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미사변 희생 영령을 위로하다, 장춘단비

2023. 11. 19. 06:18바롱이의 쪽지/서울

반응형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장충단비 (奬忠壇碑)]

 

장충단에 서 있던 비이다.

 

장충단은 조선 고종 32년(1895)에 일어난 명성황후 시해사건 당시 일본인을 물리치다 순사한 홍계훈, 이경직 및 여러 신하들의 혼을 위로하기 위해 세운 제단이다. 

 

비는 반듯한 사각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운 간결한 구조이다. 앞면에는 ‘장충단(奬忠檀)’이라는 비의 명칭이 적혀 있는데, 순종이 황태자시절에 쓴 글씨이다. 뒷면에는 민영환이 쓴 비문이 기록되어 있다.

 

광무 4년(1900) 고종의 명에 의해 장충단을 지을 때 비도 함께 세워 놓았다. 일제는 1910년 한일합방 후 이 비를 뽑아 버렸으며, 1920년대 후반부터는 여러 시설들을 마구 설치하여 ‘장충단 공원’이라 이름 붙였다. 광복 후 일제가 세웠던 건물을 모두 헐면서, 비도 다시 찾아 세우게 되었고, 1969년 지금의 자리인 수표교(서울시유형문화재 제18호) 서쪽에 옮겨 세웠다.

 

출처:문화재청


"장충단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장충단비 (奬忠壇碑)]

 

장충단비는 을미사변 때 희생된 영령들을 위로하려고 장충단에 세운 비석이다. 1895년(고종 32) 을미사변 때 경복궁에 침입한 일본인들이 명성황후를 살해하였고 궁내부대신 이경직과 시위대장 홍계훈을 비롯한 많은 병사가 일본군에 대항하다 죽었다. 고종황제는 1900년(광무 4)에 이들을 위하여 사당을 짓고 제사를 지내려고 장충단을 세우고 이때 비석도 함께 세웠다. 1910년 한일병합과 함께 일제에 의해 장충단은 폐지되고 비석도 뽑혔다. 1920년 후반부터 일제는 이곳에 벚나무를 심어 공원을 조성하고 이곳을 ‘장충단공원’이라 하였다. 1945년 광복과 함께 장충단비를 다시 찾아 지금의 신라호텔 자리에 세웠고, 1969년에 이곳으로 옮겼다. 비석의 앞면에 새겨진 ‘장충단(奬忠壇)’ 세 글자는 당시 황태자였던 순종 황제가 쓴 글씨이다. 비석의 뒷면에는 당시 육군 부장이었던 민영환이 쓴 143자가 새겨져 있는데, 장충단을 세우게 된 내력과 의미를 담고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