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1. 27. 05:58ㆍ바롱이의 쪽지/전라남도
"구름이 머무는 곳"
[사적 화순 운주사지 (和順 雲住寺址) Unjusa Temple Site, Hwasun]
도선국사가 하룻밤 사이에 천불천탑을 세웠다는 전설을 간직하고 있는 운주사는 나지막한 야산 분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절터이다.
절을 처음 지은 연대는 정확히 알지 못하나, 고려 중기에서 말기까지 매우 번창했던 사찰로 보이며, 15세기 후반에 다시 크게 지어졌다가 정유재란으로 폐찰되었다. 운주사(雲住寺)는 ‘구름이 머무는 곳’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데, ‘배를 움직인다’는 뜻의 운주사(運舟寺)로 불리기도 한다.
현재 돌부처 70구와 석탑 18기만이 남아 있으나, 조선 초기까지는 천 여 구의 불상과 탑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산과 들에 흩어져 있는 70여 구의 돌부처들은, 수 십 ㎝에서 10m 이상의 거대한 돌부처까지 그 크기가 매우 다양하다. 평면적이면서 토속적인 생김새에 어색하고 균형이 잡히지 않은 신체 구조는 고려시대 지방적인 특색을 잘 보여주고 있다.
석탑 또한 그 모양이나 무늬의 표현방식이 매우 독특하여, 3층·5층·7층 등 층수도 다양하다. 둥근 공모양의 원형탑이나 호떡 모양의 돌을 올려놓은 듯한 원판형탑 등 특이한 모양의 탑도 있다. 또한 탑의 표면에 ‘X’, ‘◇’, ‘川’과 같은 기하학 무늬들이 새겨 있어 특이하다.
운주사에는 누운 부처(와불)가 있어 유명하다. 도선이 천불천탑을 하룻밤에 세울 때 맨 마지막으로 와불을 일으켜 세우려고 했는데, 공사에 싫증난 동자승이 닭이 울었다고 거짓말을 하여 불상을 세우지 못하였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운주사는 특이한 돌부처와 석탑이 모두 한 절 안에 있다는 점에서 천불천탑에 대한 독특한 신앙을 보여주는 좋은 예로서 우리나라 미술사와 불교사 연구에 중요한 곳이다.
[영문 설명]
Unjusa Temple carries the legend that State Preceptor Doseon built a thousand Buddha statues and pagodas in one day, but only the remains of the temple site are found in a low basin.
The precise time when the temple was built is not known, but it seems to have flourished from the middle to the end of Goryeo. It was rebuilt on a large scale at the end of the 15th century and clos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7. Unjusa means “the place where clouds stay” or “driving the ship.”
At least 70 stone statues of Buddha and 18 stone pagodas currently remain, but about 1000 statues of Buddha and pagodas originally existed. The 70 Buddha statues are scattered in the field, and the mountains vary in size, from scores of centimeter-small statues to more than 10m tall, big stone statues of Buddha. The plain and native shapes and the structure of unbalanced and strange body, etc., mirror the local features during the Age of Goryeo.
The expression method of the figure or pattern of stone pagoda is very unique, and the building has various types such as 3-, 5-, 7-stories, etc. The ball-shaped pagoda or the round stone-piled pagoda is an example of special-shaped pagodas. It is special because geometric patterns such as X and 川 are carved on the surface of the pagoda.
Legend has it that, when State Preceptor Doseon built a thousand statues of Buddha and pagodas in one day, he tried to raise the Recumbent Buddha finally that night, but a tired, young monk told him a lie to stop working until morning came.
The fact that Unjusa Temple has all special stone statues of Buddha and stone pagodas within one temple is a good example of expressing the religious creed through a thousand statues of Buddha and pagodas. It is helpful in research on the history of art and Buddhism in Korea.
