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서원(2019)

2019. 12. 4. 05:51뚜벅뚜벅 대한민국 세계유산/한국의 서원(2019)

반응형

한국의 서원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2019)

[요약]

한국의 서원은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 시설의 한 유형으로, 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 중반에까지 향촌 지식인인 사림에 의해 건립되었다. 이 유산은 교육을 기초로 형성된 성리학에 기반한 한국 사회 문화 전통의 특출한 증거이다. 이 유산은 동아시아 성리학 교육기관의 한 유형인 서원의 한국적 특성을 나타낸다.


[등재기준]

기준 (iii) 신청유산은 조선시대 교육 및 사회적 활동에서 널리 보편화되었던 성리학의 탁월한 증거이다. 이 유산은 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 중반 사이에 건립되었으며, 교육을 기초로 형성된 독특한 역사 전통과 성리학의 가치를 나타낸다. 향촌 지식인들은 이 유산을 통해 성리학 교육을 적절하게 수행하기 위한 교육 체계와 건축물을 창조하였으며, 전국에 걸쳐 성리학이 전파되는데 기여하였다.

[탁월한 보편적 가치]
신청유산은 향촌 지식인들에 의해 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 중반 사이에 건립되었다. 이 유산은 소수서원, 남계서원, 옥산서원, 도산서원, 필암서원, 도동서원, 병산서원, 무성서원, 돈암서원의 9개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은 전국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

이 유산은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어 한국 사회의 많은 부분에 기초가 되었던 성리학 교육을 증진한 교육기관의 탁월한 증거이다. 서원에서 향촌 지식인들은 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교육 체계와 유형적 구조물들을 창조하였다. 그들은 성리학 경전과 연구를 수행하였고, 세계에 대한 이해와 이상적 인간형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들은 향촌사회의 선현들을 제향하였고, 제향인물을 통해 강한 학문적 계보를 형성하였다. 또한, 향촌 지식인들은 이 유산을 기초로 다양한 사회적·정치적 활동들을 통해 성리학이 사회 전반에 전파되는데 기여하였다.

이 유산은 동아시아에 전파되었던 성리학이 지역화되고 변영된 톡특한 과정을 통합적으로 보여준다. 이 유산은 한국에서 서원 건축의 정형화에 의해 완성된 독특한 문화전통을 나타낸다. 9개로 구성된 이 유산은 한국 서원의 특성과 발전을 보여주며, 서원이 건축적으로 어떠한 과정을 통해 발전하였는지 각각의 과정을 통해 보여준다.


[완전성]

신청유산은 한국의 성리학의 발전과 서원 유형의 정립과정을 증명하는 가장 중요한 서원 9개로 구성되어 있다. 각 구성요소는 집합적으로 신청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보여주며, 각각 하나의 온전한 서원으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완전성을 갖추고 있다.

신청유산은 조선시대 서원의 필수 공간 요소인 제향공간, 강학공간, 교류와 유식공간을 구성하는 각 건축물뿐만 아니라 원래의 지형, 주변환경을 온전하게 유지하고 있다. 제향공간을 구성하는 사우와 사우 내부의 위패, 전사청 등이 온전하게 존재하며, 강학공간을 구성하는 강당과 재사, 도서관, 각 건물의 편액 등이 온전하다. 누각 등 회합 및 유식공간의 구성요소 역시 온전하며, 주변의 경관, 지형 등이 온전한 모습으로 남아 있다. 서원 주변의 경관 중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입증할 중요한 부분은 모두 유산구역이나 완충구역에 포함되어 있다.


[진정성]

신청유산은 형태와 디자인, 자재와 구성물질, 전통적 기법과 관리체계, 입지와 주변환경 측면에서높은 수준의 진정성을 확보하고 있다. 신청유산은 서원 설립운동의 초기에 해당하는 16세기 중반부터 약 1세기 기간 동안 건립된 대표적 서원으로서, 역사발전 과정에서 훼철되지 않고 원형을 유지하였다. 제향자의 연고 및 경관을 포함하는 입지 환경, 제향공간, 강학공간, 교류와 유식공간의 건축 배치, 각 건물의 유형적 형태, 목재와 기와를 사용하는 물질 구성, 보존 관리의 체계 등을 원래의 모습으로 유지하고 있다.

