협시로 두었다. 본존상은 아미타불상으로는 드물게 항마촉지인을 결하고 있으며, 관음·대세지보살상 역시 이들 도상에서 볼 수 없는 경권(經卷)을 지물로 들고 있어 주목된다.

불상에서 보이는 형식과 양식은 금강산 일대에서 발견된 여러 구의 불상과 양식 상 공통점을 보인다. 즉 팽이 형으로 솟은 육계 위에 연봉형의 큼직한 정상계주, 오밀조밀한 이목구비, 단엄한 얼굴 표정, 오른 팔뚝에 조그맣게 자리 잡은 Ω형 주름, 작은 체구지만 당당하고 육감적으로 표현한 가슴, 두터운 법의에 표현된 탄력 넘치고 골 깊은 주름 등이 특징이다. 이러한 양식적 특징은 원·명대 라마양식 불상의 영향을 받아 제작된 것으로, 여말선초로 추정되는 금동여래좌상(소재 불명)이나 경태(景泰)2년(1451,문종 원년)명 금동아미타삼존좌상(금강산 은정골 출토)등 고려말부터 조선 초에 걸쳐 금강산 일대에서 조성된 소형 금동불상들과 양식적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이 아미타여래삼존상은 조성발원문에서 밝히고 있는 바와 같이 1450년에 조성된 작품임에 틀림없다.

비록 규모는 작지만 당당하면서도 품격 높은 예술성, 그리고 종교적 이상성이 잘 어우러진 우수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더불어 여말선초 외래양식의 영향을 받은 작품 중에서 제작시기와 제작자를 분명히 알 수 있어 이 시기 불상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영문 설명]

According to a written prayer discovered inside the Buddha’s body, this triad was made in 1450 (the 32nd year of the reign of King Sejong of the Joseon Dynasty). The principal Buddha, Amitabha, is seated cross-legged on a hexagonal lotus pedestal and displays, uniquely, the mudra for “expelling evil by touching the ground." Each of his two attendants, Avalokitesvara and Mahasthamaprapta, carries a sutra book, an element rarely seen in other representations of the two bodhisattvas.

The characteristic form and style of the triad display similarities with those of the Buddhist statues discovered in and around Geumgangsan in North Korea. They were made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the Tibetan Buddhist icons that flourished in China during the Yuan and Ming periods, sharing the characteristic style of small gilt-bronze seated Buddhist statuettes made in the Geumgangsan area betwee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such as the Gilt-bronze Seated Amitabha Triad made in 1451 and discovered at Eunjeonggol Valley on Geumgangsan Mountain.

This is why art historians are agreed that it was made in 1450, as stated in the written prayer stored inside its body.

The statues are comparatively small, but the artistic excellence and spiritual aspiration of these imposing figures make them rare masterpieces. They are also highly regarded as a source of knowledge on Buddhist sculpture in the period between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출처:문화재청


[보물 양산 내원사 청동북 (梁山 內院寺 靑銅金鼓) Bronze Gong of Naewonsa Temple, Yangsan]

쇠북, 즉 금고(金鼓)란 글자의 뜻 그대로 청동으로 만든 북으로서 금구(禁口), 또는 반자(飯子, 半子) 등으로 불리는 절에서 쓰인 의식법구의 하나이다. 범종이 주로 아침·저녁의 예불이나 중요한 의식법회 때 사용된 것과 비교해 볼 때 금고는 공양시간을 알린다거나 사람을 모으는 등 그보다 단순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통도사에 소장된 내원사 금고는 뒷면이 넓게 뚫려 공명구가 형성된 일반적인 형식의 반자형 금고이다. 고면은 아직까지 두줄의 융기동심원으로 나누어 내구는 소문의 당좌를 그리고 그 외연에는 팔엽의 연화문을 변형시킨 화문을 섬세하게 장식되었다. 가장 바깥인 외구에는 네 곳을 돌아가며 유려한 운문을 장식하였다. 이러한 운문은 동아대박물관 소장의 대안원년명(大安元年銘(1085)) 반자의 운문보다는 훨씬 율동적이면서 도안화된 느낌이다. 