출처:문화재청
"용강마을 버스 정류장"
"나무로 가는 길"
[보물 화순 운주사 구층석탑 (和順 雲住寺 九層石塔) Nine-story Stone Pagoda of Unjusa Temple, Hwasun]
운주사로 들어가는 남쪽 골짜기의 첫 입구에 세워져 있는 탑으로, 커다란 바윗돌로 바닥돌과 아래층 기단을 삼고 그 위로 윗층 기단을 쌓은 후 9층에 이르는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윗층 기단의 가운데돌은 4장의 널돌로 짜였으며, 네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새긴 후 다시 면 가운데에 기둥모양을 굵게 새겨 면을 둘로 나누어 놓았다. 또한 기단의 맨윗돌은 탑신의 1층 지붕돌로 대신하고 있는 점이 특이한데, 운주사의 모든 탑이 이러하여 고려시대로 오면서 나타난 특징으로 보인다. 탑신의 각 몸돌에는 면마다 2중으로 마름모꼴을 새기고, 그 안에 꽃무늬를 두었는데, 이러한 수법은 운주사의 석탑에서만 볼 수 있다. 각 지붕돌은 밑면이 약간 치켜올려져 있고, 여러 겹의 빗살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꼭대기에는 원기둥모양으로 다듬은 돌과 보륜(寶輪:바퀴모양의 장식)이 올려져 머리장식을 이루고 있다.
탑의 면이 사각형인 것은 고려시대의 일반적인 탑들과 같으나, 지붕돌 밑면에 받침을 생략한 모습이나 각 면에 새긴 장식이 일반형에서 벗어난 모습들은 보기 드문 예이다. 이는 지방적인 색채가 뚜렷했던 고려시대의 특징을 잘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운주사의 여러 탑 가운데 높이가 가장 높은 것으로, 원래 지방유형문화재였다가 1984년 보물로 등급이 조정되었다.
[영문 설명]
Unjusa Temple embodies the myth that State Preceptor Doseon built 1000 Buddha images and 1000 pagodas in Jeolla-do so that the ship of state, symbolizing this country, would not list to port. The monk viewed the land of this country as a ship and was worried that the ship would tip over because there are more mountains than flat land in the Honam area, which was considered as the centre of the ship. The name of the temple, Unjusa, means that from a geomancy perspective, the land is in the shape of moving ship. This is a nine story stone pagoda placed 200 meters away from the temple’s Daeungjeon Hall.
The pagoda has a huge rock for the base stone and the lower stylobate. The middle stylobate is made of four wide stones, and each stone has a pillar decoration on the edge and at the center. The pillar at the center is carved thickly, which divides the face into two. In particular, the upper stylobate functions instead of and as the roof stone of the main part. Every pagoda in Unjusa Temple follows the same pattern, which is considered characteristic of the Goryeo Dynasty. The bottom of the roof stone forms a gentle uprising curve at the tip and has comb-patterns along the eaves. This decoration has also been applied to the roof stone of the higher stories. The roof and the main stones are in general assembled into one. However, four slabs of stone were used to make the main stones of the second and the third stories. Unjusa has its own characteristics in decoration. The main stone has a diamond shape double engraving on the surface with floral patterns within the diamond. The finial was formed with a cylinder stone and the wheel shaped decoration.
The pagoda is similar to other pagodas of the Goryeo period in respect of making the surface of the pagoda square, but different in that it does not have struts for the roof stone and retains rare decoration on the surface. This is indicative of the local traits that developed during Goryeo Dynasty.
This is the tallest among the pagodas in Unjusa Temple. It was promoted to the status of treasure from that of local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 1984.
출처:문화재청
[보물 화순 운주사 원형 다층석탑 (和順 雲住寺 圓形 多層石塔) Cylindrical Multi-story Stone Pagoda of Unjusa Temple, Hwasun]
운주사에는 통일신라 후기의 승려 도선국사가 우리나라의 지형을 배로 보아배 한복판에 해당하는 호남 땅이 영남 땅보다 산이 적어 배가 한쪽으로 기울 것을 염려하여 1000개의 불상과 1000개의 탑을 하루낮 하루밤 사이에 도력으로 만들었다는 전설이 내려오고 있다. 현재 절에는 탑 18기, 불상 70구가 남아 있는데,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보물) 앞에 자리잡은 이 탑도 그 가운데 하나이다.