형태와 디자인 측면에서 신청유산은 서원 역사의 건축적 구현을 보여준다. 한국의 서원은 제향, 강학, 교류와 유식 공간의 유기적 결합을 하나의 전형적인 형태로 완성하였고, 이를 지금까지 변형 없이 완벽하게 유지하고 있다. 또한 한국의 목조 건축기법과 좌식형 생활 관습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건축 형태를 만들어 내었다.

자재와 구성물질, 전통적 기법과 관리체계 측면에서, 신청유산은 서원 설립 당시의 건축적 결과물을 그대로 입증하고 있다. 현재까지도 조선시대 건축기법과 자재로 최소한의 보수를 해오고 있으며, 진정성과 완전성을 해치지 않도록 관리하고 있다. 전통적인 기법으로 영건하였던 원형을 따라 현재는 공인된 기술인력과 훈련받은 장인들에 의해 최소한의 보수를 행한다. 신청유산은 문화재청과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관리하며, 전승되어오는 전통 기술을 적용한다. 목조건축에 위해를 줄 수 있는 흰개미, 부식, 화재 등에 대해 공인된 전문집단의 관리를 받고, 예방조치를 한다.

신청유산은 기록유산, 무형유산에 속하는 것들도 잘 보존, 전승하고 있다. 서원을 거쳐간 인물들이 남긴 전적, 문집, 기문, 목판 등은 잘 보호 관리되고 있으며, 제향은 지금까지 창건 당시의 모습 그대로 계승되어 시행되고 있다. 기록유산과 무형유산 모두 개별 유산들이 지속된 전통을 보여준다.


[보존 및 관리체계]

신청유산인 한국의 서원은 9개의 서원으로 구성된 연속유산이다. 신청유산은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를 온전히 포함하고 서원의 진정성과 완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경계가 설정되었다. 또한 서원의 보호·관리는 대한민국의 문화재보호법과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관련 조례 등을 통해 법적 보호를 받고 있으며, 이미 국가 사적으로 각각 지정되어 해당 서원은 물론 주변 지역까지도 보호·관리되고 있다.

신청유산은 제향-강학-교류와 유식이라는 기능과 유기적인 공간구성을 통해 서원의 가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각각의 기능에 해당되는 건축물과 시설물들이 유산구역에 포함되었고, 서원의 입지와 주변 환경 등을 고려한 산림, 농경지, 강, 계곡 등이 완충구역에 포함되어 보호·관리되고 있다.

현재까지 신청유산을 위협하는 개발 및 환경압력 등 유산에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요인은 경미하다. 이는 문화재보호법에 의해 주변 지역의 토지 이용과 개발 행위가 엄격히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신청유산 대부분이 목재 건축물인 점을 감안한다면 잠정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에 대비해야 하기 때문에 소화설비 및 상시 감시체계를 구축하여 재해 및 재난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세계유산 등재 이후 방문객과 관광 산업에 의한 서원의 보호・관리에 대한 영향은 향후 증대할 것으로 예상되나 해당 서원과 지방자치단체에서 서원 보존관리 계획을 수립하여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다각적인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출처:유네스코한국위원회


[사적 제55호 영주 소수서원]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임금이 이름을 지어 내린 사액서원이자 사학(私學)기관이다.

조선 중종 37년(1542)에 풍기군수 주세붕(周世鵬)이 안향(安珦)을 제사하기 위해 사당을 세웠다가, 중종 38년(1543)에 유생들을 교육하면서 백운동서원이라 하였다. 명종 5년(1550)에는 풍기군수 이황의 요청에 의해 ‘소수서원’이라 사액을 받고 나라의 공인과 지원을 받게 되었다. 중종 39년(1544)에 안축(安軸)과 안보(安輔)를 제사지냈고, 인조 11년(1633)에는 주세붕을 더하여 제사지냈다.

서원의 건물은 비교적 자유롭게 배치되었는데 일반적인 서원의 배치가 완성되기 이전인 초기의 서원이기 때문인 듯하다. 정문으로 들어서면 강당인 명륜당이 있고 학생들이 머물며 공부하는 일신재와 직방재가 연속으로 있다. 서원의 일반 배치가 강당 좌우에 대칭으로 동·서재를 두는 것인데 비해, 소수서원은 현판의 이름으로서 구분하였다.

