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령 꼭 가봐야 할 곳(6)
-
보령 갈매못 천주교 순교지
[충청남도 기념물 보령 갈매못 천주교 순교지 (保寧 갈매못 天主敎 殉敎地)] 보령 갈매못 천주교 순교지는 1866년 천주교 박해 당시 프랑스인 다블뤼 주교 등에 대해 효수형을 집행했던 장소로 대표적인 천주교 순교지임. 1925년 공주 최말구 신부 등이 현지를 확인하였으며 현재 순교자기념비, 기념관, 사제관, 수녀원 등이 건립도이어 있으며 충청수영성(忠淸水營)의 역사성과 연계된 유적으로 도 기념물로 지정함. 출처:문화재청 "보령 갈매못 천주교 순교지" "순교복자비, 순교터" "갈매못 순교성지 기념관" "형장으로 택한 곳은 바닷가 모래사장이었다" "성모상" "성수와 기념관 내부" "조선에 도착하는 다블뤼 안토니오 신부, 페레올 주교,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주춧돌과 다섯 성인의 생애" "오성바위, 순교의 ..
2024.04.04 -
대한민국 명수 100선 보령 웅천천&단원사
"웅천교" "대한민국 명수 100선 보령 웅천천" 부여 외산행 버스를 타고 단원사 버스 정류장에 내린다. "단원사"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보령수부리귀부및이수 (保寧水芙里龜趺및이首)] ◦ 비신(碑身)이 없이 귀부(龜趺, 받침돌)와 이수(螭首, 머리돌)만이 주변 산기슭에서 발견된 어느 고승의 탑비이지만 비신이 없어 주인공을 알 수 없음. ◦ 다만 조각 수법․양식․크기, 그리고 옆에 있는 뛰어난 수법의 8각 원당형 승탑(부도) 파재(破材)로 보아 고려시대 어느 유명한 승려의 탑비와 부도로 추정됨. ◦ 이수의 중앙 정면 전액(篆額)에는 글씨가 없고, 다만 용과 구름 문양이 화려하고 섬세하며, 귀부에도 거북등 모양과 발 고리 턱수염 등이 생동감있게 조각되어 있음. 출처:문화재청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보령 수부리 ..
2024.04.02 -
동양에서 유일한 조개껍질 백사장, 대천해수욕장
"동양에서 유일한 조개껍질 백사장" [대천해수욕장] 끝없이 이어진 하얀 백사장, 파란 바다, 수평선 너머 점점이 떠 있는 작고 큰 섬들, 원색의 수영복 물결, 햇살을 가릴 만한 넉넉한 솔숲, 수평선 너머 아득히 떨어지는 낙조.... 대천해수욕장은 젊음과 낭만, 안락함과 자연미가 함께 어우러져 있는 곳이다. 젊은 연인들에게는 추억 만들기의 장소로서, 또 가족 단위의 휴식처로서, 해양스포츠의 메카로서 제반 요건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 이런 이유로 대천 해수욕장에는 한해 1천만 명에 육박하는 외지인의 발길이 끊이지 않으며, 서해안 최고의 휴양지이자 국제적 관광명소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먼저 규모면에서 백사장의 길이가 3.5km 폭100m에 달하는 대형이다. 백사장 남쪽에 기암괴석이 잘 발달되어 있어 비경을..
2024.04.01 -
충청의 뱃길을 수호하던 요새, 보령 충청 수영성
[사적 보령 충청수영성 (保寧 忠淸水營城) Navy Headquarters of Chungcheong-do Province, Boryeong] 충청수영성은 조선 초기에 설치되어 고종 33년(1896) 폐영(廢營)되었으며, 그 규모는 『세종실록지리지』 기록에 따르면 조선 초기 충청수영과 그 산하에 배속된 군선과 병력이 군선(軍船) 142척에 수군 수(水軍數)가 총 8,414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충청도 서해안 지역에 위치하여 한양으로 가는 조운선(漕運船)을 보호하고 왜구침탈을 방지했고, 근대에는 이양선을 감시하는 등의 역할을 했다. 선조 29년(1596), 충청수사 최호가 충청수영의 본영과 속진의 수군을 이끌고 남해 한산도에 머물며 수군통제사 원균의 지휘를 받다가 이듬해인 선조 30년(1597) 7월 1일..
2024.03.30 -
충남 보령 대천 한내 돌다리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대천한내돌다리 (大川한내돌다리)] 대천천 하류에 있었던 다리로, 예전에는 남포와 보령을 이어주는 중요한 교통로였다고 한다. 세월이 흐르면서 물살에 쓸려 떠내려 가거나, 하천 제방공사를 하면서 파손되어 얼마남지 않은 것을, 1978년 수습하여 옮겨 두었다가, 1992년에 대천천 강변에 옮겨 일부만 복원해 놓았다. 거대한 화강암으로 만들었는데, 근처에 있는 왕대산의 돌을 깎아내어 뗏목으로 운반해온 것으로 보인다. 다리의 몸체를 받치는 기둥은 거칠게 손질한 2∼3개의 돌을 쌓아 이루게 하여, 모두 6개의 기둥이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 위로 넓적한 판돌을 걸쳐서 다리를 완성하였는데, 원래는 12칸 돌다리라 하나 적어도 22칸은 되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다리의 높이는 낮은 편이어서 바..
2021.04.28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먹거리
[사적 보령 성주사지] 보령 성주산 남쪽 기슭에 있는 9산선문의 하나인 성주사가 있던 자리이다. 백제 법왕 때 처음 지어졌는데 당시에는 오합사(烏合寺)라고 부르다가, 신라 문성왕때 당나라에서 돌아온 낭혜화상이 절을 크게 중창하면서 성주사라고 하였다. 산골에 자리잡고 있는 절이지만 통일신라시대의 다른 절과는 달리 평지에 자리하는 가람의 형식을 택하였다. 절터에는 남에서부터 차례로 중문처, 석등, 5층석탑(보물 제19호), 금당건물과 그뒤에 동서로 나란히 서있는 동삼층석탑, 중앙 3층석탑(보물 제20호), 서 3층석탑(보물 제47호)가 있고 그 뒤에 강당이 자리하고 있다. 최치원의 사산비문 중 하나인 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국보 제8호)도 절의 북서쪽에 있다. 발굴조사결과 건물의 초석, 통일신라시대의 흙으로 빚..
2020.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