탑의 구성이나 전체적인 형태에서 일반적인 석탑의 형태를 따르지 않은 특이한 모양의 석탑으로 고려 석탑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기단(基壇)은 2단의 둥근 바닥돌에 높직한 10각의 돌을 짜올리고 그 위로 16장의 연꽃잎을 장식한 돌을 올려 마무리하였다. 탑신(塔身)은 몸돌과 지붕돌이 모두 원형이고, 층마다 몸돌 측면에 2줄의 선이 돌려져 있다. 현재 남아 있는 것은 6층 뿐이나 원래는 더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탑의 구성이나 전체적인 조형면에 있어 우리나라에서는 그 예가 드문 모습으로, 고려시대에 이르러 각 지방에서 나타난 특이한 양식이라 하겠다. 기단의 맨윗돌이 윗면이 편평하고 옆면이 둥근데 비해, 탑신의 지붕돌은 정반대로 아래가 편평하고 윗면이 둥글다. 이는 상하의 조화와 안정감을 꾀하려 한 의도로 추측된다.
[영문 설명]
Unjusa Temple embodies the myth that State Preceptor Doseon built 1000 Buddhist statues and 1000 pagodas in Jeolla-do so that the ship of state, symbolizing this country, would not list to port. The monk viewed the land of this country as a ship and was worried that the ship would tip over because there are more mountains than flat land in the Honam area, which was considered as the centre of the ship. Currently, there are 18 pagodas and 70 Buddhist statues remaining in the temple. This is one of the pagodas, and it is situated in front of the Shrine of Stone Buddha at Unjusa Temple.
It does not follow the usual form of stone pagoda in its composition and overall appearance, but rather it reflects local characteristics from the Goryeo.
The stylobate consists of two stories of round base stone, a tall middle stone with ten facets, and the upper stone decorated with 16 lotus petals. The main part of the pagoda keeps the shape of circle at the body stone and roof stone. Each story has double lines along the side of the body stone. Although it exists now as a six story construction, the original seems to have had more stories.
The composition and method of construction of the pagoda make it quite different from others, and reflect the special local characteristics that developed during the Goryeo period. The surface of the upper stylobate is smooth and even and the side round, while the bottom of the roof stone is smooth and even and the surface of it round, showing stability and harmony between the top and the bottom.
출처:문화재청
[보물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 (和順 雲住寺 石造佛龕) Shrine of Stone Buddha at Unjusa Temple, Hwasun]
불감이란 불상을 모시기 위해 만든 집이나 방을 뜻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건축물보다는 그 규모가 작다. 다탑봉(多塔峰) 골짜기에 자리한 운주사 석조불감은 건물 밖에 만들어진 감실의 대표적 예이다.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산의 정상에 이르는 동안 여러 기의 석탑과 불상을 볼 수 있다.
감실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양쪽 벽을 판돌로 막아두고 앞뒤를 통하게 하였다. 그 위는 목조 건축의 모양을 본떠 옆에서 보아 여덟팔(八)자모양인 팔작지붕처럼 다듬은 돌을 얹어놓았다. 감실 안에는 2구의 불상이 모셔져 있는데, 특이하게도 등이 서로 맞붙은 모습으로 흔히 볼 수 없는 예이다. 불상을 새긴 수법은 그리 정교하지 않지만, 고려시대에 들어 나타난 지방적인 특징이 잘 묻어나온다.