특히, 고면의 구획이 아직까지 2구로 간략히 세분되었고 경암사 반자의 운문 형식을 그대로 계승한 11세기의 마지막 편년작품이면서도 섬세하고 유려한 문양이 잘 표현된 고려 금고 가운데 수작으로 평가된다. 

측면에는 두 개의 고리가 부착되었으며 이 측면을 돌아가며 ‘大安七年辛未五月日棟梁僧貞妙次知造納金仁寺鈑子一口重二十斤印(대안칠년신미오월일동양승정묘차지조납김인사판자일구중이십근인’이라는 굵은 필치의 음각명문을 정연하게 새겨놓았다. 기록된 내용은 ‘대안칠년인 1091년 신미 5월일에 동량승인 정묘가 금인사에 만들어 시납한 반자 1구로써 이십근의 중량이 소요되었다’는 내용으로 풀이된다. 금인사의 소재는 분명치 않지만 고려시대 절로서 소장처인 내원암과의 관련을 유추해 볼 때 내원암의 원 이름이거나 근처에 소재했던 사찰로 추측된다. 아울러 명문에 보이듯 반자라는 표기가 쇠금변에 반자(반자)로 사용되어 경암사명 반자(1073)의 반자(盤子)에서 대안원년(1085) 半子에서 다사 명칭이 바뀌어 가는 고려시대 금고의 시대적 변화를 보여준다. 명문의 말미에 기록된 ‘印’자는 의미 없는 종결 어미로 고려시대 불교공예품의 명문에 많이 사용된 이두식 표기로 알려져 있다. 

이 작품은 전체적으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면서도 고면의 문양이 섬세한 수작인 동시에 손상 없는 명문은 고려 금고 연구의 귀중한 편년 자료가 된다.

[영문 설명]

Also known as geumgu or banja, geumgo, literally meaning “iron drum,” refers to a bronze gong, a ritual object used in Buddhist temples. If temple bells were struck during the morning and evening services and other important rituals, the bronze gong was used for more casual purposes, such as to announce the hour of offering or call for a meeting.

The Bronze Gong of Naewonsa Temple (currently in temporary custody of Tongdosa Temple) is in a style of a bronze gong with a hollow back. The front side of the gong is divided by two embossed concentric rings into three areas. The dangjwa, the circle in the innermost area, is left plain, and the immediately surrounding area is adorned with an intricate floral design that is a variation of the eight-foil lotus flower design. The outermost area has four elegant cloud motifs at regular intervals. This cloud design is much livelier as well as more stylized than the Bronze Gong with the Inscription of “Daeanwonnyeon” (1085) in the collection of the Donga University Museum.

The Bronze Gong of Naewonsa Temple, although a late 11th-century work with a simple front, divided into three areas, and emulating the style of the Bronze Gong of Gyeongamsa Temple in its cloud design, is, nevertheless, an outstanding piece with graceful and detailed ornamental motifs.

The gong has two loops attached to its rim whose surface also bears an incised inscription with characters in thick strokes. The inscription states that this bronze gong was made in Geuminsa Temple by Jeongmyo, in the fifth month of the Sinmi year (7th year of Daan), and that twenty pounds of bronze went into the making of this drum. Although the location of Geuminsa Temple is not precisely known, given that it was a Goryeo temple associated with Naewonam Hermitage where the bronze gong was housed, it may simply have been another name for the latter or may be a temple in the vicinity. Meanwhile, the word banja, another name for bronze gong is written as “鈑子”; a transitional spelling between “盤子” in the bronze gong with the inscription “Gyeongamsa” (1073) and “半子” in the bronze gong with the inscription “Daesanwonnyeon (1st year of Daan” (1085). Finally, the character ‘印’ at the end of the inscription is a suffix without meaning used in idu writings, widely found in surface inscriptions on Goryeo-period Buddhist craftworks. 

This object, in an excellent state of preservation, is also remarkable for the beauty of its ornamental surface design and can be potentially useful for dating other Goryeo-period bronze gongs.

