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 동본리 삼층석탑&동본리 석조여래입상

2022. 1. 18. 05:18바롱이의 쪽지/경상북도

반응형

[보물 예천 동본리 석조여래입상과 보물 예천 동본리 삼층석탑]

예천 동본리 석조여래입상은 통일신라 말에 조성된 석불이다. 대단히 풍만하고 괴량감 넘치는 신체가 돋보인다. 함께 있는 예천 동본리 삼층석탑은 규모는 작으나 각 부의 비례가 짜임새 있다. 상주·문경 지방에서 유행한 단층기단 양식으로 이루어졌다.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예천 한천 전경"


"예천 아리랑 노래비"


하늘이낸 효자 도시복 이야기(무릇 효는 백행의 근본이라 하였다. 예로부터 예천을 충효의 고장이라 하여 많은 열사와 효자를 배출 하였으며 34개의 효열각비가 오늘날 까지 보존되어 있다.

특히, 명심보감 효행편에는 도효자에 대한 관한 내용이 나오는데 도시복은 조선 철종 때 실존인물로 예천군 상리면 용두리 야목마을에 살았다. 배우지는 못하였으나 마음이 어질고 효심이 지극히였다. 부모가 병이 들었을 때엔 혼신을 다하여 병간호 하였고 항상 예를 다하였으니 늦은 시간에 솔개가 집으로 고기를 날라다 주었고 철 아닌 홍시를 구할 수 있도록 호랑이가 밤길을 인도 하였으며, 엄동설한에 잉어를 구하고 수박을 구할 수 있었으니, 고을 사람들은 그의 지극힌 효성에 탄복하였다. 그의 효행 기록이 명심보감 속편에 실릴 만큼 우리나라 효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주차한 차 뒤로 보이는 동본리 삼층석탑과 동본리 석조여래입상(예천읍에는 남북을 가로지르는 내가 있으니 바로 한천(漢川)이다. 한천의 둑방 근처 주택가 한켠에는 건장한 석불입상과 아담한 삼층석탑이 함께 서 있다. 지금은 둑방이 강을 가려 좁은 공간이지만 예전에는 이곳에 강을 바라보며 아름다운 풍광을 누리는 절이 있었을 것이다. 예천에 있었다는 동악사와 서악사 사이의 중악사 자리가 아닐까 하고 생각하는 이도 있다. -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보물 예천 동본리 삼층석탑 (醴泉 東本里 三層石塔) Three-story Stone Pagoda in Dongbon-ri, Yecheon]

탑의 전면에는 한천이 흐르고 있으며, 뒷면에는 흑응산이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탑과 불상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절터였음이 분명하지만, 절 이름은 알 수 없다.

기단부(基壇部)는 윗층 기단 아래가 파묻혀 있어서, 원래 기단이 2층인지 1층이었는지 분명하지 않다. 현재는 윗면에 경사진 돌이 있고, 기단의 가운데돌을 그 위로 얹고 있다. 가운데돌은 4장의 널돌로 짰는데 각 면의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새기고, 그 사이에 사천왕상(四天王像)을 조각해 놓았다. 사천왕은 불법을 수호하는 부처의 네 신을 뜻한다. 탑신(塔身)은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짜고, 각 층 몸돌의 네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새겼다. 지붕돌 밑면의 받침수는 1·2층이 5단, 3층이 4단인데 1층의 몸돌이 2 ·3층보다 두드러지게 큰 점이 독특하다. 지붕돌 추녀의 밑은 반듯한데 마무리부분에서 경쾌하게 치켜올려져 있으며, 빗물을 받는 낙수면의 경사도 완만하다.

머리장식으로는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과 복발(覆鉢: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이 한 돌로 되어 남아있지만, 훗날에 보충한 듯 하다.

규모가 그리 크지는 않지만, 몸돌의 줄어드는 비율과 지붕돌의 크기 등에 짜임새가 있는 아름다운 탑이다. 기단의 가운데돌에 새긴 사천왕상의 조각수법도 형식화되지 않은 멋을 보여준다. 지붕돌 밑면의 받침수가 줄어들고 있는 점이나 각 부분의 아래에 새긴 괴임돌이 간략해진 점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 후기에 건립된 탑으로 짐작할 수 있다.

[영문 설명]

This three-story stone pagoda is located at a geomantically propitious spot, i.e. with the Hancheonggang River flowing in front and the Heugeungsan Mountain rising at the back.

