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픔이 서린 호남제일성, 보물 전주 풍남문

2023. 1. 20. 05:28바롱이의 쪽지/전라북도

반응형

"아픔이 서린 호남제일성"

[보물 전주 풍남문 (全州 豐南門) Pungnammun Gate, Jeonju]

읍성은 지방행정의 중심지가 되는 고을을 둘러쌓았던 성을 말한다.

옛 전주읍성의 남쪽문으로 선조 30년(1597) 정유재란 때 파괴된 것을 영조 10년(1734) 성곽과 성문을 다시 지으면서 명견루라 불렀다. ‘풍남문’이라는 이름은 영조 43년(1767) 화재로 불탄 것을 관찰사 홍낙인이 영조 44년(1768) 다시 지으면서 붙인 것이다. 순종 때 도시계획으로 성곽과 성문이 철거되면서 풍남문도 많은 손상을 입었는데 지금 있는 문은 1978년부터 시작된 3년간의 보수공사로 옛 모습을 되찾은 것이다.

규모는 1층이 앞면 3칸·옆면 3칸, 2층이 앞면 3칸·옆면 1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은 구조가 기둥 위에만 있다. 평면상에서 볼 때 1층 건물 너비에 비해 2층 너비가 갑자기 줄어들어 좁아 보이는 것은 1층 안쪽에 있는 기둥을 그대로 2층까지 올려 모서리기둥으로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이 같은 수법은 우리나라 문루(門樓)건축에서는 보기 드문 방식이다.

부재에 사용된 조각 모양과 1층 가운데칸 기둥 위에 용머리를 조각해 놓은 점들은 장식과 기교를 많이 사용한 조선 후기 건축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옛 문루건축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는 문화재이다.

[영문 설명]

This was the southern gate of Jeonjueupseong and was called Myeonggyeonnu when the fortress walls and gate had been rebuilt in 1734, the 10th year of the reign of King Yeongjo, following the destruction caused by the second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7, the 30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eonjo. It was burnt down in 43rd year of King Yeongjo’s reign and was rebuilt and renamed Pungnammun Gate by Hong Nak-in in the following year (1768). As the fortress walls and gate were removed following urban renovation during the period of King Sunjong, the Pungnammun Gate was much impaired. The present gate had its old shape restored by a three-year period of work from 1978.

It consists of 3-kan (a unit of measurement referring to the distance between two columns) front space and 3-kan side space on the first floor and 3-kan front space and 1-kan side space on the second floor. It has a hip and gable roof called paljakjibung. The gongpo (column-heads) that supports the eaves of the roof is set up only on the pillars. This is called jusimpo style of building. A special thing is that the width of the 2nd floor is suddenly reduced compared to that of 1st floor. This is because the pillars of the 1st floor continue up to the 2nd floor where they are used as the corner pillars, a rare style in the construction of gate tower in Korea.

The carved shape of the column-heads and the dragons carved on the pillars between compartments in the middle of the 1st story ar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in late Joseon, which used an abundance of decoration. This is an important cultural asset for researching the construction of old gate tower.

출처:문화재청


"조형물과 풍남문"

자본주의 경쟁사회 속 샐러리맨을 형상화헀던 고(故) 구본주 작가의 작품으로 보인다.


"전주 평화의 소녀상과 풍남문"


"보물 전주 풍남문"

반응형

[보물 전주 풍남문]

풍남문은 조선 시대에 전라감영이 있었던 전주를 둘러싼 전주성의 남쪽 문이다. 원래 전주성에는 동서남북 네 곳에 문이 있었지만 현재는 풍남문만 남았다.

전주성의 축성 연대를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고려 말에는 이미 축성되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선조 30년(1597)에 정유재란을 거치면서 절반이 넘게 허물어져 있던 전주성을 영조 10년(1734)에 크게 고쳐 쌓았고, 이 때 남문을 명견루(明見樓)라 하였다. 이후 영조 43년(1767)에 불타자 관찰사 홍낙인이 다시 짓고 풍남문이라 하였다. 풍남문이라는 이름은 중국 한나라를 세운 유방이 태어난 풍패(豊沛)에서 따온 것이다. 조선 왕조의 발원지인 전주를 풍패에 비유하여 풍패향이라 불렀으며, 풍패향 전주의 남문이라는 뜻으로 풍남문이라 하였다.

문루* 2층의 남쪽 면에는 전주가 조선 왕조의 고향임을 의미하는 ‘풍남문’, 북쪽 면에는 전라도 행정 중심지로서의 의미인 ‘호남제일성(湖南第一城)’이라고 쓴 현판이 걸려 있다. 또한 성문 밖에는 외부의 침입을 막으려고 만든 반원형의 옹성(甕城)이 있다.

*문루(門樓): 궁문, 성문 따위의 바깥문 위에 지은 다락집


"보물 전주 풍남문"


"보물 전주 풍남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