출처:문화재청


[보물 양산 통도사 청동 은입사 향완 (梁山 通度寺 靑銅 銀入絲 香垸) Bronze Incense Burner with Silver-inlaid Design of Tongdosa Temple, Yangsan]

고배형 향완이란 구연이 밖으로 벌어져 넓은 전이 달린 몸체와 아래로 가면서 나팔형으로 벌어진 받침으로 구성된 형식으로서 대부분이 몸체와 다리 부분을 따로 주조하여 결합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향로는 명문에 보이듯 특별히 ‘향완’이라 명칭하고 기록하였음을 볼 수 있다. 특히 향로의 표면에는 범자(梵字)를 비롯하여 보상당초, 연당초, 운룡(雲龍), 봉황 뿐 아니라 회화적인 포류수금문(蒲柳水禽文) 등을 은입사로 화려하게 장식한 예가 많다. 

전형적인 고려 향완에서는 원형 여의두곽(如意頭廓) 안에 범자문(梵字文), 연화당초, 연판, 당초 등이 시문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작품 바깥으로 벌어진 몸체의 전부 상면에 쌍구체의 유려한 당초문을 화려하게 시문하였으며 몸체 사면에는 여의두곽을 만들어 그 내부에 네 글자의 굵은 범자문을 입사하였다. 이 범자문 여의두곽과 여의두곽 사이를 유려한 연당초문으로 연결시켰다. 고려시대 고배형 향완은 대부분 노부(爐部)와 대부(臺部)를 별도로 주조하여 결합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 향로 역시 노부 받침의 내면 중앙에 그러한 연결부를 볼 수 있다. 향완의 대부는 크게 노부받침과 나팔형의 다리, 그리고 대부받침의 3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우선 연당초문이 시문된 노부의 하단에는 연판문을 둥글게 돌아가며 시문하였고 그 아래 붙은 받침은 2단의 몰딩형 턱을 두어 위쪽에는 간략화 된 당초문을, 아래 단에는 구름 형태를 간략히 시문하였다. 

노부 받침 아래 붙은 다리는 아래로 가면서 점차 넓게 퍼지다가 끝단으로 가면서 1단의 둥근 몰딩과 그 아래로 둥근 받침을 형성한 모습이다. 다리의 상부면은 긴 종선으로 구획하여 그 내부 연잎마다 꽃술 장식이 첨가된 이 첨가된 복련(覆蓮) 형식의 연판문을 주회시켰다. 이 아래로 다리의 넓은 전면을 돌아가며 쌍구체의 연화당초문이 굴곡진 줄기와 함께 유려하게 시문되었다. 다리 아래 단 몰딩 부분에도 몸체의 전부 상면에 표현된 당초문과 동일한 형태의 쌍구체의 당초문이 전면을 돌아가며 시문되었다. 2단의 몰딩 부위 가운데 아래부분에는 여의두문이 첨가되었다. 이처럼 이 향완은 기본적인 외형과 은입사, 세부 문양에서 고려 후기 향완의 전형적인 형태를 잘 보여주고 있다. 특히 바깥으로 벌어진 구연 전부의 밑부분에는 ‘시주가선대부호조정인언 자○○ 정광후 정방사 시납 통도사(施主嘉善大夫戶曹鄭仁彦 子○○ 鄭光厚 淨房寺 施納 通度寺)’라는 연점각의 명문이 새겨져 있어 주목되는데 시주자 이름과 정방사, 그리고 시납 통도사 명문이 확인된다. 

가선대부(嘉善大夫)의 직명으로 보아 조선시대에 시납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향완에 조선시대의 어느 시기에 와서 별도의 시주자 명단을 다시 추각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처럼 이 향완의 기록된 명문을 원래의 명문이 아니라고 판단한다면 그 제작연대는 14세기 중엽에서 후반 쯤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작품인 국립박물관 소장 청곡사(靑谷寺) 향완(1397)과 비교해 보아도 그와는 다른 고려적인 요소가 대부분 잔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선시대 전기의 향완이라고 알려져 왔던 지금까지의 견해와 달리 이 통도사 소장 향완은 앞서와 같은 고려 후기 향완을 충실히 계승한 작품으로 새롭게 파악될 수 있으며 보존상태 또한 매우 양호하다.