사당은 명륜당의 서북쪽에 따로 쌓은 담장 안에 있다. 서원이 있던 자리에는 원래 통일신라시대의 절인 숙수사가 있었는데, 그 유적으로 당간지주와 초석 등이 남아있다.

소수서원은 조선시대 후기에 대원군이 서원을 철폐할 때 살아남은 47개 서원 중의 하나이며, 지금도 매년 봄·가을에 제사를 지낸다.

[영문 설명]

It is the first local private school whose name was bestowed by the throne. This Seowon, or Confucian academy, was first established as a memorial to An Hyang (1243-1306), a great Confucian scholar during the latter years of Goryeo (918-1392), by a local county chief, Ju Sebung, in 1541, the 36th year of the reign of King Jungjong (1506-44). It was called Baegundongseowon in 1543, the 38th year of the reign of King Jungjong, while it was used as a place for teaching students of Confucianism. King Myeongjong renamed the Sosuseowon in 1550 when Korea's greatest philosopher-scholar, Yi Hwang, better known as Toegye, was the county chief of this area. Thus, it became the first Seowon authorized by the Court and the first publicly accredited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In 1544, the memorial tablets of scholars An Chuk (1287-1348) and An Bo (1302-1357) were enshrined; in 1633, the 11th year of the reign of King Injo (1623-49), the memorial tablet of founder Ju Sebung was enshrined here. This Seowon is thought to be an early form of Seowon according to the allocation of buildings and was somewhat freely located. Major facilities include the shrine, a lecture hall called Myeongnyundang, two dormitories, several study halls, and the archives. The shrine is located northwest of Myeongnyundang. The flagpole support and base just outside the main indicate that this place was originally the site of a temple called Suksusa. Sosuseowon is the first local private school whose name was bestowed by the throne and one of the forty-seven seowons remaining after the Seowon destruction ordered by King Daewongun of the late Joseon Dynasty (1392-1910). Here, an ancestral sacrifice is performed every spring and fall.

출처:문화재청

영주 소수서원
 

한국의 서원, 영주 소수서원

한국의 서원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2019) [요약] 한국의 서원은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 시설의 한 유형으로, 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 중반에까지 향촌 지식인인 사림에 의해 건립되었다. 이

barongl.tistory.com


[사적 제170호 안동 도산서원]

도산서원은 퇴계 이황 선생이 도산서당을 짓고 유생을 교육하며 학문을 쌓던 곳이다.

퇴계 이황(1501∼1570) 선생은 주자학을 집대성한 유학자로 우리나라 유학의 길을 정립하면서 백운동서원의 운영, 도산서당의 설립으로 후진양성과 학문연구에 전력하였다. 중종, 명종, 선조의 지극한 존경을 받았으며 일본 유학의 부흥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도산서원은 조선 선조 7년(1574) 그의 학덕을 추모하는 문인과 유생들이 상덕사(보물 제211호)란 사당을 짓고 전교당(보물 제210호) 동·서재를 지어 서원으로 완성했으며, 선조 8년(1575) 국왕에게 이름을 받아 사액서원이 되면서 영남지방 유학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 서원의 건축물들은 민간인들의 집처럼 전체적으로 간결, 검소하게 꾸며 퇴계의 품격과 학문을 공부하는 선비의 자세를 잘 반영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영문 설명]

Dosanseowon Confucian Academy is the place where Toegye Yi Hwang built Dosanseodang Village School, educated disciplines, and studied. In the 7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eonjo (1574), his followers and disciples built Sangdeoksa Shrine (Treasure No. 211) and completed the construction of this academy the following year (1575) by building the Jeongyodang Lecture Hall and two dorms. It became the center of Confucianism in the region of Yeongnam when it was granted the status of a government-sponsored academy by King Seonjo in the 8th year of his reign (1575). Toegye Yi Hwang, who had left great writings about Confucianism, established Confucianism in Korea, ran Baegundongseowon Confucian Academy, and devoted himself to educating students and studying by constructing Dosanseodang. He was highly respected by many kings such as Jungjong, Myeongjong, and Seonjo, contributing to the prosperity of Confucianism in Japan. The buildings of this academy -- built in a simple, concise style like the house of a citizen at that time -- reflect Toegye's character and attitude as a scholar.