As the pagoda and a stone Buddha statue remain intact at this site, it is thought to have been a temple site, although the name of the temple is unknown. It is unclear whether the stylobate was two-layered or single-layered, as the lower part of the upper layer was found buried underground. At present, the inclined stone is placed on the base on which the middle stone of the stylobate is placed. Made with four stone plates, the middle stone of the stylobate is carved with the Four Guardian Kings, four gods protecting the Buddhist Canon, between the carvings of columns on every corner. The core stones of the main body and the roof stones are each hewn from single blocks of stone; and the four corners of every core stone are engraved with pillar patterns. The roof stones of the first and second stories have five-tiered cornices, while the third story has a four-tiered cornice. Notably, the core stone of the first story is too large compared with those of the second and third stories. The eaves of the gently sloping roof stones are horizontal, but turn swiftly upward at the edges.

Of the upper part of the pagoda, only the finial base and the finial (which resembles an over-turned bowl), made from a single stone, remain, but it looks like it was repaired in a later period.

Although the pagoda isn’t very large, it is nicely balanced and well proportioned, exhibiting a beautiful structure. In addition, the technique used to carve the Four Guardian Kings on the middle stone of the stylobate is natural rather than formal. Given that the number of cornices on the roof stones decreases upwards and the pagoda has a simple style of supporting stone for each part, it is presumed that this three-story stone pagoda was made during the late Unified Silla Period.

출처:문화재청


[보물 예천 동본리 석조여래입상 (醴泉 東本里 石造如來立像 Stone Standing Buddha in Dongbon-ri, Yecheon]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동본동 3층석탑과 함께 전해오는 통일신라 후기의 불상으로 하나의 돌에 새겨진 전체 높이 3.46m의 거대한 석조불상이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정수리 부근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큼직하게 표현되었다. 원만한 얼굴에는 길다란 눈, 짧은 코, 적당한 입이 적절하게 표현되어 부드러운 곡선의 얼굴과 함께 자비롭고 온화한 미소를 실감나게 나타내고 있다. 큰 얼굴에 비하여 작아진 상체는 굵고 짧은 목과 좁은 어깨, 짧은 팔 등이 평판적인 가슴과 함께 움츠린 듯하여 다소 위축된 느낌을 준다. 오른팔은 옆으로 내려 몸에 붙인 채 옷자락을 살짝 잡고 있으며, 왼손은 앞으로 들어 새끼 손가락을 제외한 손가락을 안으로 굽히고 있다. 양 어깨를 감싸고 입은 옷은 허벅지에서 Y자형으로 갈라지고 양 다리에서는 타원형의 주름을 만들면서 흐른다. 둔중하고 도식화된 이러한 형태의 옷주름 표현은 8세기 이후의 불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모습으로 불상이 만들어진 연대를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양 다리에서 있는 긴 타원형의 옷주름, 부피감 없는 둔중한 신체, 그러면서도 아직 경직화되지는 않은 얼굴 모습 등을 고려할 때 통일신라 불상양식을 계승하면서 고려시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적인 작품으로 보인다.

[영문 설명]

This 3.46-meter-high three-story Stone Pagoda dating from the late Unified Silla Period is located in Dongbon-dong of Yecheon, Gyeongsangbuk-do, along with a three-story stone pagoda (Treasure No. 426). 

The Buddha’s hair is expressed in the small curly nabal style (i.e. twirled up and around in a seashell-shaped fashion), and a large usnisa (a protuberance symbolizing supreme wisdom) can be seen on top of his head. The smooth-looking face has wide eyes, a short nose, and a wide mouth that are carved in gentle lines, conveying the merciful and mild smile of the Buddha well. The body is small compared to the large face, and the short thick neck, narrow shoulders, short arms and flat chest are less manly looking than other statues. His right arm hangs down close to the body, while his right hand holds the clothes slightly. His left hand is raised, with all the fingers except the little finger flexed inwardly. The beobui (sacerdotal robes) covering both shoulders flows in two directions (Y-shaped) around his thighs, creating oval-shaped folds around both legs. The dull and schematic expression of the folds is typical of Buddha statues of the 8th century, thus giving a fairly clear idea of the statue’s production date. 

Judging from the long oval folds around the legs, the dull body lacking in volume, and smooth-looking face, this Buddha statue follows the style of Buddha statues made during the eighth century in the Unified Silla Period, although it also exhibits elements originating from the period of transition to the Goryeo Dynasty.

출처:문화재청

728x90
반응형

'바롱이의 쪽지 > 경상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천 맛고을 문화의 거리  (0) 2022.01.20
예천 읍사무소&용궁면  (0) 2022.01.19
예천 삼강주막  (0) 2022.01.17
예천 금당실 전통마을과 송림  (0) 2022.01.15
예천 소백산 용문사  (0) 2022.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