[영문 설명]

In Goryeo, bronze incense burners in the shape of a mounted cup were widely manufactured, along with celadon incense burners. Incense burners of this type have a broad outward-turned rim and a foot that flares like an upside-down tulip.

They are most often made by putting together a separately cast bowl and foot. These incense burners were called “hyangwan,” as it is besides written on the surface of this one. The surface is often sumptuously decorated with silver-inlaid Sanskrit characters and designs like honeysuckle and scrolls, lotus and scrolls, dragons amid clouds, phoenixes or willow and water fowls.

Initially, the surface design on a mounted cup-style incense burner was simpler and limited to some localized areas, as exemplified by the Incense Burner of Baegwolam Hermitage (1164). Once into the late Goryeo Period, they became more lavishly adorned with decorative motifs, and motifs were present throughout the entire surface including the surface of the foot. The foot was shorter than in earlier eras and had a shape that conveyed a bit of a tubby impression. This style, besides, remained in use, into the Joseon Period. Incense burners, in a typical Goryeo style, are decorated with yeouidu motif-framed circles enclosing Sanskrit characters and lotus petal and scroll designs. In this incense burner, the upper section of its flared-out body is sumptuously adorned with elegant scroll designs. The side of the incense burner is decorated with yeouidu framed circles in which four Sanskrit characters are inlaid with silver wire. The circles enclosing Sanskrit characters are interlaced with lotus and scroll designs placed between them. Like most mounted cup-style Goryeo incense burners, this one is also made by welding together the bowl and the foot that were separately cast, as indicated by the weld seam visible at the bottom of the bowl. The foot is made up of three components; the bowl rest, the foot proper and the base. The bottom of the bowl is decorated with lotus petal motifs, at the level beneath the area with lotus and scroll designs, and the bowl rest has two molding-style ledges with simplified scrolls on the top ledge and cloud motifs on the bottom ledge. The foot, below the bowl rest, flares outward gradually to a broad, round base with one bevel. At the upper level, the foot is divided by long vertical lines into several sections inside which downward-facing lotus petals with stamens are placed. In the area below, the surface is covered with magnificent lotus and scroll designs with sinuous vines.

The same scrolls are added to the bevel around the base. Meanwhile, the scroll design along the bottom ledge of the bowl rest area is coupled with yeouidu motifs. All in all, this silver-inlaid incense burner is eminently illustrative of the style of late Goryeo bronze vessels of this type, especially in surface design. Beneath the mouth rim, there is an inscription in dotted characters, providing the names of donors and mentioning Jeongbangsa Temple and Tongdosa as the temple to which the incense burner was originally offered. Meanwhile, the tile “Gaseondaebu” in the inscription suggests that the incense burner was probably housed in Tongdosa sometime during the Joseon Dynasty. Another possibility is that the incense burner was made during the Goryeo Period, but the list of donors was inscribed on it at a later era. If indeed this inscription does not date from the time when the incense burner was cast, the only way to determine its age is comparing it with similar incense burners that are dated.

Although rather modest in size, this incense burner is elegant and features a slender and finely-proportioned foot. This, coupled with the beautiful lotus and scroll design and the contrastingly meek Sanskrit character design, suggests that the incense burner was made sometime in the mid-14th century. When compared to an early-Joseon incense burner like the one from Cheonggoksa Temple (1397) – currently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this incense burner shows a much stronger degree of Goryeo influence. Only a handful of dated incense burners have survived from the 14th century, including the one with the inscription of “Junheungsa” from 1344 (4th year of Zhizheng) and another from 1357 (the 17th year of Zhizheng). Therefore, contrary to the widely held view that it was made in early-Joseon, the incense burner of Tongdosa Temple appears to have been created in late Goryeo. The incense burner is, otherwise, in an excellent state of preservation.

