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향나무, 뽕나무, 회화나무 군&먹거리

2021. 2. 20. 08:02뚜벅뚜벅 대한민국 천연기념물/서울

반응형

"창덕궁 천연기념물 노거수"

[천연기념물 제194호 창덕궁 향나무 (昌德宮 香나무)]

향나무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을 비롯해 울릉도와 일본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상나무·노송나무로도 불린다. 이 나무는 강한 향기를 지니고 있어 제사 때 향을 피우는 재료로도 쓰이며 정원수·공원수로 많이 심는다.

창덕궁의 향나무는 나이가 약 750살 정도로 추정되며, 2010년 태풍의 피해로 인해 손상은 되었지만, 뿌리부분 둘레 5.9m이다. 가지는 동서남북으로 1개씩 뻗어나갔는데 남쪽 가지는 잘라졌고, 북쪽 가지는 죽었으며, 동쪽 가지는 꼬불꼬불한 기형으로 자랐다. 나무의 모양은 마치 용(龍)이 하늘을 오르는 모습처럼 생겼다.

창덕궁의 향나무는 오랜 세월동안 조상들의 관심과 보살핌 가운데 살아온 나무로 문화적 자료로서의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영문 설명]

The Chinese Juniper grows on Ulleungdo Island, in the mid-southern part of Korea, and in Japan. Since Chinese Juniper has a strong smell, this tree is used as incense for ceremonies and it is often planted in the garden or in the park.

The Chinese Juniper in Changdeokgung Palace is presumed to be about 750 years old, with girth of 5.9m. The branches of the tree used to spread toward all directions. However, the south branch was cut, the north branch was dead, and the east branch became deformed.

Since the Chinese Juniper in Changdeokgung Palace is biologically valuable and has been preserved well by our ancestors for a long time, it is designated and protected as a Natural Monument.

출처:문화재청

창덕궁  향나무


[천연기념물 제471호 창덕궁 뽕나무 (昌德宮 뽕나무)]

창덕궁 뽕나무는 창덕궁의 관람지 입구 창경궁과 경계를 이루는 담 주위에 위치하며 나무높이 12.0m, 가슴높이 줄기둘레는 239.5㎝로 뽕나무로서는 보기 드문 노거수일 뿐만 아니라 창덕궁 내 뽕나무 중에 가장 규모가 크고 수형이 단정하고 아름답다.

예로부터 조선은 농본사회로 ‘농상(農桑)’이라는 말에서 전하듯 농사와 함께 뽕나무를 키워 누에를 쳐 비단을 짜는 일은 조선시대 나라의 가장 중요한 일 중에 하나였다. 나라에서는 궁의 후원에 뽕나무를 심어 가꾸며 일반인들에게 양잠을 권장하였는데, 조선조 궁에 뽕나무를 심었다는 최초의 기록은 「태종실록」(태종 9년 3월 1일)으로 창덕궁 건립 후 태종 9년(1409) 중국 주(周)나라 성왕(成王)의 공상제도(公桑制度)를 본따 궁원(宮園)에 뽕나무를 심도록 명한 것이 공식적인 최초의 기록이다.

「태종실록」 외에 「성종실록」에도 왕이 승정원에 양잠의 중요성을 말하며 후원에 뽕나무를 식재토록 하고, 후원에서 왕비가 친히 누에를 치고 인간에게 처음으로 누에치는 법을 가르쳤다는 양잠의 신 서릉씨(西陵氏)에게 제사를 지내는 “친잠례(親蠶禮)”를 거행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양잠은 예로부터 나라의 귀중한 산업으로 왕실에서는 뽕나무를 매우 중요시 여겼왔다. 1911년, 창덕궁 후원 주합루 좌측 서향각에서 조선총독부가 양잠소로 만들고 친잠례를 거행하였으며, 주합루에서도 1925년 6월 17일, 1929년 6월 15일, 1939년 6월 26일 친잠례가 거행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위의 기록처럼 창덕궁 뽕나무는 친잠례 거행 등 궁궐 역사의 일면을 보여주는 중요한 수목으로 우리가 보호 관리하여야 할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매우 큰 소중한 문화재이다.

[영문 설명]

The White Mulberry of Changdeokgung Palace is located near the wall forming the boundary with Changgyeonggung Palace. It stands 12m high and has girth of 239.5cm.

This old mulberry tree is very unique as it is the biggest and handsomest one in the palace grounds. Traditionally, agriculture and sericulture were the two most important fields in Joseon industry. Growing mulberry trees, raising silkworms, and making silk were widely encouraged to the people by the Government.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ericulture, mulberry trees were planted and taken care of in the palace. The first record of mulberry tree planted in the palace appears in Taejong sillok (Annals of King Taejong).

