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0. 27. 05:51ㆍ바롱이의 쪽지/강원도
[강원도 기념물 홍천물걸리사지 (洪川物傑里寺址)]
이곳에 대한 명확한 기록은 찾을 수 없으나, 통일신라시대의 홍양사가 있던 장소로 알려져 오고 있다.
출토 유물로는 통일신라시대의 금동여래입상 1점, 고려시대 철불파편 4점, 철쇄파편 2점, 암막새 4점, 수키와 조각 6점, 암키와 조각 6점, 청자 조각 4점, 토기 조각 5점, 조선시대 백자 조각 7점이 있다. 문화재로는 석조여래좌상(보물 제541호), 석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제542호), 대좌(보물 제543호), 대좌 및 광배(보물 제544호), 삼층석탑(보물 제545호)이 지정, 보존되어 있다.
출처:문화재청
홍천 물걸리 사지(홍천지역에서 가장 뛰어난 대찰이었음을 짐작케 하는 여러 유물들이 출토되었고 또 석물들이 남아 있다. 홍양사터로 불리기도 하나 거기에 대해서는 뚜렷하게 알려진 바가 없다. -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보물 홍천 물걸리 삼층석탑 (洪川 物傑里 三層石塔)]
물걸리 절터에 남아있는 통일신라시대의 탑이다. 절터에 남아있는 많은 유물들로 보아 이전에는 이곳이 상당히 큰 규모의 사찰이었을 것으로 여겨지지만, 절의 이름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려 세운 모습이다. 위·아래층 기단의 각 면에는 모서리와 가운데에 하나씩의 기둥 모양을 새겨 두었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이 새겨져 있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1·2층은 5단이나, 3층은 4단으로 줄어들었다. 경사면은 평평하고 얇으며, 모서리선이 뚜렷하여 끄트머리에서의 들림도 날카롭다. 꼭대기의 머리장식은 없어지고 이를 받쳐주는 노반(露盤)만 남아있다.
전체적으로 일반적인 통일신라의 탑이나, 기단 각 면의 가운데기둥이 하나로 줄어든 것이라든지, 3층에서의 지붕돌 받침이 4단으로 줄어 아래층과의 조화를 이뤄내지 못한 점 등으로 보아 시대가 조금 떨어지는 9세기 후반의 것으로 보인다.
[영문설명]
The stone pagoda located at a temple site in Mulgeol-ri dates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Judging from the large quantity of ancient Buddhist artifacts discovered at this site, the temple that once stood there must have been a large one. However, no information is currently available as to its name.
The pagoda consists of three main levels and a two-tier base section. The sides of the base are carved, both at the upper and lower tiers, in such a way as to create pillar-like shapes along the two lateral edges as well as in the middle. The roof stone are separate from the body of the pagoda. The three stones making up the body of the pagoda have pillar-like beveled lateral edges on all four sides. The base of the roof stone is five-tiered at the first two levels and four-tiered at the third level. The roofs are shallow-pitched and thin and exhibit sharp hips with the four corners turned up equally sharply.
The finial base is missing with only the dew basin remaining. Although in conformity with the Unified Silla style in its overall appearance, this pagoda has a number of elements departing from it; including the single pillar-like sections in the middle of the lateral sides of the base and the four-tiered base of the third-level roof that disrupts the harmony with the rest of the roof stones. The pagoda, therefore, appears to have been made at a slightly later time, possibly in the late 9th century.
출처:문화재청
보호각 안에는 보물 홍천 물걸리 석조대좌 및 광배, 보물 홍천 물걸리 석조여래좌상, 홍천 물걸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보물 홍천 물걸리 석조대좌가 보존중이다.
[보물 홍천 물걸리 석조대좌 및 광배 (洪川 物傑里 石造臺座 및 光背)]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 물걸리의 대승사에 있는 것으로, 불상은 없고 광배와 대좌만 남아 있다.
완전한 배(舟) 모양의 광배는 가운데에 연꽃무늬와 덩쿨무늬가 새겨지고 가장자리에는 불꽃모양이 섬세하고 화려하게 조각되어 있다. 윗부분과 좌우 등 9곳에 작은 부처가 새겨져 있는데 각기 손모양을 달리하고 있는 특징이 있다.
광배를 받치고 있는 대좌(臺座)는 3단으로 구성된 8각 모양이다. 맨 아래에는 아래로 향한 연꽃무늬가 각 면에 새겨져 있고, 모서리에는 작은 귀꽃이 있다. 중간의 각 면에는 불상과 악귀를 쫓아준다는 신장상이 새겨져 있다. 대좌의 맨 윗부분은 연꽃이 활짝 핀 반원형 모양이고 연꽃 안에 작은 꽃무늬가 새겨져 있어 화려함을 더해준다.