출처:문화재청


[보물 통도사 청동 은입사 향완(1963) (通度寺 靑銅 銀入絲 香垸(1963)) Bronze Incense Burner with Silver-inlaid Design of Tongdosa Temple]

절에서 의식을 행하거나 불단 위에 올려놓고 향을 피우는데 사용하는 공양구이다. 특히 밥 그릇 모양의 몸체 아래 나팔형으로 벌어져 원반형의 받침을 지닌 것을 향완이라 하였다.

통도사 청동 은입사 향완은 높이 33㎝, 입지름 30㎝, 받침대 지름 24.7㎝로서 전면에 굵고 가는 은·금실을 이용하여 연꽃무늬, 덩굴무늬, 봉황, 구름무늬로 가득차게 은입사하였다. 몸통 중앙 네 곳에 원을 두르고 그 주위에 꽃무늬가 있다. 현재 원 안에 범자를 찍은 둥근 주석판을 4개의 못으로 고정시켰는데, 이것은 나중에 보수한 것이다. 원 사이 공간은 덩굴무늬가 새겨 있으며, 몸통 아래에는 연꽃무늬가 돌아가며 새겨져 있다.

특히 몸통의 덩굴무늬 사이를 은판으로 채운 것은 이 향로의 두드러진 특징이다. 받침대는 3단으로 되어 있으며 윗쪽은 연꽃무늬, 아래쪽은 덩굴무늬, 중앙은 넓은 공간에 구름문과 봉황이 굵고 가는 선으로 배치되어 있다.

입 주위의 넓은 테인 전의 일부가 약간 휘어진 것이 흠이지만, 외형상 그 형태가 안정감있다. 전면에 새긴 무늬가 매우 복잡하면서도 도식적으로 변모된 점으로 미루어 고려 후기의 제작으로 추정된다.

[영문 설명]

Hyangno (an incense burner) is a general term for objects used for burning incense in a temple, intended to clean the grime of the mind. There are other names, such as hwawan and hyangwan, but hyangno is the all-inclusive term regardless of the shape and size. Hwawan and hyangwan signify only incense burners that have a bowl-shaped body supported by a trumpet-shaped high strut.

This hyangno is 33 cm in height, 30 cm in mouth diameter, and 24.7 cm in strut diameter. It is engraved all over, using silver and gold threads, with patterns of lotus flower, vine, phoenix and clouds. In the middle of the body are four circles and around these are flower prints. At present, the round tin board stamped with Sanskrit letters is fixed with four nails, having been repaired at a later date. The space between the circles is engraved with a vine pattern, and lotus flower prints are engraved around the lower part of the body in turn.

An especially distinctive character of this hyangno is that the interval between each vine is filled with silver plate. The strut has three tiers. The upper one has a lotus flower, the below a vine, and the middle has a cloud and phoenix patterns in the large space with thick and thin threads.

The only flaw is a slightly bent rim of the mouth. It may be presumed to be a work of the first half of Goryeo because it has a fully mature beauty, and the engraved pattern is refined and elaborate.

출처:문화재청


[보물 통도사 청동 은입사 향완(2002) (通度寺 靑銅 銀入絲 香垸(2002)) Bronze Incense Burner with Silver-inlaid Design of Tongdosa Temple]

국내에 전해져 오는 고려·조선시대 고배형 청동은입사향완(高杯形靑銅銀入絲香완) 가운데 가장 큰 것으로, 넓은 테두리(口緣部)가 둘러진 완형(盌形)의 몸체(身部)에 나팔모양의 다리(臺部)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고배형의 향완이다.

몸체부에는네 곳에 서로 대칭되게 범자(梵字)가 은판입사된 4조의 원문(圓紋)을 배치한 다음, 그 사이 공간에는 세선입사(細線入絲)의 연화당초문(蓮花唐草紋)과 여의두문(如意頭紋)이 전면적으로 장식되어 있다.

