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대표 사찰, 사적 남원 만복사지

2022. 12. 11. 05:47바롱이의 쪽지/전라북도

반응형

"고구려식 절 배치를 따른 고려시대 대표 사찰"

[사적 남원 만복사지 (南原 萬福寺址) Manboksa Temple Site, Namwon]

기린산을 북쪽에 두고 남쪽으로 넓은 평야를 둔 야산에 위치한 만복사터는 고려 문종(재위 1046∼1083) 때 지어진 것으로 전한다.

5층과 2층으로 된 불상을 모시는 법당이 있었고, 그 안에는 높이 35척(약 10m)의 불상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당시에는 대웅전을 비롯한 많은 건물들과 수백 명의 승려들이 머무는 큰 절이었으나 정유재란(1597)때 남원성이 함락되면서 불타 버렸다고 한다.

발굴조사시 많은 건물의 흔적을 찾았으며 청자와 백자, 많은 기와가 출토되어 고려시대 미술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 5층석탑(보물)·불상좌대(보물)·당간지주(보물)·석불입상(보물)등이 현재 절터 내에 남아있다.

고구려식의 절 배치를 따르고 있으며,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절중에 하나로 의의가 크다.

[영문 설명]

The Manboksa Temple site is located on a hillock with Girinsan Mountain on the north and a wide, flat field on the south. It is reported to have been built during the reign of King Munjong (AD 1046~1083) of the Goryeo Period.

Records suggest that there have been five-story and two-story main Buddha halls and about 10m-long Buddhist image in there. At that time, it was a big temple having many buildings including Daeungjeon, the main hall of the temple, and hundreds of bonze but was burnt down at the same time as Namwonseong Fortress's fall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7. At the time of excavation and research, vestiges of many buildings were found, including celadon, white porcelain, and many roof tiles.

They provide very important information in studying art history of the Goryeo Period. The present relics remaining in the temple site are the Five-story Stone Pagoda (Treasure No. 30), Stone Pedestal (Treasure No. 31), Flagpole Supports (Treasure No. 32), Stone Standing Buddha (Treasure No. 43), and others.

It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temples of the Goryeo Period as a temple following the temple arrangement of the Goguryeo Dynasty, carrying immense significance.

출처:문화재청


[사적 남원 만복사지]

수 백 명의 승려들이 머문 대 사찰

전라북도 남원시 왕정동에 있는 고려 문종 때 지어진 만복사의 터로 기린산을 북쪽에 두고 남쪽으로 넓은 평야를 둔 야산에 위치하고 있다. 

[동국여지승람] 권지39, 남원도호부 [불우조(佛宇條)]를 보면, “기린산 아래에 있는데, 동쪽에 오층전이 있고 서쪽에 이층전이 있으며, 전 내에는 동불이 있는데, 길이가 35척(약 10.6m)이다. 고려 문종 때에 창건되었다”고 기록되었다. 또한 조선시대 숙종 때에 간행된 [용성지(龍城誌)]의 내용으로 보아 만복사에는 5층과 2층으로 된 불상을 모시는 법당이 있었고, 그 안에는 높이 약 10m의 불상이 있었으며, 대웅전을 비롯한 많은 건물들과 수백 명의 승려들이 머무는 큰 절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만복사 내에는 대웅전, 약사전, 장육전, 영산전, 보응전, 종각, 천불전, 나한전, 명부전 등의 불전이 있었으나 정유재란(1597)때 남원성이 함락되면서 만복사는 불타버리고 말았다.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사찰

남원부사 정동설(鄭東卨)은 두 개의 방을 중창하여 승려들이 그곳에 머무르면서 사찰을 수호할 규칙을 만들게 하였다. 도선 국사는 남원부의 자리를 보고 사찰을 설립하여 불상을 조성하고 탑을 세울 것이며, 축천에 철우를 설치할 것이며, 골회봉에 철환을 설치할 것이며, 용담과 호산에 탑을 세울 것이며, 선원과 파근에 사찰을 세울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고구려식의 절 배치를 따르고 있으며,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사찰의 하나로 연구 가치가 크다.

