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인왕산 선바위&한양도성

2021. 11. 12. 06:25바롱이의 쪽지/서울

반응형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 선바위 (禪岩)]

신성한 대상물이 되고 있는 바위로, 마치 중이 장삼-검은 베로 만들어진 품과 소매가 넓은 중의 웃옷-을 입고 있는 형상이라 하여 불교의 ‘선(禪)’자를 따서 이와같이 부르고 있다. 

조선 태조 이성계가 한양에 도성을 쌓을 때 당시의 문신이었던 정도전과 왕사였던 무학대사가 이 바위를 성 안에 두느냐 성 밖에 두느냐로 크게 의견대립을 보였다는 일화가 전한다. 만일 이 바위를 성 안에 두면 불교가 왕성하여 유학에 조예가 깊은 문신들은 힘을 못쓰고, 성 밖에 두면 반대로 승려가 힘을 못쓰게 된다는 주장이었다. 결정을 못 내리고 다음날 아침이 되었는데 특이하게도 눈이 녹지 않은 자리가 있어 태조는 이것을 성터라고 생각하였고 결국 바위는 성 밖으로 밀려났다 한다. 

사람의 모습을 하고있는 자연석으로서, 직접적인 신앙대상물은 아니지만 불력(佛力)을 지닌 존재처럼 신성시 되었던 점이 주목된다.

출처:문화재청


인왕산 인왕사 일주문


[국가민속문화재 인왕산 국사당 (仁旺山 國師堂)]

인왕산 기슭에 위치한 국사당은 무속신앙에서 섬기는 여러 신을 모신 당집으로 요란한 굿판을 벌이기 쉽도록 인가에서 멀리 떨어진 산 속에 세운 ‘굿당’에 속한다.

원래 남산 꼭대기에 있었던 것을 일본인들이 남산에 조선신궁(朝鮮神宮)을 지으면서 이전을 강요하자 건물을 해제하여 현재의 인왕산 기슭에 옮겨 원형대로 복원한 것이다. 인왕산을 택한 이유는 이곳이 풍수지리설에서 명당에 속하고 현재 무속신으로 모셔지는 조선 태조와 무학대사가 기도하던 자리이기 때문이다.

앞면 3칸·옆면 2칸이고 양끝의 2칸은 이곳으로 이전한 후 새로 지은 것이다. 1칸은 4쪽의 여닫이문으로 되어 있고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내부의 3면에는 무신도가 걸려있고 마루에는 제상을 차리고 굿을 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 건물보다 구조는 간단한 편이나 그 규모는 더 크다. 

1925년경에 새로 지어진 국사당은 영·정조때의 건축기법을 바탕으로 한 원래의 국사당을 그대로 복원한 것이다. 내부의 대들보가 아치형으로 된 것이 특이한 이 건물은 전체적으로 구조가 간결하면서도 목재의 짜임새가 튼튼한 것이 목공의 솜씨가 돋보인다. 인왕산 국사당은 다른 당집에 비해 건물이 견고하고 많은 무신도를 볼 수 있다.

[영문 설명]

Guksadang Shrine, at the foothills of Inwangsan Mountain is a Dang-house (house for rites) dedicated to shamanist gods. Like many other Gutdang, (a house for a gut – a shaman ceremony), it is built in remote mountains, so that the noise of gut ceremonies would not disturb residential areas.

Guksadang was originally built at the top of Namsan Mountain, but was dismantled and removed to its present location by order of Japanese imperial regime, which built Joseon Shrine on the original site. Inwangsan Mountain was chosen was because it was considered a propitious site according to feng shui principles, and it was also a place where King Taejo of the Joseon Dynasty and his advisor, the Buddhist monk Muhak, both of whom were later celebrated as shamanist gods, had prayed.

In Korean architecture, the space between two pillars or columns in a building is called one kan, and each kan has four doors. Guksadang Shrine has 3 kan at the front and 2 kan at the sides. After the restoration, 2 kan at both sides were added. The building has a gable roof with '人'-shaped sides. Inside, paintings of shamanist gods are hung on all three walls and the floor space is divided for setting up a ritual-table and performing a gut. The building itself was built in a much simpler style but on a larger scale than regular traditional houses.

Guksadang was rebuilt in 1925 following the original construction method which was used during the reigns of King Yeongjo and King Jeongjo. Its simple yet sturdy structure and master-hand carpentry are remarkable, particularly the unique arch-shaped crossbeams. Compared to other dang houses, Guksadang is sturdily built, and it has many shaman paintings.

출처:문화재청


국사당(최영 장군·무학대사·이태조를 비롯한 여러 무신상을 모신 신당이다. 국사당은 조선 태조 4년(1395) 목멱산(남산)을 목멱대왕(木覓大王)으로 봉하여 호국의 신으로 삼고 이를 제사하기 위하여 세운 목멱신사(木覓神祠)의 다른 이름이다.

