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2. 4. 06:20ㆍ바롱이의 쪽지/서울
[입춘立春]
봄이 온다고 생각하는 날로, 대개 양력 2월 4일경이다. 24절기는 중국 화북 지역의 기후를 기준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입춘에 봄기운을 느낄 수 없다. 예로부터 입춘에는 대문이나 기둥에 봄이 온 것을 축하하거나 기원하는 글을 써 붙여 봄을 맞이하고, 집안의 풍요와 안녕을 기원한다. 제주도에서는 입춘굿으로 풍농을 빌기도 한다.
2024년 갑진년(甲辰年). '푸른 용의 해' 첫달이 시나브로 지나가 버리고 꽃샘추위속 봄기운이 살랑살랑 다가오는 2월이다.
봄이 시작되는 새해 첫 번째 절기인 입춘(立春)에는 일 년을 무사히 보내기를 기원하며 한해를 소망하는 글을 써서 대문이나 기둥에 붙인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청주향교 외삼문에 붙어있는 입춘첩이다.(입춘대길(立春大吉)과 건양다경(建陽多慶)은 '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고 따뜻한 기운이 도니 경사가 많다'라는 뜻이다.)
추위가 누그러들고, 초목이 싹트고, 봄기운이 돌기 시작하는, 다가올 따뜻한 봄맞이를 준비하는 2월이다.
"국립민속박물관"
[입춘서]
立春書Ipchunseo (Book for Beginning of Spring)
1925
김동복 기증 Gift of Gim Dongbok
입춘첩에 쓸 봄맞이 문구를 정리해 엮은 문서이다. '입춘대길 건양다경, 입춘을 맞이해 좋은 운이 들어오고, 집안에 경사가 않기를 바람', '금방창갑 만수무강 과거에 장원급제하고, 오래오래 건강하게 살기를 바람', '오곡동양 육축답성, 오곡(쌀, 조, 수수, 팥, 콩 풍년들고, 여섯 가축(소, 말, 양, 개, 돼지, 닭)과 논이 풍성하기를 바람' 등의 내용이 적혀 있다.
[입춘 풍경(사진 엽서)]
立春風景 寫眞葉書 A Scene of Ipchun (Photo Postcard)
20세기 초 Early 20th Century
색동옷을 차려입은 아이들의 모습이 담긴 사진 엽서로, 대문에는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이라고 쓴 입춘첩이 붙어있다.
[봄 농사]
봄은 농사짓는 땅을 만드는 데 힘쓰는 계절이다. 쟁기로 논이나 밭을 갈아엎고, 거름을 주어 땅의 기운을 북돋는다. 논에서는 못자리판을 만들고 볍씨를 뿌리며, 밭에서는 씨앗을 심고 본격적으로 작물 재배를 시작한다.
[목우]
木牛 Wooden Cow
재현품 Reproduction
제주도의 입춘굿에 등장하는 나무로 만든 소로, 제주도에서는 ‘낭쉐'라고 부른다. 이 소는 입춘굿의 모의 농경에 등장하며, 풍농을 기원하고 농사의 시작 시기를 알리는 역할을 한다. 조선 시대 이원조李源祚, 1792-1871가 쓴 『탐라록耽羅錄』(1841)에는 관복을 갖춰 입은 호장戶長이 나무로 만든 소를 끌고, 기생들이 좌우에 서서 이를 따르는 모습이 나온다.
[입춘첩]
立春帖 Ipchuncheop (Spring Welcoming Message)
봄이 온 것을 축하하거나 기원하는 글을 적은 종이로, 입춘에 집의 대문이나 기둥, 문 위에 붙인다. 대문에 가장 많이 쓰이는 문구로는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이 있으며, 집안 공간의 성격에 따라 붙이는 내용이 다르다.
'바롱이의 쪽지 > 서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적 서울 고종 어극 40년 칭경기념비 (1) | 2024.07.12 |
---|---|
해장하러 왔다가 술 또 먹고 오지요! (1) | 2024.04.07 |
서울 반포 한강공원 (2) | 2023.11.22 |
서울 수표교 (2) | 2023.11.20 |
을미사변 희생 영령을 위로하다, 장춘단비 (2) | 2023.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