출처:문화재청

안동 도산서원
 

한국의 서원, 안동 도산서원

한국의 서원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2019) [요약] 한국의 서원은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 시설의 한 유형으로, 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 중반에까지 향촌 지식인인 사림에 의해 건립되었다. 이

barongl.tistory.com


[사적 제260호 안동 병산서원]

서애 유성룡의 학문과 업적을 기리기 위한 곳으로, 안동에서 서남쪽으로 낙동강 상류가 굽이치는 곳에 화산(花山)을 등지고 자리하고 있다. 유성룡은 도학·글씨·문장·덕행으로 이름을 날렸을 뿐만 아니라, 임진왜란 때에도 성곽 수축·화기제작을 비롯하여 군비확충에 힘써 많은 공을 세운 인물이다.

원래 풍악서당으로 풍산 유씨의 교육기관 이었는데, 유성룡이 선조 5년(1572)에 이곳으로 옮겼다. 그 후 광해군 6년(1614)에 존덕사를 세워 그의 위패를 모시고, 1629년에 그의 셋째 아들 유진의 위패를 추가로 모셨다. 철종 14년(1863)에는 임금으로부터 ‘병산’이라는 이름을 받아 서원이 되었다. 서원내 건물로는 위패를 모신 존덕사와 강당인 입교당, 유물을 보관하는 장판각, 기숙사였던 동·서재, 신문, 전사청, 만대루, 고직사가 있다.

병산서원은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을 담당해 많은 학자를 배출한 곳으로, 1868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에도 남아 있었던 47개의 서원 중 하나이며, 한국 건축사에 있어서도 중요한 유적이다.

[영문 설명]

Byeongsanseowon, a Confucian academy, was built to commemorate Yu Seong-ryong, his life and studies. Yu Seong-ryong was not only famous for his academic standards in Confucianism, writing and calligraphy, and for his virtue, but he also made great contribution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by supporting the war through such means as building fortress walls and making firearms. This place was originally Pungakseodang Village School, an educational institution of the Pungsan Yu Clan. Yu Seong-ryong moved here in the fif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eonjo (1572). Later, in the sixth year of King Gwanghaegun’s reign (1614), Jondeoksa Shrine was built to hold his mortuary tablets and in 1629, the tablet of his third son, Yu Jin was added. Pungakseodang was given the name 'Byeongsan' by King Cheoljong in 1863 and thence became a Confucian academy. Inside the academy, there are Jondeoksa Shrine, Ipgyodang Lecture Hall, Jangpangak, where the relics are preserved, and the Dongjae and Seojae, which were the living quarters, Sinmun Gate, Jeonsacheong (a storehouse for ceremonial objects), Mandaeru Pavilion, and Gojiksa (caretakers’ quarters). It is one of the 47 Confucian academies that outlived Daewongun’s 1868 movement to abolish them.

출처:문화재청

안동 병산서원
 

한국의 서원, 안동 병산서원

한국의 서원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2019) [요약] 한국의 서원은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 시설의 한 유형으로, 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 중반에까지 향촌 지식인인 사림에 의해 건립되었다. 이

barongl.tistory.com


[사적 제154호 경주 옥산서원]

조선시대 성리학자인 회재 이언적을 기리기 위한 곳으로, 이언적의 학문은 퇴계 이황에게 이어져 영남학파 성리설의 선구가 되었다.

이곳은 선조 5년(1572)에 경주부윤 이제민이 처음 세웠고, 그 다음해에 임금에게 ‘옥산’이라는 이름을 받아 사액서원이 되었다. 공부하는 장소인 구인당이 앞에 있고, 제사를 지내는 체인묘가 뒤에 위치한 전학후묘의 형식이다. 체인묘는 앞면 3칸·옆면 2칸으로,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하고 있는 맞배집이다. 안에는 이언적의 위패를 모셔 놓았다. 구인당은 앞면 5칸·옆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헌종 5년(1839)에 화재로 사라졌다가 다시 지어진 건물이다. 그 외에도 정문인 역락문, 2층 건물인 무변루, 학생들의 기숙사로 동재인 민구재, 서재인 암수재 등 여러 건물이 있다.