원래는 지금의 남산 팔각정 부근에 있었으나 1925년 남산 중턱에 일제의 신사(神社)를 세우면서 이곳으로 옮겨졌다. 조선시대에도 이미 ‘음사’(淫祀)라는 비판이 일 만큼 국사당의 제사는 국가에서 거행하는 굿의 성격이 짙었는데, 요즈음도 이곳은 무속신앙의 맥을 잇는 굿당으로 사용되어 일년 열두 달 굿판이 이어지고 있으니, 이쯤에서 이 마을 수많은 ‘절’의 정체가 드러난다. -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선바위(선바위는 마치 중이 장삼을 입고 참선(參禪)하고 있는 것처럼 보여 ‘선’(禪)자를 따서 선바위라고 불렀다고 하는 높이 7~8m 가로 11m 내외, 앞뒤의 폭이 3m쯤 되는 바위다. 두 바위가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는 형상으로 옛날 사진에는 주변에 아무런 시설물 없이 바위만 우뚝한 모습인데 지금은 바위 아래 시멘트로 된 제단이 설치되어 그 앞이 답답하다.

선바위의 유래는 조선 건국에 얽힌 정도전과 무학대사의 일화 속에 남아 있다. 이 바위를 성 안으로 하느냐 성 밖으로 하느냐 하는 문제로 왕사(王師)인 무학과 문신인 정도전의 의견이 대립하였다. 이유인즉슨 선바위를 성 안으로 넣으면 불교가 왕성하여 유신(儒臣)이 물러날 것이요 밖으로 내놓으면 승려가 맥을 못 쓰게 된다는 것이었다. 정도전과 무학대사의 팽팽한 의견 대립으로 태조는 쉽게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돌아와 잠이 들었는데, 꿈에 안쪽으로 성을 쌓은 자리만 눈이 녹아 하늘의 뜻이라 생각하여 선바위를 밖으로 내놓고 성을 쌓았다. 이에 무학이 “이제 중이 선비의 보따리나 짊어지고 다니게 되었다”며 탄식하였다고 한다. 그 뒤부터 한양 도성을 설성(雪城)이라고도 부르게 되었으며, 그 바위는 선바위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무녀의 애절한 사설과 매캐한 향냄새 속에 이제는 쓰레기가 되어버린 제물들이 널려 있는 국사당 앞을 지나 선바위 앞에 서면, 선바위를 비롯한 인왕산 거석들의 위용은 신성한 기운으로 주변을 압도한다. 바로 이런 분위기 때문인지 희귀하게 생긴 선바위와 그 뒤 너럭바위 위에 있는 산신각에는 지금도 치성을 드리기 위한 사람들의 발걸음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아무리 현대인의 삶이 기계문명과 물질만능의 풍요 속에 길들여진다 해도 내면으로는 영원히 길들여지지 않는 원시성이 공존한다는 사실을 뚜렷하게 확인하게 되는 현장이 이곳 선바위다. 선바위는 서울특별시 민속자료 제4호이다. 서울은 참 깊다. -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선바위와 서울시내 전경


서울성곽, 선바위, 서울시내, 서울 구 서대문형무소 전경


서울 구 서대문형무소 전경


사적 서울 한양도성과 남산타워 방향 전경


[사적 서울 한양도성 (서울 漢陽都城)]

서울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조선시대의 도성(都城)이다.

조선 건국 초에 태조가 한양으로 수도를 옮기기 위하여 궁궐과 종묘를 먼저 지은 후, 태조 4년(1395) 도성축조도감을 설치하고 한양을 방위하기 위해 성곽을 쌓도록 하였다. 석성과 토성으로 쌓은 성곽에는 4대문과 4소문을 두었다. 4대문은 동의 흥인지문 ·서의 돈의문 ·남의 숭례문 ·북의 숙정문이고, 4소문은 동북의 홍화문 ·동남의 광희문 ·서북의 창의문 ·서남의 소덕문을 말한다. 동대문에만 성문을 이중으로 보호하기 위한 옹성을 쌓았고, 북문인 숙정문은 원래 숙청문이었는데 이 숙청문은 비밀통로인 암문으로 문루(門樓)를 세우지 않았다.

세종 4년(1422)에 대대적으로 고쳤는데, 흙으로 쌓은 부분을 모두 돌로 다시 쌓고 공격 ·방어 시설을 늘렸다. 숙종 30년(1704)에는 정사각형의 돌을 다듬어 벽면이 수직이 되게 쌓았는데 이는 축성기술이 근대화되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서울 성곽은 여러 번에 걸친 수리를 하였으나, 쌓는 방법과 돌의 모양이 각기 달라 쌓은 시기를 구분할 수 있다. 일제시대에는 도시계획이라는 구실로 성문과 성벽을 무너뜨렸고, 해방과 한국전쟁으로 인해 더욱 많이 파괴되었다.