광배 및 대좌의 양식이 9세기 이후에 나타나는 것들과 유사한 양식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통일신라 후기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추정된다.
[영문 설명]
The Stone Pedestal and Mandorla at Daeseungsa Temple in Mulgeol-ri, Naecheon-myeon, Hongcheon-gun, Gangwon-do has survived without a Buddha figure.
The mandorla, undamaged and forming a complete shape of a pear, features sculpted lotus and vine motifs, surrounded by intricate and sumptuous flame designs. Small Buddha figures are carved in nine places, at the top as well a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ll of the nine Buddhas assume a different mudra. The pedestal on which the mandorla is mounted is octagonal and consists of three sections. The bottom section has downward-facing lotus petals on each of its eight sides with smaller flowers added to all eight corners. The middle section features bas-reliefs of guardian gods believed to protect Buddha and thwart evil spirits. The top section is decorated with full-blossomed lotus flowers in a semilunar shape, and small floral motifs are placed inside each petal for a lavishly ornate appearance.
Similar in style to Buddha pedestal and mandorla from the 9th century and onward, this set is estimated to have been made sometime in late Unified Silla.
출처:문화재청
"활짝 핀 연꽃"
[보물 홍천 물걸리 석조여래좌상 (洪川 物傑里 石造如來坐像)]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 물걸리 소재의 대승사에 있는 석조여래좌상으로 얼굴은 마멸이 심해 세부표현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없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은 것 같으며, 정수리 부분에 있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는 표현이 분명하지 않다. 옷은 양 어깨에 걸치고 있고, 가슴에는 띠모양의 매듭이 보인다. 어깨는 둥글지만 두껍고 투박하게 보이고, 상체는 8세기 불상에 비해 평판적이고 왜소한 편이어서 당당한 양감이 사라져버린 모습이다. 손은 오른손을 무릎위에 올려 손끝이 아래를 향하고 왼손은 배부분에 놓고 있는 모습이다.
불상이 앉아있는 대좌(臺座)는 상·중·하대로 구분된 8각형으로 하대에는 각 면마다 무늬가 있고, 향로와 상상의 새인 가릉빈가가 새겨져 있다. 중대석은 8각의 각 면에 팔부중상이 새겨져 있고, 상대에는 활짝 핀 모양의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파손으로 인해 신체표현을 자세하게 알 수 없으나 장식성이 강조되는 9세기 중엽 이후의 전형적인 대좌 양식을 보여주고 작품이다.
[영문 설명]
The Stone Seated Buddha at Daeseungsa, a Buddhist temple in Mulgeol-ri, Hongcheon-gun, Gangwon-do, is defaced to such a degree that facial details are indistinguishable.
The head appears to have hair whorls and is surmounted by what could be a top knot (usnisa), although details are lacking to judge with certainty. The robe drapes from both shoulders, and there is a sash tied into a knot on the chest. The shoulders, although rounded, are rather thick and coarsely shaped. The upper body is quite flat and somewhat too small and lacks the robust and massive feeling of 8th-century Buddha figures. The right hand rests on the lap with the fingers pointed downwards, while the left hand is held near the abdomen. The pedestal where the Buddha is seated is octagonal in shape and consists of three tiers. Each of the eight lateral sides of the bottom tier features decorative motifs, including an incense burner and Kakavinka, an imaginary bird. The middle tier has one of the Eight Deva Guardians represented on each of the eight sides. The sides of the top tier are adorned with full-blossomed lotus flowers.
While the statue is too damaged to distinguish detailed features, the pedestal clearly follows the highly decorative style popular from the mid-8th century onward.
출처:문화재청
[보물 홍천 물걸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洪川 物傑里 石造毘盧遮那佛坐像)]
대승사에는 통일신라 후기에 만들어진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외에도 석조여래좌상, 불대좌 및 광배 4기가 있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그 위로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크게 솟아 있다. 약간 고개를 숙인 얼굴은 풍만하지만 턱이 뾰족하여 단정한 인상을 풍기고 있다. 옷은 양 어깨에 걸쳐 입고 있는데 긴장감이나 탄력적인 모습이 사라진 채 다소 투박하고 무겁게 늘어진 모습이 역력하다. 옷주름은 어깨에서 두 팔을 거쳐 무릎에까지 나타나 있으나 평행선으로 되어 약간 형식적으로 처리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손은 오른손 검지를 왼손으로 감싸고 있는 모습으로 일반적인 비로자나불이 취하는 손모양과는 반대로 되어있다.
불상이 앉아있는 대좌(臺座)는 8각 연화대좌로 상대·하대에는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고, 중대에는 부처에게 공양을 드리는 사람, 악기를 연주하는 사람, 향로 등이 새겨져 있다.
