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즈넉한 천년고찰, 부여 만수산 무량사

2022. 9. 26. 07:00바롱이의 쪽지/충청남도

반응형

[고즈넉한 천년고찰 부여 만수산 무량사]

천년고찰 무량사는 시간도 지혜도 세지 않는 무량의 도를 닦는 곳으로 창건에 대한 내용은 신라 말에 범일국사(梵日國師, 810~889)가 세워 여러 차례 공사를 거쳤다고 전해지나 자세한 연대는 미상이다. 다만 신라 말 고승 무염국사(無染大師, 801~888)가 일시 머물렀고, 고려시대에 크게 다시 지어졌다.

무량사는 수양대군이 조카 단종을 살해한 뒤 임금이 된 것을 비판하며 평생을 은둔한 천재시인 매월당 김시습이 말년을 머물다가 세상을 떠난 곳이기도 하다. 그리고 한때 조선시대 명승 진묵대사(震默大師, 1563~1633)도 거처했었다. 임진왜란 때 무량사의 모든 건물이 불에 탔으며 극락전은 그 후 다시 세웠다.

또한 왜란 이전에는 영산전(도문화재자료 제413호)과 명부전(도문화재자료 제389호) 등의 전각 명칭은 보이지 않고 극락전(보물 제356호)을 위주로 한 기록만 보일 뿐이며, 당간지주(도문화재 제57호) 및 석등(보물 제233호)과 무량사 오층석탑(보물 제185호) 역시 고려초기의 양식을 지녀 고려시대 사찰이라 여겨진다.

그 외에도 김시습영정(보물 제1497호), 무량사미륵불괘불탱(보물 제1265호) 등 많은 유물이 있다. 극락전은 외관은 2층 구조이나 내부는 위 아래가 트여 있는 이른바 통층구조의 특징을 보인다.

출처:부여군청


외산정류소에서 내려 무량사로 걸어간다. 반질한 갈색 밤이 황토색 늙은 호박위에 올려져 있다.

"무량마을 표석, 나무, 장승"


"부여 만수산 무량사 일주문"


"무량사 가는 길,"


"무량사 천왕문"


"무량사 천왕문 전경"

보물 부여 무량사 석등, 보물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보물 부여 무량사 극락전


"무량사 전경"


"무량사 전경"

소나무, 보물 부여 무량사 석등, 보물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보물 부여 무량사 극락전


"무량사 전경"

보물 부여 무량사 석등, 보물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보물 부여 무량사 극락전


"무량사 전경"

보물 부여 무량사 석등과 보물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보물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扶餘 無量寺 五層石塔) Five-story Stone Pagoda of Muryangsa Temple, Buyeo]

무량사 극락전 앞에 자리하고 있는 웅장한 모습의 5층 석탑이다.

탑을 받치는 기단(基壇)은 1단으로, 둥글게 다듬은 두툼한 석재를 포함한 층단으로 괴임을 만들고 각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을 세웠다. 탑신(塔身)은 지붕돌과 몸돌을 한 층으로 하여 5층을 이루고 있다. 네 모서리에 기둥을 세우고 있는 몸돌은 지붕돌에 비하여 높이가 낮은 편이나 전체적으로 알맞은 비례를 보이고 있어 우아하면서도 장중한 느낌을 준다. 지붕돌은 얇고 넓으며 처마는 수평을 이루다가 끝에서 가볍게 들려있다. 지붕돌과 밑의 받침은 딴 돌로 구성되어 있고 받침의 수는 위로 올라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탑의 꼭대기에는 낮은 받침돌 위로 머리장식의 일부가 남아있다.

백제와 통일신라의 석탑 양식을 조화시켜 만든 고려 전기의 탑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백제의 옛 땅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으로 백제의 기법이 이어졌고 통일신라의 시대적인 양식도 계승되었다. 

해체공사를 할 때 탑신의 1층 몸돌에서 금동제 아미타여래좌상, 지장보살상, 관음보살상의 삼존상이 나왔고, 3층에서는 금동보살상, 5층에서는 사리구(舍利具)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영문 설명]

The Five-story Stone Pagoda is located in front of Geungnakjeon Hall at Muryangsa Temple.

