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살곶이 다리

2021. 11. 2. 05:36바롱이의 쪽지/서울

반응형

"조선시대 가장 규모가 큰 장석판교(長石板橋)"

[보물 제1738호 서울 살곶이 다리 (서울 箭串橋)]

조선시대의 수도인 한양과 동남지방을 연결하는 주요통로로 사용되던 다리로 살곶이 다리라고도 한다.

이 다리는 정종과 태종의 잦은 행차 때문에 세종 2년(1420) 5월에 처음 만들어지기 시작했으나 태종이 죽자 왕의 행차가 거의 없어 완성되지 못하였다. 그 후 이 길을 자주 이용하는 백성들 때문에 다시 만들 필요성이 제기되어 성종 6년(1475)에 다시 공사를 시작하여 성종 14년(1483)에 완성했다. 마치 평평한 평지를 걷는 것과 같다하여 ‘제반교(濟盤橋)’라고도 불렀다.

조선 전기에 만들어진 다리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다리로 모두 64개의 돌기둥을 사용하여 만들었다. 돌기둥의 모양은 흐르는 물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마름모형으로 고안되었다. 1920년대 서울에 내린 집중호우로 다리의 일부가 떠내려 가서 70년대에 다시 고쳐 지었으나, 다리의 오른쪽 부분에 콘크리트를 잇대어 복원함으로써 원래의 모습을 다소 잃었다.

[영문 설명]

This bridge used to be an important passage connecting Hanyang, Joseon’s capital city, with towns lying southeast of it.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began in the fifth lunar month in 1420 (the 2nd year of King Sejong’s reign), as King Jeongjong and King Taejong frequently took this route during their trips outside the capital city. But, after King Taejong’s death, the construction was put on hold, and the bridge was left unfinished, as this route was seldom traveled by the king. The construction resumed later in 1475 (the sixth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 as the route was by then frequently traveled, even if not by the king, and came to completion in 1483 (the 14th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 The bridge was also known as the “Jebangyo,” in reference to its flat and level span, giving the impression of walking on land.

The largest of early Joseon bridges, the Salgoji Bridge was built over sixty-four stone piers. The stone piers were made in the shape of a trapezoid to minimize the resistance of water. During heavy rains sometime in the 1920s, some parts of the bridge were swept away. The bridge was later rebuilt in the 1970s. The reconstruction work erased some of its original appearance with concrete blocks added to the right side of the span.

출처:문화재청


서울 살곶이 다리(‘살곶이’란 지명의 유래는 태조와 태종의 일화에서 비롯되었다. 왕위 계승 문제로 비롯된 아들 태종과의 갈등으로 함흥에 머물던 태조는 우여곡절 끝에 한양으로 돌아오다가 이곳에서 자신을 마중 나온 태종에게 활을 쏘았다. 그러나 태종이 차일을 치기 위해 세웠던 큰 기둥 뒤로 몸을 피하는 바람에 화살은 그 기둥에 꽂히고 말았다. 이에 태조가 천명임을 말하면서 이곳을 ‘살곶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현재 이 주변은 산책로와 운동 시설이 들어서서 말쑥한 모습이지만 한강이 개발되기 전의 뚝섬유원지 시절에는 플라타너스와 버드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었다. -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서울 살곶이 다리 야외 석재 전시장"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