고미술연구의 중요한 자료

현재 절터에는 고려시대의 오층석탑(보물 제30호)과 석좌(石座, 보물 제31호),당간지주(幢竿支柱, 보물 제32호),석불입상(보물 제43호), 석인상(石人像) 등의 유물과 초석(礎石) 등 많은 석조물이 남아 있다. 

또한 발굴조사 때 토기를 비롯한 청자, 백자 등의 기편(器片)과 금동불입상, 수막새 583점, 암막새 853점 등 다량의 기와가 출토되어 고려시대 미술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출처:남원시청


"석인상"


[보물 남원 만복사지 당간지주 (南原 萬福寺址 幢竿支柱) Flagpole Supports at Manboksa Temple Site, Namwon]

절에 행사가 있을때 절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고 하며, 장대를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이 당간지주는 만복사터에 동·서로 마주보고 서 있으며, 지주사이에 세웠던 깃대는 남아있지 않고 이를 고정시켰던 구멍이 세 군데에 뚫려 있다. 현재 아래부분과 기단이 땅속에 파묻혀 있어 그 이하의 구조는 알 수 없다.

두 지주 각 면이 고르지 못하여 전체적으로 투박하고 별다른 장식이 없으며, 전체적으로 생략화·단순화된 것으로 보아 고려 전기의 작품으로 여겨진다.

[영문 설명]

Danggan were flagpoles on which flags (dang) were hoisted at the entrance of a temple to mark special occasions such as Buddhist ceremonies or prayers. The flagpoles were supported by two stone buttresses called dangganjiju. 

These two supports are located at the Manboksa Temple Site. There is longer a flagpole, but three holes that served to fix the flagpole can still be seen in each of the supports. Since the bottom of the supports and the foundation are buried underground, it is impossible to determine the nature of the lower part of the structure.  

The supports have a rough, uneven surface and lack any special decoration. Judging by the simplicity of the overall style, the supports were made in the early Goryeo Dynasty.

출처:문화재청


[보물 남원 만복사지 석조대좌 (南原 萬福寺址 石造臺座) Stone Pedestal at Manboksa Temple Site, Namwon]

만복사는 고려시대의 승려 도선이 창건하였다고 전하며, 불상을 올려놓는 받침인 석좌는 절 안에 위치하고 있다. 이 석좌는 거대한 하나의 돌로 상·중·하대를 조각하였는데 육각형으로 조각한 것이 특이하다.

하대는 각 측면에 안상(眼象)을 새기고, 그 안에 꽃을 장식했으며, 윗면에는 연꽃모양을 조각하였다. 중대는 낮으며, 짧은 기둥을 본떠 새겼다. 상대는 중대보다 넓어지고, 평평한 윗면 중앙에 불상을 끼웠던 것으로 보이는 네모진 구멍이 뚫려 있다. 옆면에 연꽃이 새겨졌던 부분은 주변 전체가 파손되었다.

이 작품은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8각형에서 벗어난 6각형이며, 안상 안에 꽃을 장식한 것은 고려시대에 유행한 양식으로, 11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영문 설명]

This stone pedestal designed to hold a statue of the Buddha is situated within the grounds of Manboksa Temple, which was allegedly founded by Doseon, a famous monk of the Silla Dynasty. The pedestal is engraved with three hexagonal bases - top, middle, and lower – made from one piece of stone. 

On the six sides of the lower base, symbolic images of the elephant’s eyes are carved with many flowers, and a lotus flower on the top. The middle base, which is narrower than the other two, has short-pole patterns on its sides. The top base has a square-hole on the top on which a statue of the Buddha is presumed to been placed. The neighboring parts of the lotus flower engravings on the sides of the upper base have unfortunately been damaged beyond repair. 

Judging from the hexagonal shape of the pedestal, which differs from the typical octagonal style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and the flower engravings within the image of the elephant’s eyes, which were popular during the Goryeo Dynasty, it is thought to have been produced in the 11th century.