원반 모양의 대받침이 구비되어 있는 대부는 윗 부분에 긴 네모꼴의 복판(覆瓣) 연화문을 장식하고, 아랫 부분에는 두 날개를 활짝 편 채 구름 속을 날고 있는 봉황 한 쌍을 대칭되게 배치해 놓았다.

향완의 뒷면에 음각된 명문에는 1674년(강희 13년) 신애남(辛愛南)이 만들었음을 기록하였다.

고려시대 고배형 청동은입사향완의 전형을 따르고 있는 향완으로서 현존 유례가 많지 않은 조선시대 고배형 향완 가운데 조성시기와 주성장인·봉안사찰이 명확하게 밝혀진 명문이 남아있는 중요한 예이다. 또한, 유교가 득세했던 조선시대 후기의 조성임에도 불구하고 대형인 점과 은입사기법이 빼어나고 문양이 섬세하며 몸체와 다리부분은 별도로 주조하여 결합한 새로운 결구방식을 보여주고 있어 당시 공예사 연구에 좋은 자료이다.

[영문 설명]

This bronze incense burner with silver-inlaid design is the largest surviving one among the similar kinds produced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With a round rice bowl-shaped body with a wide mouth rim, mounted on a flared foot, it is in a classical style of goblet-type incense burners.

Four silver wire-inlaid circles enclosing Sanskrit characters are placed around the body, on the front and back, an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n a symmetric manner.

The area between the circles is filled with lotus and scrolls and yeouidu (swirling cloud-like design) motifs, inlaid with fine wire.

The foot with a disk-shaped rim is adorned in its upper section with long rectangular-shaped lotus petals with two rows of petals, and in the lower section, with two phoenixes flying amid clouds with widespread wings, plac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The incised inscription on the back informs that this incense burner was made in 1674 by a certain Sin Ae-nam. This footed incense burner, a classical Goryeo-style goblet-type silver-inlaid bronze incense burner, is one of the rare such items surviving to the present.

It is also a very rare Joseon Dynasty incense burner whose date of creation is precisely known, along with the name of the artisan who made it and the temple where it was initially offered. In spite of being a Buddhist relic from late Joseon where Buddhism,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Confucianism, was relegated to the edge of the social and cultural scene, the incense burner is not only large in size, but also exquisitely decorated with silver-inlaid motifs. The fact that the bowl and its foot were separately cast and put together also makes this incense burner one of a kind, having a high significance for the history of Korean art.

출처:문화재청


[보물 사인비구 제작 동종 - 통도사 동종 (思印比丘 製作 銅鍾 - 通度寺 銅鍾) Bronze Bell Cast by Buddhist Monk Sain]

이 종은 경기도와 경상도 지역에서 활동한 승려인 사인비구에 의해서 조선 숙종12년(1686)에 만들어진 조선시대 종이다.

사인비구는 18세기 뛰어난 승려이자 장인으로 전통적인 신라 종의 제조기법에 독창성을 합친 종을 만들었다. 현재 그의 작품 8구가 서로 다른 특징을 보이며 전해지고 있다.

이 종은 유일하게 8괘(八卦) 문양을 새긴 것이 특징이다. 큰 종으로 형태미가 뛰어날 뿐 아니라, 종 몸통에 있는 사각형의 연곽안에 9개의 돌기를 새기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 종은 중앙에 단 한 개의 돌기만 새겨 둔 점에서 그의 독창성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영문 설명]

This Buddhist bronze bell was produced by Sain, a monk-artist who was active in Gyeonggi-do and Gyeongsang-do provinces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of the Joseon Dynasty.

As a prominent Buddhist monk and craftsman of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Sain is known to have produced a unique set of bells by infusing genuine originality into the traditional bell casting process of ancient Silla. Exhibiting uniquely distinctive characteristics, eight of his works have survived to the present day.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is bell is its palgwae (eight trigrams from the Book of Changes) patterns.

Exhibiting a unique physical beauty, this large bell also attests to the creator's originality through the square-shaped frames of its body, each of which features just one protruded dot, marking a departure from the more typical arrangement of nine dots.

출처:문화재청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