The stylobate supporting the main body of the pagoda is composed of a single layer and a tiered-supporting base made of round and thick stones. The corners and centers of all the faces of the stylobate are engraved with pillar patterns. Each story of the main body consists of a core stone and a roof stone. The core stones, whose four corners are made with small inserted pillars, are lower than the roof stones. This five-story stone pagoda is well-proportioned on the whole, and exhibits an elegant yet solemn appearance. The roof stones are thin and wide, while the eaves are horizontal and turn swiftly upward at the ends. The roof stones and their supporting stone plates are made of separate stones, with the number of supporting stone plates tapering in size toward the top. Of the upper part of the pagoda, only a part of the top ornament placed on the low supporting stone, remains. This pagoda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relic as it was built by harmonizing the individual styles of stone pagodas of the Baekje and Unified Silla Dynasties.

The pagoda inherited certain characteristics of Baekje pagodas owing to its (geographical) location in the former territory of the Baekje Dynasty, but also contains elements that reflect the prevailing trend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During the dismantling of the pagoda, three Buddhas statues, and gilt-bronze seated Amitabha, Ksitigarbha and Avalokitesvara Bodhisattvas were found inside the first story’s core stone, along with a gilt-bronze Bodhisattva from the third story and a sarira reliquary from the fifth story.

출처:문화재청


[보물 부여 무량사 석등 (扶餘 無量寺 石燈) Stone Lantern of Muryangsa Temple, Buyeo]

무량사 법당 앞뜰에 세워져 있는 8각 석등으로,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네모난 바닥돌 위로 3단의 받침돌을 쌓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아래받침돌은 연꽃 8잎이 조각되어 있고, 가운데받침은 기둥으로 길게 세워져있으며 그 위로 연꽃이 새겨진 윗받침돌이 놓여 있다. 화사석은 8면 중 4면은 넓고, 4면은 좁은 형태로, 넓은 4면에 창이 뚫려 있다. 지붕돌은 여덟 귀퉁이의 치켜올림과 처마의 경사가 잘 어울려 경쾌한 모습을 보여 주며, 꼭대기에는 자그만 보주(寶珠:연꽃봉오리모양의 장식)가 솟아 있다.

전체적으로 지붕돌이 약간 큰 감이 있으나 경쾌한 곡선으로 인해 무거움이 느껴지지는 않는다. 아래·위받침돌의 연꽃조각은 통일신라 전성기의 화려한 연꽃무늬와는 차이가 있고, 각 부분이 형식적으로 흐른 감이 있다. 만들어진 시기는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 사이인 10세기경으로 추정된다.

[영문 설명]

The Muryangsa Temple, built in the late Silla period, is where a famous scholar named Kim Si-seup spent his last years, and a monk-poet named Jinmuk stayed to practice his art.

Standing in front of the five-story stone pagoda in the temple's precinct, this octagonal stone lantern has a pedestal heavily decorated with lotus patterns. As is quite evident in the pedestal, the light chamber, and the roof and the octagonal shape are the center of this work. The light chamber has four 'light windows', and the capstone, whose eaves are curved upwards at all corners, is capped with a jewel in the shape of a lotus bud.

The capstone is disproportionately large compared to the rest of the lantern, but the upward curve of the eaves make it look lighter. The simple design of lotus petals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pedestal is different from the elaborately carved ones in the golden age of the Unified Silla period. This stone lantern is assumed to have a work of the period between the late Silla and the early Goryeo Dynasty (B.C.10).

출처:문화재청


[보물 부여 무량사 극락전 (扶餘 無量寺 極樂殿) Geungnakjeon Hall of Muryangsa Temple, Buyeo]

무량사는 신라 말에 범일이 세워 여러 차례 공사를 거쳤으나 자세한 연대는 전하지 않는다. 다만 신라말 고승 무염대사가 일시 머물렀고, 고려시대에 크게 다시 지었으며, 김시습이 이 절에서 말년을 보내다가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이 건물은 우리나라에서는 그리 흔치않는 2층 불전으로 무량사의 중심 건물이다. 외관상으로는 2층이지만 내부에서는 아래·위층이 구분되지 않고 하나로 트여 있다. 아래층 평면은 앞면 5칸·옆면 4칸으로 기둥 사이를 나누어 놓았는데 기둥은 매우 높은 것을 사용하였다. 위층은 아래층에 세운 높은기둥이 그대로 연장되어 4면의 벽면기둥을 형성하고 있다. 원래는 그 얼마되지 않는 낮은 벽면에 빛을 받아들이기 위한 창문을 설치했었는데 지금은 나무판 벽으로 막아놓았다.

아미타여래삼존상을 모시고 있는 이 불전은 조선 중기의 양식적 특징을 잘 나타낸 불교 건축으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우수한 건물이다.