It states that Taejong, under the influence of China’s public sericulture system, ordered mulberry trees to be planted in the palace garden. Seongjong sillok (Annals of King Seongjong) also mentions that the king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ericulture to Seungjeongwon, the royal secretariat, and ordered to plant mulberry trees in the back garden. According to records, the queen herself looked after the silkworms in the garden, and a rite called Chinjamnye was dedicated to the god Seoreung, who first taught sericulture skills to human.

As sericulture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dustries in the past, the royal family considered mulberry trees to be very important as well. In 1911,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created a sericulture center inside Seohyanggak Pavilion, the western annex of the royal library, Gyujanggak, with records stating that Chinjamnye was held at Juhamnu Pavilion (Gyujanggak building) on June 17, 1925, June 15, 1929, and June 26, 1939.

As seen above, the white mulberry of Changdeokgung Palace is an important tree, showing an interesting aspect of the history of the palace

출처:문화재청

창덕궁  뽕나무


[천연기념물 제472호 창덕궁 회화나무 군 (昌德宮 회화나무 群)]

창덕궁 회화나무는 창덕궁 돈화문을 들어서자마자 관람로 양 옆에 나란히 자라고 있는 회화나무 8그루로 나무높이는 15.0~16.0m, 가슴높이 줄기직경은 90~178㎝에 이르는 노거수이다.

회화나무는 궁궐 입구에 특별한 사유를 가지고 심어 가꾸어 왔는데, 창덕궁 돈화문 주변은 궁궐의 삼조(三朝) 중 조정의 관료들이 집무하는 관청이 배치되는 외조(外朝)의 공간에 해당되는 곳으로 궁궐 입구 주변에는 예로부터 중국 궁궐 건축의 기준이 되는 「주례(周禮)」에 따라 회화나무를 심었다.

「주례(周禮)」에 따르면 외조(外朝)는 왕이 삼공(三公)과 고경대부(孤卿大夫) 및 여러 관료와 귀족들을 만나는 장소로서 이 중 삼공(三公)의 자리에는 회화나무(槐)를 심어 삼공(三公) 좌석의 표지(標識)로 삼았다고 하며, 이 때문에 회화나무는 삼공 위계(位階)의 뜻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고 한다. (‘면삼삼괴삼공위언(面三三槐三公位焉)<「주례(周禮)」, 추관(秋官), 조사(朝士)>’)

창덕궁 회화나무는 위와 같은 사유로 궁궐 앞에 심겨진 회화나무 중 남겨진 것으로 추정하며, 1820년대 중반에 제작된 「동궐도(東闕圖)」에도 노거수로 그려져 있는 것으로 보아 수령은 300~400여년으로 추정된다.

또한 이들 회화나무 8그루는 조선시대 궁궐의 배식 기준과 의미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노거수로 판단된다.

[영문 설명]

The Forest of Pagoda Trees at Changdeokgung Palace is locat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path that begins right inside the front gate, Donhwamun Gate. There are eight of these old trees, each standing 15-16m high with breast-high circumference of 90-178cm.

The pagoda trees were planted at the entrance of the palace for a particular reason. This area is equivalent to the outer courtyard, the first of the three main courtyards, where the king and his cabinet administered state affairs. The pagoda trees are presumed to have been planted at the entrance as prescribed in the Chinese classic Zhouli (Rites of Zhou), on which ancient palace architecture is based.

According to Zhouli, the outer courtyard is where the king met with his three high ministers, high officials, and members of the aristocracy. The pagoda trees were planted as place markers for the three high ministers and were accordingly a symbol of their rank. The pagoda trees at Changdeokgung Palace are probably those that remain among the pagoda trees planted at the front of the palace for the aforesaid reason.

As there are old trees indicated in Donggwoldo (album of paintings of Changdeokgung and Changyeonggung palaces) produced in the 1820s, the trees are about 300-400 years old.

These eight pagoda trees are very important since they give insight to the standards by which trees were planted around the palace.

출처:문화재청

창덕궁  회화나무 군


서울 영등포로터리 버스 정류장 골목안 대한옥(설렁탕, 도가니탕, 꼬리탕, 꼬리수육, 도가니탕 등을 판매한다.)


꼬리수육(바닥에 짭짤하고 새콤한 양념간장을 자작하게 깔고 그 위에 알맞게 삶아 토막 낸 꼬리 수육을 담는다. 깻가루, 고춧가루 넣은 푸른 부추 무침을 꾸미로 넉넉하게 얹는다. 김치, 깍두기, 심심한 간의 맑은 국물을 곁들여 먹는다.)


꼬리 수육(바닥에 자작하게 깔린 새콤하고 짭짤한 감칠맛 간장양념, 잘 삶아진 야들야들 졸깃한 꼬리 수육, 깻가루, 고춧가루로 양념한 향긋하고 아삭한 식감의 부추 무침 등이 조화롭게 어우러진다.)


국수사리(부드럽게 삶아진 국수를 짭짤하고 새콤한 부추 간장양념에 적셔 먹는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