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사직단

2021. 11. 13. 06:32바롱이의 쪽지/서울

반응형

[사적 사직단 (社稷壇)]

종묘와 함께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조선을 세운 태조가 한양에 수도를 정하고, 궁궐과 종묘를 지을 때 함께 만들었다. 토지의 신에게 제사 지내는 국사단은 동쪽에, 곡식의 신에게 제사 지내는 국직단은 서쪽에 배치하였으며, 신좌는 각각 북쪽에 모셨다.

제사는 2월과 8월 그리고 동지와 섣달 그믐에 지냈다. 나라에 큰 일이 있을 때나 가뭄에 비를 기원하는 기우제 그리고 풍년을 비는 기곡제들을 이 곳에서 지냈다.

1902년 사직단과 사직단의 임무를 맡는 사직서가 다른 곳으로 옮겨지고, 일본인들은 우리나라의 사직을 끊고 우리 민족을 업신여기기 위하여 사직단의 격을 낮추고 공원으로 삼았다. 1940년 정식으로 공원이 된 사직공원이 옛 사직단의 자리이다.

[영문 설명]
Along with Jongmyo Shrine, Sajikdan was a place where services for the gods of Earth and Crops were performed.

It was erected when the founder of Joseon made Hanyang the capital and built the palaces. Guksadan was the place where services for the Earth were performed, which was located on the east, and Gukjikdan, the place where services for the Crop gods were performed, on the west. The altar was placed on the north.

Services were performed here in the winter solstice and New Year’s Eve, February, and August. Rituals and prayers for rain to have great harvest and for success in great national affairs were also held here.

In 1902, Japan moved Sajikdan and Office of the National Altar elsewhere and made a park around the altar to degrade the Korean altar tradition. Sajik Park, which became a park in 1940, was the original site of Sajikdan.

출처:문화재청


"사적 사직단"


[보물 사직단 대문 (社稷壇 大門)]

사직단이란 나라와 국민 생활의 편안을 빌고 풍년을 기원하며 제사 지내는 곳으로 사(社)는 땅의 신을, 직(稷)은 곡식의 신을 말한다. 또한 나라에 큰 일이 있을 때나 비가 오지 않아 가뭄이 든 때에 의식을 행하기도 하였다.

이 문은 사직단의 정문으로 태조 3년(1394) 사직단을 지을 때 함께 지었으나 임진왜란 때 불타 버렸다. 그 뒤 숙종 46년(1720) 큰 바람에 기운 것을 다시 세웠다는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으로 미루어 임진왜란 후에 새로 지은 것으로 짐작한다. 지금 있는 자리는 1962년 서울시 도시 계획에 따라 14m 뒤쪽으로 옮긴 것이다.

건물의 규모는 앞면 3칸·옆면 2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는 장식구조는 새부리 모양의 부재를 이용해 기둥 위에서 보를 받치고 있다.

전체적으로 소박한 기법과 튼튼한 짜임새를 갖추고 있어, 사직단 정문의 법식과 넉넉한 느낌을 주는 건축 문화재이다.

[영문 설명]

Sajikdan Altar is an ancient altar for memorial services whose name, ‘Sajikdan,’ means to ‘pray for the comfort and prosperity of the country and its people.’ The syllable 'sa' of Sajikdan refers to the country's deities, while 'jik' refers specifically to agricultural deities.

Ceremonies were held at Sajikdan Altar whenever a major national event occurred as well as in times of drought. The main gate of Sajikdan Altar was built at the time of the altar’s construction in 1394 (the 3rd year of the reign of King Taejo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it was burnt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ccording to Joseon wangjo sillok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structure was rebuilt in 1720 (the 46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ukjong) after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The building was moved to a spot some 14 meters behind its original location in 1962 due to city planning reforms in Seoul.

The gate measures 3 kan (a unit of measurement referring to the distance between two columns) at the front side and 2 kan at the sides. It has a gable roof that resembles a 人 in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decorative structure supporting the eaves was made using a framework resembling a bird’s beak to support the beam on top of the column.

With its simple techniques and strong structure, the main gate of Sajikdan Alter adds a compact feeling to the overall form of the building, and is regarded as an important architectural and cultural asset of Korea.

출처:문화재청

 

728x90
반응형

'바롱이의 쪽지 > 서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손기정기념관  (0) 2021.11.16
구 서울역사&서울로  (0) 2021.11.15
서울 인왕산 선바위&한양도성  (0) 2021.11.12
서울 독립문& 서울 구 서대문형무소  (0) 2021.11.11
서울역사박물관  (0) 2021.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