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달음 치유의 천년 옛길, 평창 오대산 선재길

2022. 8. 24. 04:56바롱이의 쪽지/강원도

반응형

[선재길 섶다리]

‘섶다리’는 나룻배를 띄울 수 없는 낮은 강에 임시로 만든 다리로 잘 썩지 않는 물푸레나무나 버드나무로 다리 기둥을 세우고 소나무나 참나무로 만든 다리 상판 위에 섶(솔가지나 작은 나무 등의 잎이 달린 잔가지)을 엮어 깔고 그 위에 흙을 덮어 만든 다리입니다.

섶다리는 해마다 가을걷이가 끝나는 10~11월에 마을 사람들이 함께 다리를 만들어 겨우내 강을 건너다니는 다리로 이용합니다. 여름이 되어 홍수가 나면 떠내려가므로 ‘이별다리’라고도 합니다.


"한국의 아름다운하천 100선, 평창 오대천"


[선재길]

오대산은 신라시대에 중국 오대산을 참배하고 문수보살을 친견한 자장스님에 의해 개창된 문수보살의 성지로서 문수보살은 지혜와 깨달음을 상징하는 불교의 대표적인 보살입니다. 이러한 문수의 지혜를 시작하는 깨달음이라는 목적을 향해 나아가는 분이 『화엄경』의 '선재(동자)'입니다. 이 길을 걸으면서 “참된 나"를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선재길, 상원사로 향하는 가족"

1남 2녀 아이들과 선재길 따라 상원사 가는 가족의 모습이다. 월정사 1.5km, 상원사 7.5km 표지판을 보며 벌써 이만큼 많이 왔다고 아빠가 말한다.


"전나무 길"


[강원도 문화재자료 월정사부도군 (月精寺浮屠群)]

부도는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두는 곳이다. 이 부도밭은 월정사에서 상원사로 가는 길의 전나무 숲속에 자리하고 있는데, 모두 22기에 이르는 부도들이 흩어져 있다.

운공성관(雲空性觀)·금성당(金聖堂) 등의 호를 가진 승려들의 사리를 모시고 있는 이 부도들은 낮은 받침위로 종모양의 탑몸돌을 올린 모습들이 대부분이나, 2층 기단(基壇)과 지붕돌을 갖춘 부도의 모습도 간혹 눈에 띈다.

크기는 1∼2m 내외의 그리 높지않은 체구로, 조선시대 중기 이후에 세웠을 것으로 추측된다.

출처:문화재청

전나무숲과 월정사부도군


[사람 얼굴 모양을 닮은 부도비]

부도밭 제일 앞쪽 키 큰 부도비 옆에 비신과 이수는 없어지고 귀부만 남은 부도비가 있는데, 자기가 지고 있는 비석을 쳐다보고 있는 모양으로 그 얼굴이 꼭 사람 같다. 게다가 귀까지 두드러지게 만들어놓았다. 석공은 고개 돌린 거북이를 본 적이 없는 모양이다. 알고 있는 만큼만 표현할 수밖에 없었을 석공의 순박한 마음이 전해져온다.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