서원 동남쪽에 1972년 후손들이 세운 청분각이 있는데, 이언적의 『수필고본』(보물 제586호)과 김부식의 『삼국사기』완본 9권 등 많은 서적이 보관되어 있다. 옥산서원은 조선 후기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제외된 47개의 서원 중 하나로, 선생의 저서와 역대 명인들의 글씨와 문집이 보존되어 있다.

[영문 설명]

This Confucian academy is dedicated to Hoejae Yi Eon-jeok, a great Confucian scholar of the Joseon Dynasty. The study of Yi Eon-jeok succeeding Toegye Yi Hwang was the Neo-Confucianism initiative made by the school of Yeongnam. Constructed by Gyeongju Governor Yi Je-min in the 5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eonjo (1572), this shrine-academy was called “Oksan” by the king the following year, becoming a government-sponsored shrine-academy. It consists of Guindang Hall where the students study and Cheinmyo Shrine where people enshrine the precedent scholars. Cheinmyo has 3 rooms at the front and 2 at the sides. Its hip-and-gable roof looks like the Chinese character (人) meaning “human”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building. The tablet of Yi Eon-jeok is enshrined inside Cheinmyo. Guindang, which also has hip and gable roof and 5 rooms at the front and 2 at the sides, was burnt down in the 5th year of the reign of King Heonjong (1893) but rebuilt later. Besides those two buildings, there are more buildings such as Yeongnangmun Gate (front gate), two-story Mullu Pavilion, Dongjae (east dorm for students), Seojae (west dorm for students), Amsujae (stockroom), etc. O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academy, Cheongbungak (depository for books), built for posterity purposes in 1972, exhibits some famous books such as Supilgobon (Manuscript Collection) written by Yi Eon-jeok and Kim Bu-sik's complete set of Samguk sagi (History of Three Kingdoms) with 9 volumes. Oksanseowon, one of the 47 Confucian academies exempted from abolishment during the reign of Daewongun in the late Joseon, preserves the calligraphies or collected works of famous scholars.

출처:문화재청

경주 옥산서원
 

한국의 서원, 경주 옥산서원

한국의 서원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2019) [요약] 한국의 서원은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 시설의 한 유형으로, 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 중반에까지 향촌 지식인인 사림에 의해 건립되었다. 이

barongl.tistory.com


[사적 제488호 달성 도동서원]

도동서원은 1605년(선조38) 지방 유림에서 한훤당 김굉필선생을 추모하기 위하여 세운 서원으로 조선중기 전학후묘(前學後廟)의 전형적 배치형식과 강당과 사당의 공포양식 및 담장 구성수법 등에서 건축적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강당·사당과 이에 딸린 담장은 보물 제35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서원 전면에 위치한 신도비, 은행나무 등을 포함한 서원 전역을 국가지정문화재(사적)으로 지정하여 보존·관리하고있다.

[영문 설명]

Dodongseowon Confucian Academy was founded by local scholars in 1605, the 38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eonjo, in memory of Kim Goeng-pil (1454-1504, pen-name: Hanhwondang), a prominent Neo-Confucian scholar of the early Joseon Dynasty. Laid out in the typical mid-Joseon style, the academy has a shrine for Confucian sages at the back of a lecture hall. The lecture hall, shrine, and surrounding walls are collectively designated as Treasure No. 350. The entire compound, including a memorial stele and an old ginkgo tree standing in front of the academy, was recently designated as a historic site for its more effectiv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출처:문화재청

달성 도동서원
 

한국의 서원, 달성 도동서원

한국의 서원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2019) [요약] 한국의 서원은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 시설의 한 유형으로, 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 중반에까지 향촌 지식인인 사림에 의해 건립되었다. 이

barongl.tistory.com


[사적 제499호 함양 남계서원]

정여창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 지방민의 유학교육을 위하여 조선 명종 7년(1552)에 지었다.

