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롱이와 떠나요!(1293)
-
안중근 의사 평화(Peace)
일곱 번째 이야기평화 Peace하얼빈 의거 직후 일본은 러시아 하얼빈에서 자신들의 관할 구역인 뤼순으로 재판정을 옮겼습니다. 안중근 의사 측 변호는 막혔고, 방청객은 일본인과 기자들로 채워졌습니다. 그럼에도 안중근 의사는 조국의 독립과 동양평화를 외치며 치열하게 법정에서의 싸움을 이어갔습니다. 안중근 의사는 많은 글씨와 「동양평화론」, 『안응칠역사』를 남겨 독립에 대한 의지를 피력하고 동양평화 사상을 설파하였습니다. '대한국인 안중근'은 조국의 독립과 동양의 평화를 위해 글로서 일본 제국주의에 맞섰습니다. 동양평화론 東洋平和論지금 서양 세력이 동양으로 침략의 손길을 뻗쳐오고 있는데, 이 환란을 동양 인종이 일치단결해서 힘껏 방어함이 최상의 방법임은 어린아이라도 다 알고 있다.그런데 무슨 이유로 일본은 이..
2025.01.25 -
안중근 의사 동양(East Asia)
여섯 번째 이야기동양 East Asia1909년 10월 26일 아침, 하얼빈 역, 안중근 의사는 국권을 강탈하고 동양의 평화를 위협하는 일본 제국주의를 향해 총구를 겨누었습니다. 체포 후 안중근 의사는 이토 히로부미의 15가지 죄를 열거하고, 하얼빈 의거가 대한국 의군 참모중장으로서 조국의 독립과 동양의 평화를 위해 벌인 독립전쟁이라고 밝혔습니다. 안중근 의사는 대한제국의 국권을 강탈한 일본 제국주의를 비판하고, 동양평화를 이룩하기 위해 의거를 결행하였습니다.이토 히로부미의 죄상을 적은 문서List of crimes said to have been committed by Ito Hirobumi1909. | 일본 외무성 외교사료관(복제)안중근 의사가 밝힌 이토 히로부미의 죄상 15가지를 적은 문서이다. 『..
2025.01.24 -
보물 안중근의사 유묵 - 오노봉위필삼상작연지청천일장지사아복중시
[보물 안중근의사 유묵 - 오노봉위필삼상작연지청천일장지사아복중시 (安重根義士 遺墨 - 五老峰爲筆三湘作硯池靑天一丈紙寫我腹中詩) Calligraphy by An Jung-geun] 「안중근의사유묵-오노봉위필삼상작연지청천일장지사아복중시(安重根義士遺墨-五老峰爲筆三湘作硯池靑天一丈紙寫我腹中詩)」는 안중근(安重根:1879∼1910) 의사가 1909년 10월 26일 만주 하얼빈 역에서 조선 침략의 원흉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사살한 뒤 여순감옥(旅順監獄)에서 1910년 3월 26일 사망하기 전까지 옥중에서 휘호한 유묵을 일괄ㆍ지정한 것 중의 하나이다. 일괄 지정된 이 작품들은 1910년 2월과 3월에 쓴 것으로 글씨 좌측에 “경술이(삼)월, 어여순옥중, 대한국인안중근서(庚戌二(三)月, 於旅順獄中, 大韓國人安重根書)..
2025.01.23 -
보물 안중근의사 유묵 - 언충신행독경만방가행
[보물 안중근의사 유묵 - 언충신행독경만방가행 (安重根義士 遺墨 - 言忠信行篤敬蠻邦可行) Calligraphy by An Jung-geun] 「안중근의사유묵-언충신행독경만방가행(安重根義士遺墨-言忠信行篤敬蠻邦可行)」은 안중근(1879∼1910) 의사가 남긴 유묵 중의 하나로 그의 서예이다. 안중근은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나, 16세가 되던 1894년 아버지가 감사의 요청으로 산포군을 조직하여 동학군을 진압하려고 나서자 이에 참가하였다. 1906년 삼흥학교를 설립하고, 돈의학교를 인수하여 학교경영에 전념하기도 했다. 항일무장투쟁을 시작한 후 일본군 정찰대를 공격, 격파했으며, 1909년 10월 26일 이토 히로부미를 태운 열차가 하얼빈에 도착하여 그가 러시아 장교단을 사열하고 군중 쪽으로 발길을 옮기는 순간 ..
2025.01.22 -
논산 강경옥녀봉과 금강
[논산 강경옥녀봉과 금강] 선녀들도 반할만큼의 아름다운 경치를 바라볼 수 있는 곳이다. 강경 제일의 조망을 지니고 있고, 남쪽으로는 강경 읍내, 북쪽으로는 금강 물줄기가 보인다. 유순한 금강이 흐르고, 아담한 옥녀봉과 채운산이 알맞은 거리를 두고 마주한 사이에 올망졸망 읍내가 보이는 강경! 「택리지」저자 이중환은 일찍이 강경의 풍물과 경치에 빠져 이곳에 살면서「택리지」를 집필하였다고 한다. 달 밝은 보름날 하늘나라 선녀들이 이 산마루에 내려와 경치의 아름다움을 즐겼고 맑은 강물에 목욕을 하며 놀았다는 전설을 간직하고 있다. 강경에 가거든 젓갈시장을 들러 보고 꼭 옥녀봉에 올라가 보라고 권하고 싶다. 부여에서 유순하게 내려오던 금강이 옥녀봉을 밀어내지 못하고 물줄기가 꺾이어 서해로 나간다. 옥녀봉 정자..
2025.01.21 -
논산 강경 해조문(解潮文)
해조문 | 解潮文Inscription of Tide table지정별: 논산시 향토유적 제24호위치: 논산시 강경읍 북옥리 142시대: 1860년1860년에 제작된 암각문으로 강경읍 금강변 옛 강경포구 옆 옥녀봉 정상 부근에 있는 천연 바위 절벽에 가로 131㎝, 세로 110㎝의 음각(陰刻) 평면을 만들고, 그 위에 총 190자의 글자를 새겨 강경포구의 밀물과 썰물의 발생 원인과 시각, 높이를 기록한 조석표(潮汐表)이다. 이때까지 우리나라에 있었던 조석표(潮汐表)는 시각의 변화만을 다루면서 물발의 세기를 언급할 뿐이었는데, 암각문의 저자 송심두(宋心斗)는 밀물과 썰물이 드나드는 원리를 전통사상에 따라 풀이하고 처음으로 만조시각(滿潮時刻)과 함께 물의 높이를 다루고, 또 그것을 계량화하여 표시하였다. 이 ..
2025.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