8세기 불상에 비해 양감이 없는 평판적인 신체, 긴장감이 사라진 무겁고 해이한 옷주름 등으로 보아 9세기 후반에 유행하던 비로자나불상의 전형적인 양식을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하겠다.
[영문 설명]
The Stone Seated Vairocana Buddha from late Unified Silla is housed at Daeseungsa Temple, along with Stone Seated Buddha in Mulgeol-ri, Hongcheon (Treasure No. 541) and four sets of pedestal and mandorla.
The Vairocana figure’s head is covered with small hair whorls with a tall usnisa in the shape of a top knot at the center. The face, held slightly downward, is plump, but the pointed chin gives it an overall well-defined appearance. The robe, worn over both shoulders, hangs down heavily. The rendering of drapery is quite crude and fails to convey the fluidity of the garment. Folds are present on the shoulders, arms and the knees, forming parallel lines that are somewhat rigid and stylized. The index of the right hand is wrapped around in the left hand, in an inverted position of the mudra usually assumed by a Vairocana Buddha. The pedestal on which the statue is seated is octagonal in shape and is adorned on its eight sides with lotus designs both on the upper and lower tiers.
The bas-reliefs on the eight sides of the middle tier represent people presenting offerings to the Buddha or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and incense burners. Compared to 8th-century Buddha figures, this statue lacks volume.
The flat torso and cursorily-rendered drapery, which fails to translate the natural movement of garment folds, make this statue reminiscent of the style popularly used for Vairocana Buddha figures in the late 9th century.
출처:문화재청
"부처에게 공양을 드리는 사람"
[보물 홍천물걸리 석조대좌 (洪川 物傑里 石造臺座)]
대승사에 있는 이 불대좌(佛臺座)는 불상은 없어지고 광배(光背)와 대좌(臺座)만이 남아 있는 것으로, 대좌는 거의 완전하게 보존되어 있다.
광배는 머리광배와 몸광배의 구분이 뚜렷한데 현재 머리광배 부분은 없어졌으며, 안쪽에는 덩쿨무늬를, 가장자리에는 불꽃무늬를 표현하였다.
대좌는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8각형 대좌로 상·중·하대로 구성되어 있다. 하대에는 향로와 새 모양의 조각이 있는 8각의 받침돌 위에 아래로 향한 연꽃이 새겨진 연화대석이 놓여 있다. 중대에는 8개의 각 면에 모서리 기둥을 새기고, 그 안쪽에 머리광배를 갖춘 보살입상을 조각하였다. 원형을 이루고 있는 상대는 연화좌로 3중의 연꽃이 조각되었는데, 연꽃잎 안에 다시 꽃무늬를 장식하여 화려함을 더해주고 있다.
각 부의 조각이 매우 세련된 이 불대좌는 물걸리에 보존되어 있는 홍천 물걸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홍천 물걸리 석조여래좌상 등과 같은 절터에서 발견된 점과 조각수법 등에서 볼 때 다른 불상과 비슷한 시기인 9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영문 설명]
The Stone Pedestal at Daeseungsa Temple has survived with mandorla and its pedestal is in an intact condition while its Buddha figure is missing.
The mandorla, consisting of two distinct sections, one surrounding the head area and the other surrounding the body, is currently missing the head section.
Vine motifs in the center of the mandorla are surrounded by a flame design that runs all along the edges. This typical Unified-Silla pedestal is octagonal in shape and is composed of three tiers. The bottom tier is sculpted, on its lateral sides, with the images of birds and incense burners, and there is a row of downward-facing lotus petals above it. The middle tier has bas-reliefs of standing Bodhisattvas, each of them inside an alcove-like frame. The top tier is round in shape and has three rows of lotus petals with each petal adorned with small floral motifs on the inside, for a more sumptuous appearance.
Based on the sculptural style and given that it was found at the same site as the Stone Seated Vairocana Buddha in Mulgeol-ri, Hongcheon (Treasure No. 542) and the Stone Seated Buddha in Mulgeol-ri, Hongcheon (Treasure No. 541), this very sophisticated Buddha pedestal is likely to also date from the 9th century; in other words, making it contemporary to the latter.
출처:문화재청
"가룽빈가"
'바롱이의 쪽지 > 강원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서내륙 최고 고찰, 홍천 공작산 수타사 (0) | 2021.10.29 |
---|---|
홍천 무궁화공원&박물관 (0) | 2021.10.28 |
홍천 물걸리 기미만세공원 (0) | 2021.10.26 |
홍천강 발원지, 미약골 (0) | 2021.10.25 |
수몰민들의 삶의 흔적과 역사, 횡성 망향의 동산 (0) | 2021.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