출처:문화재청


"당간지주, 석인상, 석조대좌"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 보호각과 오층석탑"


[보물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 (南原 萬福寺址 石造如來立像) Stone Standing Buddha at Manboksa Temple Site, Namwon]

전라북도 남원시 만복사 절터에 서 있는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높이 2m의 불상이다. 만복사는 고려 문종(재위 1046∼1083) 때 창건된 사찰이고, 이 석조여래입상도 창건 때 같이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동국여지승람』 에 의하면 만복사에는 동쪽에 5층의 전각, 서쪽에 2층의 전각이 있고 그 안에 35척(尺)의 금동불이 있었다고 하는데, 이런 기록으로 보아 만복사가 매우 큰 절이었음을 알 수 있다. 

민머리의 정수리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둥글게 솟아 있다. 살이 오른 타원형의 얼굴은 눈·코·입의 자연스러운 표현과 함께 원만한 인상을 보여준다. 어깨에서 팔로 내려오는 곡선, 몸의 굴곡 등도 아주 원만하고 부드럽게 표현되어 있다. 양 어깨에 걸쳐 입은 옷에는 둥근 칼라와 같은 독특한 옷깃의 접힘이 있으며, 그 아래에는 둥근 옷주름이 표현되어 있다. 오른팔은 들어 손바닥을 보이고 왼팔은 아래로 내려서 역시 손바닥을 보이고 있던 것으로 보인다. 손은 따로 끼울 수 있도록 만들어 놓았는데 지금은 모두 없어진 상태이다. 

광배(光背)는 머리광배와 몸광배로 이루어져 있으며 굵은 선으로 구분되고 있다. 윗부분이 없어진 머리광배에는 활짝 핀 연꽃잎과 연꽃줄기가 새겨져 있고, 몸광배에는 연꽃줄기만이 새겨져 있다. 이들의 바깥에는 불꽃무늬가 조각되어 있고, 좌우에는 각각 2구씩의 작은 부처가 들어 있다.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은 얼굴이나 몸 등에서 매우 원만하고 부드러운 성격이 드러나 있지만 옷주름이나 몸의 자세는 다소 부자연스러운 면이 보인다. 통일신라시대를 거쳐 고려시대로 접어들면서 쇠퇴해가는 불상 양식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영문 설명]

This two-meter-tall granite Buddha statue is located at the Manboksa Temple Site in Namwon City, Jeollabuk-do. Historians conjecture that the statue was erected at the same time as the temple, which was built during the reign of King Munjong of Goryeo (r. 1046-1083). According to Dongguk yeoji seungnam (Augu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 Manboksa Temple was flanked by a five-story palace and a two-story palace to its east and west, respectively, and also contained an approximately 10m-high bronze Buddha statue, suggesting that it was a temple of great stature and importance. 

The Buddha has a bald head topped with an usnisa (a protuberance symbolizing supreme wisdom) and a chubby oval face, which the eyes, nose, and mouth expressed in a natural way. The curves of the arms and body are very smooth, and the robe hanging from the shoulders has a uniquely folded round collar and rounded folds. The right hand is held upward with the palm facing outwards, and the left arm is hanging down. The hands must have been attached to the arms separately, but both are missing.  

The mandorla (Buddhist halo of light) is made up of a dugwang (light radiating from the head) behind the head and a singwang (light emanating from the body) behind the body, with a thick line dividing them in two. The dugwang, which is missing its top part, is carved with lotus petals and stems, and the singwang is carved with lotus stems, while the background features spark patterns and two small Buddha images on either side. 

Although the face and body of the stone standing Buddha at Manboksa Temple have a smooth quality, the folds in the clothing and the posture are a little awkward, symbolizing the gradual decline in the quality of Buddha statues during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the late Silla Dynasty to the early Goryeo Dynasty.

출처:문화재청

부처의 서 있는 모습을 조각한 뒷면


[보물 남원 만복사지 오층석탑 (南原 萬福寺址 五層石塔) Five-story Stone Pagoda at Manboksa Temple Site, Namwon]

고려시대에 승려 도선이 창건하였다고 전하는 만복사의 옛터에 서 있는 탑이다. 원래 이곳에는 절터 중앙에 목탑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1979년부터 1985년까지 7차에 걸친 발굴조사로 많은 건물지와 다수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현재 탑은 4층까지만 남아있고, 5층 이상은 모두 없어졌다.