명종 21년(1566)에 나라에서 ‘남계’라는 사액을 내려 공인과 경제적 지원을 받게 되었다. 정유재란(1597)으로 불타 없어진 것을 선조 36년(1603)에 나촌으로 옮겨 지었다가, 광해군 4년(1612) 옛 터인 지금의 위치에 다시 지었다. 숙종 때 강익과 정온을 더하여 모셨다. 따로 사당을 짓고 유호인과 정홍서를 모셨다가, 고종 5년(1868)에 이는 훼철되었다. 앞쪽 낮은 곳에는 공부하는 강학공간을 두었고 뒤쪽 높은 곳에는 사당을 두어 제향공간을 이룬 전학후문에 배치를 하였다.

누문인 봉수루를 들어서면 강당인 명륜당이 있고, 그 앞쪽 양 옆으로 유생들의 생활공간인 양정재와 보인재가 있다. 재 앞에 각각 연못과 애련헌·영매헌이 있다. 내삼문 안쪽으로 사당이 있어 위패가 모셔져 있다. 이 밖에 전사청과 고직사·묘정비각 등이 있으며, 서원 입구에는 홍살문과 하마비(下馬碑)가 있다.

지금은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의 기능만 남아있으며, 『어정오경백편』·『고려사』 등의 책을 소장하고 있다.

정여창을 모신 서원은 전국적으로 9곳에 이르며, 그중 주된 곳이 남계서원이다. 소수서원에 이어 두 번째로 세워진 남계서원은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 때에도 존속한 47개 서원 중의 하나이다.

[영문 설명]

Namgyeseowon Confucian Academy was built in 1552 (or the 7th year of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of Joseon) in memory of Jeong Yeo-chang’s academic achievements and efforts to educate the local residents in the principles of Confucianism. In 1566, King Myeongjong presented a hanging tablet with the academy’s name “Namgye” and provided economic support to the academy. The building was destroyed by fir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in 1597 and a new building was built in 1612 (or the 4th year of the reign of King Gwanghaegun).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the mortuary tablets of Kang Ik and Jeong On were additionally enshrined in the building. A shrine, which was additionally built to enshrine the mortuary tablets of Yu Ho-in and Jeong Hong-seo, was removed in 1868 (or the 5th year of the reign of King Gojong). A lecture hall was placed in front, and a shrine behind it. To someone entering the site via the roofed entrance, the lecture hall, Myeongnyundang, is the first thing they will see. The lecture hall is flanked by dormitories on both sides, and there is a pond in front of the dormitories. Inside the gate, there is a shrine for keeping mortuary tablets. Other noticeable structures include the Jeonsacheong (a place where ritual objects are stored), Gojiksa (administrative office), Myojeongbigak (a shelter for a monument for Confucius), Hongsalmun Gate, and a hamabi (a stone marker informing visitors that they should dismount from their horse in deference to Confucius). Currently, the buildings are used to only to hold memorial rites. The place is also a repository of Confucian-related books. This is the most esteemed of the nine academies built in memory of Jeong Yeo-chang. Namgyeseowon Confucian Academy was built after Sosuseowon Confucian Academy and it was one of the forty-seven academies that survived the edict issued by Heungseon Daewongun (the father of King Gojong) requiring the closure of private Confucian academies.

출처:문화재청

함양 남계서원
 

한국의 서원, 함양 남계서원

[사적 제499호 함양 남계서원] 정여창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 지방민의 유학교육을 위하여 조선 명종 7년(1552)에 지었다. 명종 21년(1566)에 나라에서 ‘남계’라는 사액을 내려 공인과 경제적 지�

barongl.tistory.com


[사적 제383호 논산 돈암서원]

김장생(1548∼1631) 선생의 덕을 기리기 위해 인조 12년(1634)에 건립한 서원이다. 서원은 훌륭한 분들의 제사를 지내고 후학을 양성하던 지방교육기관이며, 김장생은 율곡 이이의 사상과 학문을 이은 예학의 대가로, 학문연구와 후진양성에 힘을 쏟은 인물이다.

원래 김장생의 아버지 김계휘가 경회당을 세워 학문연구에 힘쓰고 이후 김장생이 양성당을 세워 후진양성을 하였다. 후세에 이 경회당과 양성당을 중심으로 서원을 세우고 김장생을 추모하여 후학에 힘썼다. 현종 원년(1660)에 왕이 돈암이라는 현판을 내려주어 사액서원이 되었으며, 김집, 송준길, 송시열을 추가로 모시었다.