이처럼 거대한 석조불감을 만든 유례를 우리나라에서는 찾아볼 수 없고, 등을 서로 맞댄 감실 안의 두 불상 역시 특이한 형식으로 매우 귀중한 자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영문 설명]
A bulgam is a room or a house, smaller than other temple buildings, made to enshrine the Buddha statue. The Shrine of Stone Buddha in Unjusa Temple is a distinctive example of a bulgam which was built outdoors. It is located in a valley named Datapbong, which means “the peak of many stone pagodas”. As the name suggests, one can see a great many Buddha statues and pagodas on the way to the peak.
Two walls to the north and the south of the shrine, in a rectangular shape, are filled with longish stone slabs which allow the air to pass through in an east and west direction. On the top of the walls, leveled out stones are layered as if to form what would be a hip and gable roof in a wooden construction. Two Buddha statues are placed within the shrine, in the unusual position of sitting back to back. The decoration method applied to the statues is not so refined, but reflects local traits that developed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huge scale of the Buddha shrine and the position of the statues within the shrine make this a very rare find in Korea, and this distinctiveness gives the shrine additional value and importance.
출처:문화재청
"운주사 대웅전"
[명당탑(원형석탑)과 사층석탑]
대웅전 뒤에 있는 명당탑은 운주사를 에워싼 산의 지형이 거북을 닮아 영구산(靈龜山)이라 하고 신령스런 거북의 머리가 들어갔다 나왔다 하는 거북목 자리에 세운 탑이다. 천년을 다스릴 군왕이 날 자리라는 명당터에 세워졌다.
개성은 왕씨의 땅, 한양은 이씨의 땅, 계룡산은 정씨의 땅, 그리고 운주사 명당터는 범씨의 땅이라는 전설이 있다. 그러나 군왕감이 아닌 사람이 묘를 쓰면 큰 가뭄을 부르게 된다. 운주사 앞에 살던 조리댁이라는 여인이 용강지방에 사는 양반으로부터 돈 1,000냥을 받고 몰래 명당탑 아래 유골을 묻어주었다. 그랬더니 그해 큰 가뭄이 들었다. 주민들이 유골을 수습했더니 이튿날 비가 내렸다는 전설도 전해진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화순운주사마애여래좌상 (和順雲住寺磨崖如來坐像)]
공사바위 아래 암벽에는 이목구비가 비교적 반듯하고 불꽃무늬 광배가 있는 등 어느 정도 격식을 갖춘 불상이 새겨져 있다. 운주사의 수많은 불상 중 유일한 마애불이다.
화순 운주사 광배 석불 좌상의 높이는 516㎝이다. 육계는 두툼하게 솟았으며 머리와 이마가 거의 없다.
희미한 눈썹과 긴 코는 양각이며 귓 바퀴까지 새겼다. 타원형의 불두는 눈과 입의 표현이 희미하다. 목은 길고 삼도가 선각되었다.
화순 운주사 마애 여래 좌상은 표면에 균열과 탈락이 심하나 암벽의 요철 부분을 그대로 살려 얕게 부조하였다.
화순 운주사 광배 석불 좌상[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274호]과 수인의 형태, 옷 주름 형태, 불상 쪽으로 새겨진 화염문 등이 매우 유사하다.
제작 연대는 화순 운주사 광배 석불 좌상과 같은 고려 중기로 추정된다. 2005년 7월 13일에 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275호로 지정되어 운주사에서 관리하고 있다.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화순군청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화순운주사와형석조여래불 (和順雲住寺臥形石造如來佛)]
대웅전 오른편 산등성이에는 거대한 불상 두 기가 나란히 누워 있다. 이 운주사 ‘와불’들은 실제로는 와불이 아니라 미처 일으켜 세우지 못한 부처들이다. 손의 모양으로 보아 각각 비로자나불좌상과 석가여래불입상이다. 이들이 일어나는 날 세상이 바뀐다는 설화가 후대에 생겨나기도 했는데, 애초의 의도대로 이 거대한 불상들을 세웠더라면 단연 운주사의 중심불이 되었을 것이다.