탑의 받침대 역할을 하고 있는 기단부(基壇部)는 땅에 파묻혀 있는데, 이는 훗날 이 지역의 땅바닥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탑신부의 1층 몸돌은 대단히 높고 2층 이상은 약 3분의 1로 크기가 줄어 들었다.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조각하였고, 지붕돌은 밑면 전체가 위로 들려 있어, 마치 목조건축의 지붕을 보고 있는 듯하다. 특이한 점은 각 지붕돌 위에 몸돌을 괴기 위한 별도의 네모난 돌이 끼워져 있는 것으로, 당대 석탑의 특징을 보여주는 한 예이다.

이 탑은 고려 문종 때인 11세기에 세워진 것으로, 1968년 이 탑을 보수하다가 탑신의 1층 몸돌에서 사리장치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영문 설명]

Built in the 11th century (during the reign of King Munjong), this pagoda stands on the original site of Manboksa Temple, which is said to have been established by the Buddhist Monk Doseon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top part (above the fourth story) of the original pagoda is missing, leaving only a four-story structure. It is assumed that a wooden pagoda originally stood at the center of the temple site. The sites of numerous buildings and other relics were discovered here during seven excavation works conducted at the site between 1979 and 1985. 

The stylobate was found buried under the earth - presumably due to subsidence around the pagoda. The core stone of the first story of the main body is very tall, while those above the second stories are one third as short as the first story one. The edges of the pagoda’s core stones are engraved with a pillar pattern. The upward curve along the bottom of the roof stone gives the pagoda the look of a wooden structure. A square stone is inserted into the roof stone to hold the core - a characteristic feature of the architectural style of that time.

A sarira reliquary was also found during the renovation of the pagoda in 1968.

출처:문화재청


"만복사지와 강아지"

강아지 한마리가 만복사지 푸른 풀밭을 맘껏 뛰논다.


[김시습 금오신화 만복사 저포기 벽화]

매월당 김시습은 조선 세조의 왕위찬탈로 전국을 떠돌며 유랑한 생육신. 김시습이 경주 남산의 용장사에 칩거할 때 지은 것으로 알려진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소설인 금오신화.

금오신화에는 만복사저포기,이생규장전,취유부벽정기,용궁부연록,남염부주지 등 5편이 수록되어 있으며 그 중 한편인 만복사 저포기의 배경이 현재 사적 남원 만복사지 임. 만복사저포기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전라도 남원에 사는 총각 양생(梁生)은 일찍 부모를 여의고 만복사의 구석방에서 외로이 지냈다. 배필 없음을 슬퍼하던 중에 부처와 저포놀이를 해 이긴 대가로 아름다운 처녀를 얻었다. 그 처녀는 왜구의 난 중에 부모와 이별하고 정절을 지키며 3년간 궁벽한 곳에 묻혀서 있다가 배필을 구하던 터였다. 둘은 부부관계를 맺고 며칠간 열렬한 사랑을 나누었다. 그리고 그들은 다시 만날 것을 약속하고 헤어졌다. 양생은 약속한 장소에서 기다리다가 딸의 대상을 치르러 가는 양반집 행차를 만났다. 여기서 양생은 자기와 사랑을 나눈 여자가 3년 전에 죽은 그 집 딸의 혼령임을 알았다. 여자는 양생과 더불어 부모가 베푼 음식을 먹고 나서 저승의 명을 거역할 수 없다며 사라졌다. 양생은 홀로 귀가했다. 어느날 밤에 여자의 말소리가 들렸다. 그녀는 자신은 타국에 가서 남자로 태어났으니 당신도 불도를 닦아 윤회를 벗어나라고 했다. 양생은 여자를 그리워하며 다시 장가들지 않고 지리산으로 들어가 약초를 캐며 지냈다. 그 마친 바를 알 수 없었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