현재 삼청동 ·장충동 일대의 성벽 일부와 숭례문 ·흥인지문 ·홍예문만이 남아있다. 서울 성곽은 조선시대 성 쌓는 기술의 변화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며, 조상들이 나라를 지키려는 호국정신이 깃든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 광희문은 서울성곽의 사소문 중에 동남방향에 있는 성문이다. 서울성곽이 축성된 1396년에 지어졌으며, 수구문이라고도 불렀다. 속칭 남소문이라고도 한다. 광희문은 1711년에 개축하였으며, 성문 위 문루는 1719년에 이르러 완성되었다. 광희문이라는 편액은 이때 써 붙였다. 그후 6.25 전쟁으로 문루와 서문 위 여장은 파괴되었으며, 1976년에 고증을 거쳐 북원하였다. 지금의 광희문은 도로를 개통하면서 원래 위치에서 약간 남쪽으로 옮겨 복원한 것이다.

[영문 설명]

The capital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Hanyang (present-day Seoul), was protected by fortress walls whose construction was begun just after King Taejo (r. 1392-1398), the founder of the dynasty, completed the royal palace (Gyeongbokgung) and the royal ancestral shrine (Jongmyo). The construction of the walls and other related defensive facilities was supervised by a special government agency established in 1395, four years after the founder of the Joseon Dynasty acceded to the throne.

Hanyang City Wall had four main gates, Heunginjimun in the east, Donuimun in the west, Sungnyemun in the south and Sukjeongmun in the north, and four auxiliary gates, Honghwamun in the northeast, Gwanghuimun in the southeast, Changuimun in the northwest, and Sodeongmun in the southwest. The East Gate (Heunginjimun) had an extra defensive structure known as a barbican, whereas the North Gate (Sukjeongmun, or Sukcheongmun) lacked a tall gatehouse but had a postern called a “hidden entrance” (Ammun).

In 1422, King Sejong (r. 1418-1450) ordered large-scale repairs of the fortress walls, resulting in the replacement of all the earthen wall sections by stone walls and the renovation of all the offensive and defensive facilities. This was followed by another major renovation project conducted in 1704 at the order of King Sukjong (1674-1720). The renovation work involved the “modern” technique of piling up neatly hewn square stones to give the walls vertical faces. These and other renovations conducted in different periods each left distinctive marks on the walls due to the use of different techniques and stones of different shapes. The fortress suffered severe disruption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an ill-conceived urban plan by the Japanese colonial rulers. Further disruptions followed in the wake of the turmoil caused by the Liberation in 1945 and the Korean War (1950-53).

Today, the original features of the fortress can be seen in the walls remaining in Samcheong-dong and Jangchung-dong, and in certain gatehouses such as Heunginjimun. Hanyang City Wall in Seoul is regarded as a tangible example of the patriotism of the Korean people in the Joseon Period and as a valuable part of Korea’s historic heritage, providing a wealth of information on wall-building techniques and other architectural elements developed in the period.

One of the four auxiliary gates of Hanyang City Wall, Gwanghuimun, was built in 1396, and has been known by other names such as Sugumun (“Water Gate”) and Namsomun (“Small South Gate”). It underwent major renovation work between 1711 and 1719, with its new name plaque hung in that year. The gate lost its pavilion-style structure and part of the battlement on the western wall during the Korean War, but these features were restored in 1976. The current gatehouse was moved slightly south of the original site due to the building of a new road.

This earthen fortification near the Hangang River was built during the early days of Baekje (18 B.C. - 660). The fortress wall was originally 4 km long, but about half of the wall was washed away in a flood in 1925, leaving a section of only 2.7 km. The fortress was built in an oval shape, and there is evidence that there were four gates on the east side. The wall, now covered with weeds, was built by pounding layers of sandy earth. 

Many artifacts were excavated from the site, including items of undecorated plain pottery, Silla-style earthenware, fishnet sinkers, spindle whorls and ceramic tile shards, which suggest that the area was inhabited even before the foundation of Baekje.

Opinions vary on the nature of the fortress, with some scholars believing that it was part of the walled city of Wiryeseong, the capital of Baekje in its earliest stage, and others insisting that it is just an ordinary fortress built for defense purposes. Many specialists consider the site to be related in some way to other Baekje remains in Seoul such as Mongchontoseong Fortress and the Seokchon-dong Tomb Complex.

출처:문화재청

 

 

728x90
반응형

'바롱이의 쪽지 > 서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 서울역사&서울로  (0) 2021.11.15
서울 사직단  (0) 2021.11.13
서울 독립문& 서울 구 서대문형무소  (0) 2021.11.11
서울역사박물관  (0) 2021.11.10
서울 흥인지문&한양도성 순성길 낙산구간  (0) 2021.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