화순 운주사 와형 석조 여래불은 큰 돌을 다듬어 좌상과 입상을 만들었다.
석불 좌상은 높이 1,273㎝이다. 타원형의 상호에 길고 넓적한 귀는 이마에서 목까지 내려오는데 귀의 형태만 묘사되었다.
눈썹과 코는 도드라지게 조각하였고, 눈은 반달형으로 눈꺼풀이 두껍게, 입술은 두툼하게 표현하였다.
인중의 경우 선각으로 또렷하게 표현하여 특이하다. 볼과 얼굴 전체의 측면은 볼륨감이 넘치며, 이마는 머리보다 한 단 낮게 깎았다. 육계는 별석으로 상호의 오른쪽에 따로 만들어 놓았다.
석불 입상은 높이 1,030㎝이다. 석불 좌상의 왼쪽에 있으며, 하나의 돌로 두 개의 불상을 만들었다.
이 입상은 좌상과 같은 조각 수법을 보이고 좌상의 옆에 기대어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세장하다.
상호는 길고 측면까지 잘 다듬은 형태이다. 눈썹과 코는 도드라지며, 눈은 반달형으로 코, 입, 인중의 표현이 좌상과 동일하다.
귀는 현재 깨져 있어 그 형태만 보이고 있는데, 이마와 목까지 길게 표현되었다. 이마는 좌상과 마찬가지로 머리보다 한 단 낮게 조식하여 그 위에 육계를 장식하였다.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화순군청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화순운주사칠성바위앞칠층석탑 (和順雲住寺七星바위앞七層石塔)]
칠성바위는 배열 상태와 크기가 북두칠성의 방위각과 밝기를 반영하고 있어 칠성바위라 불리며, 고려 시대 불교에 수용된 칠성신앙의 사례로 꼽힌다. 혹은 원반형 칠층석탑을 만들기 위해 따놓은 돌이라고도 한다.
화순 운주사 칠성 바위 앞 칠층 석탑은 운주사 계곡의 서측 산 중턱의 비탈진 곳에 위치하며 칠성 바위 바로 앞의 큰 암반 가장자리에 우뚝 솟은 탑이다.
지대석이나 기단부 등의 별다른 시설 없이 암반을 파내어 탑신부를 세웠다.
옥개석은 추녀와 처마가 직선이고 네 귀퉁이의 모서리에 들림을 표현하였으며 낙수면도 평박한 편이다. 다만 탑신석들의 양 우주가 투박한 편이고 3층 이상의 옥개석은 다소 둔중한 느낌을 준다.
7층 옥개석 정상에는 1석으로 조성된 상륜부재인 노반석 석재 1매가 보인다.
초층 탑신은 4매의 판석으로 ‘H’자로 조립을 하였고 네 면에는 좌우에 우주를 표현한 판석을 세우고 그 사이에 면석만으로 된 판석을 끼워 넣었다.
2~7층 탑신은 1매의 판석으로 네 면의 좌우에 넓은 우주를 두드러지게 표현하였다. 이 가운데 4층의 탑신만은 방형의 별석을 짧은 탑신 위에 끼워 놓았다.
1층의 탑신이 길쭉하여 1층 옥개석을 기단 갑석으로 오해하기도 하나 층급 받침이나 지붕 골 같은 지붕 형식이 뚜렷한 경우는 옥개석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화순군청
'바롱이의 쪽지 > 전라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족의 영웅을 만나다, 장성 홍길동테마파크 (1) | 2022.11.29 |
---|---|
동학농민운동의 흔적, 장성 황룡 전적 (0) | 2022.11.28 |
마을을 지키는 수호신, 화순 사평리 느티나무 (0) | 2022.11.26 |
청백정신의 상징적 유물, 장성 박수량 백비 (0) | 2022.11.25 |
마을을 보호하는 할머니 당산나무, 화순 야사리 느티나무 (0) | 2022.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