이 서원에는 『황강실기』, 『사계유교』, 『상례비요』 등의 서적들이 보존되어 오고 있으며, 사우(祠宇), 응도당, 장판각 등의 건물들과 하마비, 송덕비가 남아 있다.

이 서원은 고종 8년(1871)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 이후에도 남아 보존된 47개의 서원중의 하나로,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했던 전통있는 곳이다.

[영문 설명]

Donamseowon was established to honor the outstanding Confucian scholarship of Kim Jang-saeng (1548-1631) in 1634, the 12th year of the reign of King Injo of the Joseon Dynasty. Kim Jang-saeng was a great Confucian scholar who succeeded the scholarship of Yulgok and built the Giho Confucian School. He devoted his life to studying Confucianism and teaching his followers. King Hyeonjong of the Joseon Dynasty himself coined the name of the academy, Donam, and bestowed the big hanging board with the name of the academy on it in 1660. Donamseowon only erected the memorial tablets of Confucian scholars such as Kim Jip, Song Jun-gil, and Song Si-yeol. Quite a few old books have been preserved, including Hwanggang silgi (True Record of Hwanggang), Sagye yugo (Posthumous Works of Kim Jang-saeng), and Sangnyebiyo (Essentials of Funerary Rites); all three books are prose collections of Confucian scholars. Several buildings such as Sau Shrine, Eungdodang Lecture Hall, and Jangpangak (archive for printing woodblocks), Hamabi (stone hitching post), and Songdeokbi (memorial monument) have also been preserved. Donamseowon had survived the royal order of Heungseon Daewongun, father of King Gojong of the Joseon Dynasty, who ordered the abolishment of all Confucian academies but spared 47 important ones because they were very influential traditional local academies that had produced many great Confucian scholars.

출처:문화재청

논산 돈암서원
 

한국의 서원, 논산 돈암서원

[사적 제383호 논산 돈암서원] 김장생(1548∼1631) 선생의 덕을 기리기 위해 인조 12년(1634)에 건립한 서원이다. 서원은 훌륭한 분들의 제사를 지내고 후학을 양성하던 지방교육기관이며, 김장생은 �

barongl.tistory.com


[사적 제166호 정읍 무성서원]

신라후기의 학자였던 최치원(857∼?)과 조선 중종(재위 1506∼1544)때 관리였던 신잠(申潛)을 모시고 제사지내는 서원으로, 교육기능과 제사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다.

원래는 태산서원이라 하던 것을 숙종 22년(1696)에 임금으로 부터 이름을 받아 무성서원이라 하게 되었다. 앞에는 공부하는 공간을 두고, 뒤에는 제사 지내는 사당을 배치한 전학후묘의 형식이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사당, 현가루, 동·서재, 비각, 명륜당 등이 있다.

사당은 앞면 3칸·옆면 3칸의 규모로 성종 15년(1484)에 세웠고, 문루인 현가루는 앞면 3칸·옆면 2칸의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강당인 명륜당은 앞면 2칸·옆면 2칸의 팔작지붕 집이다.

이곳에는 성종 17년(1486) 이후의 봉심안, 강안, 심원록, 원규 등의 귀중한 서원자료가 보존되어 있으며, 조선 후기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도 남아있던 47개 서원 중 하나이다.

[영문 설명]

Putting together the shrines for Choe Chi-won and Sin Jam, people established this Confucian academy as a place for education as well as for the enshrinement of ancient scholars. To commemorate the learning and virtue of Choe Chi-won of the Goryeo Dynasty, a shrine called Taesanseowon Confucian Academy was constructed. Four years later, in the 4th year of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1549), the shrine for Sin Jam was also established. In the 22nd year of the reign of King Sukjong (1696), the two shrines were combined to become a shrine-academy under the name “Museong” given by the king. The layout of the buildings of the shrine-academy follows the style called Jeonhakhumyo, which means the building for education is at the front and that for enshrinement is at the back. The remaining buildings include a shrine as well as Hyeongaru Pavilion, two dorms named Dongjae (east dorm) and Seojae (west dorm), Bigak (monument house), and lecture hall named Myeongnyundang. Constructed in the 15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eongjong (1484), the shrine consists of 5 rooms in the front and 3 on the side; Hyeongaru Pavilion has 3 front rooms and 2 side rooms. It has hip and gable roof whose shape looks like the Chinese character “pal 八 (eight)”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lecture hall Myeongnyundang, whose roof is also hip and gable, has 2 rooms each in the front and on the side. Some valuable record materials such as Bongsiman (list of visitors), Gangan (lecture materials), Simwonnok (visitors’ book), and Wongyu (rules for academy students) during the period after the 17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eongjong (1486) are preserved here. This is one of the 47 Confucian academies that were preserved during the abolishment movement of the academy during the reign of Daewongun in the late Joseon.

