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 법주사 대웅보전&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2021. 6. 11. 06:45바롱이의 쪽지/충청북도

반응형

"우리나라 3대불전(佛典)"

[보물 제915호 보은 법주사 대웅보전 (報恩 法住寺 大雄寶殿)]

속리산 기슭에 있는 법주사는 신라 진흥왕 14년(553)에 처음 지었고, 혜공왕 12년(776)에 다시 지었다. 임진왜란으로 모두 불탄 것을 인조 2년(1624)에 벽암이 다시 지었으며 그 뒤 여러 차례 수리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웅전은 앞면 7칸·옆면 4칸 규모의 2층 건물로,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이다. 내부에 모신 삼존불은 벽암이 다시 지을 때 조성한 것으로 가운데에 법신(法身)인 비로자나불, 왼쪽에 보신(報身)인 노사나불, 오른쪽에 화신(化身)인 석가모니불이 있다.

이 건물은 무량사 극락전, 화엄사 각황전과 함께 우리나라 3대불전(佛典) 중 하나이다.

[영문 설명]

Located at the foot of Songnisan Mountain, Beopjusa Temple was first built in 553 (14th year of the reign of King Jinheung during the Silla Period) and was rebuilt in 776 (12th year of King Hyegong’s reign). The temple was burnt dow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in the late 16th century but was restored by Buddhist Monk Byeokam in 1624 (second year of the reign of King Injo of the Joseon Dynasty), undergoing several repairs until it attained its present grandeur.

Daeungbojeon Hall is a two-story building, measuring seven kan (unit of measurement referring to the distance between two columns) at the front and four kan at the side and having a hipped-and-gabled roof. The eaves of the building are supported by multi-cluster brackets.

A Buddha triad -- Vairocana Buddha, Rocana Buddha, and Sakyamuni Buddha -- is enshrined inside this hall, one of the three biggest Buddhist worship halls in Korea along with Geungnakjeon Hall of Muryangsa Temple and Gakhwangjeon Hall of Hwaeomsa Temple.

출처:문화재청


"보은 법주사 대웅보전 "


대웅보전 계단석(기단 한가운데 널찍한 계단을 마련했는데 좌우에 둥글둥글한 소맷돌을 세웠고 가운데에 넓적한 돌 석 장을 나란히 하여 계단을 좌우로 나누었다. 이는 부처님을 연에 태워 내모시거나 할 때 그 위로 연이 지나가도록 한 답도(踏道)로 이해된다. 소맷돌 바깥쪽에는 굵직한 넝쿨이 뻗어나가는 듯한 모습으로 연잎과 연꽃이 새겨졌고 소맷돌 위쪽에는 돌원숭이가 한 마리씩 앉았다. 계단석 중에는 발딛는 자리에 연잎이 선각된 것이 있다. -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보물 제1360호 보은 법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報恩 法住寺 塑造毘盧遮那三佛坐像)]

법주사에 모셔져 있는 이 삼불좌상은 본존불인 비로자나불상을 중심으로 왼쪽에 아미타불상, 오른쪽에 석가여래상을 배치한 삼불상으로 보존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비로자나불상은 네모진 얼굴에 건장하면서 굴곡이 없는 평판적인 몸체와 무릎을 하여 괴체적인 느낌을 준다. 왼손은 오른손으로 감싸고 있는 지권인의 손모양을 하고 있으며, 양어깨를 모두 덮은 옷은 대의 자락이 팔목에서 대칭되게 흘러내려 장식적이다.

아미타불상은 본존불과 거의 동일한 유형의 불상으로 왼손은 가슴에 올리고 오른손은 배에 두었으며 엄지와 중지를 맞댄 손모양을 하고 있다.

석가여래상은 비로자나불상·아미타불상과 거의 같은 체형, 얼굴 모습 등 동일한 양식적 특징을 보여준다. 손모양은 석가모니불이 흔히 취하는 항마촉지인으로, 무릎 위에 올린 오른손의 손끝이 땅을 향하고 있다. 한편 아미타불상과 석가여래불상은 손모양과 불상의 성격이 서로 다른데도 불구하고 옷 차림법이 마치 판에 박은 듯한 양식 특징을 보이고 있어 흥미롭다.

전체적으로 장대한 체구에 비하여 동안이며, 옷주름을 두텁게 표현한 이 불상은, 조형성이 탄탄하여 임진왜란 후의 새로운 조형을 보여주는 기념비적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비록 불상 안에 넣어둔 유물들이 대부분 도난당했으나 남아있는 연기문(緣起文)에 의하면, 조선 인조 4년(1626)에 조성되었으며, 그 후로부터 121년이 지난 조선 영조 23년(1747)에 불상에 다시 금칠을 하였음을 알 수 있어 조선후기 초반의 불상연구에 기준작으로 평가된다.

[영문 설명]

In this triad, the image of Vairocana Buddha is set at the center flanked by that of Amitabha Buddha and that of Shakyamuni Buddha.

Vairocana Buddha has a square face and a robust, contourless body. The left hand covers the right hand in a gesture of knowledge-fist mudra. The robe hung on both shoulders flows down symmetrically from the wrists.

Amitabha Buddha looks quite similar to Vairocana Buddha, with the left held up to chest level and the right hand right above the lap. The thumb and the forefinger of the right hand are touching each other.

Shakyamuni Buddha also looks quite similar to the other two. The fingertips of his right hand, which is on the lap, all point downward, as many images of Shakyamuni Buddha do.

Overall, the three images display a robust body and a young-looking face as well as thick robe wrinkles.

They are major pieces that display the new esthetic quality of a period past the late 16th Century. According to the relevant records, they were made in 1626 (the 4th year of King Injo’s reign) and gold-plastered 121 years later, i.e., in 1747 (the 23rd year of King Yeongjo’s reign).

출처:문화재청


"보은 법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