[영문 설명]

Muryangsa Temple was established by State Preceptor Beomil in late Silla but the exact date of its construction is not known. However, Buddhist Monk Muyeom stayed here for a while at the late Silla, and the temple was largely rebuilt in Goryeo. Kim Si-seup spent his last days and died here.

This hall is a two-story Buddhist sanctum, which is rare in Korea, and is the main building of Muryangsa Temple. It is a two-story building viewed from the outside but there is no floo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ories inside, so they form one space. The first floor consists of five front kan (a unit of measurement referring to the distance between two columns) and four side kan with partitions between pillars. The second floor has the high pillars of the first floor extended to form the pillars of the four walls, and a window admitting light to the low wall, but this is blocked with wooden boards now.

This sanctum enshrines the Amitabha Buddha. It is an outstanding building that has important value as a Buddhist structure that expresses well the characteristics of mid Joseon.

출처:문화재청


[보물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扶餘 無量寺 塑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 Clay Seated Amitabha Buddha Triad of Muryangsa Temple, Buyeo]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은 중층전각으로 이루어진 극락전의 주존불로 봉안되어 있는데, 17세기 대규모 사찰에서 널리 조성되었던 대형의 소조 불상 양식을 따르고 있다. 이 삼존상은 아미타·관음·대세지라는 분명한 아미타삼존 도상을 보여주고 있고, 이미 발견된 복장발원문을 통해 현진(玄眞)이라는 조각승과 1633년이라는 정확한 조성연대를 알 수 있어 조선후기 조각사 연구는 물론 조각 유파 연구에도 귀중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거대한 규모로 조성되었기 때문에 불신의 전체적인 모습이 도식적으로 단순화된 감이 있으나 양대 전란 이후 자존심과 자신감을 회복하고자 노력했던 당시 불교계의 저력을 느낄 수 있는 기념비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17세기 전반기 대형불상에서 삼신 또는 삼세불상이 결합된 삼존형식이 대부분인 가운데, 극락전의 주존으로 아미타·관음·대세지보살이 결합한 삼존도상의 드문 예로서 그 가치가 더욱 크다.

[영문 설명]

Echoing the style of big clay Buddha images enshrined at many large Korean temples in the 17th century, the Triad is the principal icon of the Geungnakjeon Hall, a two-story pavilion, of Muryangsa Temple in Buyeo. The Triad consists of Amitabha, Avalokitesvara and Mahasthamaprapta. A letter of invocation found inside the Images along with other artifacts states that the Triad was made in 1633 by the Monk sculptor Hyeonjin. With its production date clearly revealed, the Triad is regarded as a valuable resource for studying the history of sculpture and different schools of Buddhist sculp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Probably due to difficulties in carving large-sized figures, the Buddhas tend to look somewhat formulaic in appearance, but they are still monumental works demonstrating efforts across the Buddhist community to restore self-confidence and pride in the wake of the two major wars with Japan and Qing.

The iconography comprised of Amitabha, Avalokitesvara and Mahasthamaprapta is rare for the early 17th century, when Buddha Triads mostly consisted of the Buddhas of the Three Ages or the icons representing the threefold body of Buddha.

출처:문화재청


"삼성각, 청한당"


"돌탑과 단풍나무"


"영정각 보물 김시습 초상 복제품"


"부여 무량사 스님과 개"


"무진암 가는 길 단풍나무와 김시습부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무량사김시습부도 (無量寺金時習浮屠)]

매월당 김시습(1435∼1493)의 사리를 모신 부도이다.

김시습은 생육신의 한 분으로, 21세 때에 수양대군(후의 세조)의 왕위찬탈 소식을 듣고 불교에 입문하여 만년을 무량사에서 보내다 입적하였다.

부도는 아래에 3단을 이루는 기단(基壇)을 마련하여 그 위로 탑신(塔身)과 머리장식을 올렸는데 모든 부재의 단면이 8각을 이루고 있다. 기단은 위 ·아래받침돌에 연꽃을 장식하고, 가운데받침돌에는 구름에 쌓인 두 마리의 용이 여의주를 다투는 형상을 새겼다. 탑신의 몸돌에는 아무런 장식이 없고, 연꽃덮개가 조각된 지붕돌은 꽃장식이 달린 여덟 귀퉁이가 높게 들려있다. 꼭대기에는 복발(覆鉢: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과 보주(寶珠:꽃봉오리모양의 장식) 등이 남아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

조선시대의 부도로, 당시의 작품으로는 조각이 매우 우수하고 화려하다. 일제시대 때 폭풍우로 나무가 쓰러지면서 함께 넘어졌는데 그 때 밑에서 사리 1점이 나와 국립부여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출처:문화재청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