출처:문화재청

정읍 무성서원
 

한국의 서원, 정읍 무성서원

한국의 서원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2019) [요약] 한국의 서원은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 시설의 한 유형으로, 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 중반에까지 향촌 지식인인 사림에 의해 건립되었다. 이

barongl.tistory.com


[사적 제242호 장성 필암서원]

선비들이 모여서 학문을 닦고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선조 23년(1590)에 하서 김인후(1510∼1560)를 추모하기 위해서 그의 고향인 기산리에 세워졌다.

1597년 정유재란으로 불타 없어졌으나 인조 24년(1624)에 다시 지었다. 현종 3년(1662)에 임금께서 ‘필암서원’이라고 쓴 현판을 직접 내려보내 주셨으며, 1672년에 지금의 자리로 옮겨 세웠다.

공부하는 곳을 앞쪽에, 제사지내는 곳을 뒤쪽에 배치한 전학후묘(前學後廟)의 형태로서 휴식처가 되는 확연루를 시작으로 수업을 받는 청절당, 그 뒤에 학생들이 생활하는 공간인 동재와 서재가 자리잡고 있다. 그리고 그 북쪽으로는 문과 담으로 별도의 공간을 만들어 사당을 두고 제사를 지냈다.

청절당의 처마밑에는 윤봉구가 쓴 ‘필암서원’현판이 걸려있고, 대청마루에는 동춘 송준길이 쓴 현판이 달려있다. 또한 확연루의 현판은 우암 송시열이 쓴 것이다. 사당의 동쪽에는 경장각이 있는데, 보물로 지정된 서책이나 문서 등이 보관되어 있다. 이들 자료는 주로 18세기∼20세기초부터 전래된 것으로서, 당시 지방교육과 제도 및 사회·경제상, 그리고 학자들의 생활상 등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영문 설명]

In this place, scholars used to assemble to study Confucianism and perform sacrificial rites. It was built in Gisan-ri, the hometown of Kim In-hu (1510-1560), in commemoration of him in the 23rd year of the reign of King Seonjo (1590). It was burnt dow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7, and reconstructed in the 24th year of the reign of King Injo (1624). King Hyeonjong, on his third reigning year (1662), personally bestowed the name plate 'Piramseowon' on this place. It was in 1627 that it moved to the present location. The inside of the academy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rule of jeonhakhumyo, which means that the room for study is situated at the front of the house while the room for sacrificial rites is located at the back. The academy is divided into many parts according to their use. Hwagyeonnu Pavilion is the resting place and Cheongjeoldang Lecture Hall was where classes took place. Behind Hwagyeonnu Pavilion and Cheongjeoldang, there are the Dongjae and Seojae, the living quarters of the students. To the north of the Dongjae and Seojae, there is a shrine, separated from the rest of the world by its gate and walls, where sacrificial rites were performed. Under the eaves of Cheongjeoldang, there hangs the name plate 'Piramseowon’ written by Yun Bong-gu. The name plate for Hwagyeonnu Pavilion was written by Song Si-yeol. To the east of the shrine is Gyeongjanggak where books and written documents classified by the government as treasures are stored and preserved. Gyeongjanggak contains materials that were introduced between the 18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se materials are highly valued in the study of the local educational system of Confucianism and the social and economic lives of Confucian scholars.

츨처:문화재청

장성 필암서원
 

한국의 서원, 장성 필암서원

한국의 서원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2019) [요약] 한국의 서원은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 시설의 한 유형으로, 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 중반에까지 향촌 지식인인 사림에 의해 건립되었다. 이

barongl.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