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신라 진흥왕 척경비&먹거리

2020. 8. 7. 14:05뚜벅뚜벅 대한민국 국보/경상남도

반응형

"8세기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전형"

[국보 제34호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탑이 세워져 있는 창녕군 지역은 삼국시대부터 신라의 영역에 속해 있던 곳이며, 진흥왕 때부터 신라의 정치·군사상의 요지가 되었다. 탑은 2단의 기단(基壇)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로, 통일신라 석탑의 일반적인 모습이다. 

기단에는 위·아래층 모두 각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이 새겨져 있고, 탑신 역시 몸돌의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한 조각이 있다. 지붕돌은 수평을 이루던 처마가 네 귀퉁이에서 살짝 치켜 올라가 간결한 모습이며, 밑면에는 5단의 받침을 두었다. 1965년 탑을 해체, 복원할 당시 3층 몸돌에서 뚜껑달린 청동잔형사리용기 등의 유물들이 발견되었고, 바닥돌 주위에 돌림돌을 놓았던 구조도 밝혀졌다.

8세기 중엽인 통일신라시대에 세워진 탑으로, 위로 올라가면서 적당한 비율로 줄어드는 몸돌로 인해 충분한 안정감과 아름다움이 느껴진다. 세부적인  수법도 정교하여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국보 제21호)과 비길만한 기품이 있으며, 삼국시대부터 신라 영역에 속해있던 창녕의 지역적인 특성으로 볼 때, 경주 중심의 탑 건립 경향이 지방으로 확산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어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영문 설명]

This pagoda is situated in Changnyeong, an area that belonged to Silla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on, and which became the political and military center of Silla from the reign of King Jinheung. The pagoda consists of a three-story body on a two-story platform, which was a common form for stone pagodas made in the Unified Silla Period. Each story of the platform is adorned with carvings of corner pillars and interior pillars. The roofstone is horizontal but its four corners are slightly raised, creating a simple figure. The roof supports consist of five layers. 
When the pagoda was dismantled for reconstruction in 1965, a number of Artifact including bronze cup-shaped lidded reliquaries were found in the third story of the main body, and surrounding stones were found around the bottom stone. The pagoda is well balanced and proportioned as a whole, and the detailed skills are also elaborate. As such, it is considered enough of a masterpiece to be compared with the Three-story Stone Pagoda of Bulguksa Temple (National Treasure No. 21). Furthermore,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Changnyeong (i.e. that it belonged to the territory of Silla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his masterpiece of the Unified Silla Period (c. mid-8th century) also sheds light on the pagoda construction trend that emerged around Gyeongju.

출처:문화재청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진흥왕의 영토 확장 내용과 포부를 새기다"

[국보 제33호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

빛벌가야(지금의 창녕군)를 신라 영토로 편입한 진흥왕이 이곳을 순시하면서 민심을 살핀 후 그 기념으로 세운 비이다. 당시 창녕군은 신라가 서쪽으로 진출하는데 있어 마치 부채살의 꼭지와 같은 중요한 길목이었는데, 진흥왕 16년(555) 신라에 병합되었고, 565년에는 대야주(지금의 합천군)와 합쳐져 비사벌군(比斯伐郡) 또는 비자화군(比自化郡)으로 불리워지게 되었다.

비는 목마산성 기슭에 있던 것을 1924년 지금의 자리로 옮겨 비각안에 모셔 둔 것으로, 자연석의 앞면을 평평하게 다듬어 비문을 새기고, 그 둘레에 선으로 윤곽을 돌려놓은 모습이다. 다른 순수비와 달리 ‘순수관경(巡狩管境)’이라는 제목이 보이지 않아 척경비(영토 편입을 기념하여 세운 비)라 일컫고 있으나, 임금을 수행한 신하들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순수비에 속한다 할 수 있다. 

비문은 심하게 닳아 있어 판독하기가 힘든 상태이나, 후반부는 명확히 읽어낼 수 있을 만큼 선명하다. 다른 순수비의 내용을 참고할 때 대략 진흥왕이 빛벌가야를 점령하여 영토를 확장한 사실과 왕의 통치이념, 포부 등이 실려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후반부에 당시 왕을 수행하던 신하들의 명단이 직관, 직위, 소속의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어 당시 지방행정조직, 신분제 및 사회조직을 파악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비를 세운 시기는 대가야가 멸망하기 1년 전인 신라 진흥왕 22년(561)으로, 이 지역을 가야진출의 발판으로 삼고자 한 왕의 정치적인 의도가 엿보인다. 또한 진흥왕 당시의 사실을 기록해 놓아『삼국사기』의 내용을 보완해줌으로써, 이 시대의 역사적 사실을 밝히고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영문 설명]

King Jinheung of Silla built this monument after making a royal tour around Bitbeol Gaya (now Changnyeong), which he had incorporated into Silla’s territory. The monument was erected on the hill of Mongmasanseong Fortress at first, but was moved to its present site inside a pavilion in 1924. Unlike other monuments erected in commemoration of his royal tour, this one does not carry the title sunsu gwangyeong, meaning “The king conducted an inspection around the border area,” but it does contain a list of the members of the king’s entourage. At that time, Bitbeol Gaya was located at an important spot to provide Silla with strategic advantages in advancing toward the west. Accordingly, it was incorporated into Silla’s territory in 555 (the 16th year of King Jinheung’s reign). King Jinheung embarked on a royal inspection of the area, which was incorporated with Daeyaju (present-day Hapcheon) and named Bisabeol-gun or Bijahwa-gun in 565. The monument has the common style of those made in the Silla Period. The front face of a natural stone was evenly trimmed and carved with inscriptions, and is marked with a line around the edge. The front part of the epitaph is so worn that the inscription is no longer legible. However, given the contents of the inscriptions on other similar monuments, the inscription on this one may well have referred to the occupation of Bitbeol Gaya and the policy of territorial expansion pursued by King Jinheung, his ruling philosophy and ambitions, and so on. The latter part is clear on the whole, with the list of the king’s entourage recorded in the order of the official post and position occupied by its members. In particular, this list sheds light on the provinci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social ranks, and social systems of that time. The date of construction of the monument is given as 561 (the 22nd year of King Jinheung’s reign), i.e. one year before the fall of Dae Gaya. It suggests that King Jinheung had the political intention of making the area a stepping stone of his advance into Gaya territory. Also, since the monument contains a record of principal events during the reign of King Jinheung, it complements the corresponding article in Samguk sagi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and is of great help in piecing together and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facts.

출처:문화재청


"국보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 원위치"


"이전 후 국보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


창녕 창녕시외버스터미널 부근 막국수 노포 대중분식당


메밀막국수(소쿠리에 맵지 않고 사각한 식감의 고추, 아린 맛 적은 시원한 맛의 양파, 아삭하고 시원한 오이를 담아 내온다. 참기름 위에 된장을 넣은 짠맛은 적고 구수하고 고소한 맛의 양념된장, 연한 갈색 국물에 메밀면 넉넉히 담아 다진양념 얹은 메밀막국수.)

메밀막국수(약간의 신맛과 달금한 맛 육수에 고추가루, 다진양파, 파, 마늘, 갈은 고기, 푹 익은 호박등이 들어간 다진양념을 섞으면 약간의 매콤함과 단맛, 감칠맛이 더해진다. 쫄깃하기 보단 약간의 끈기가 있는 부드러운 면발과 잘 어우러진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