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 23. 11:42ㆍ바롱이의 쪽지/경기도
[여주 영월루&영월공원]
영월루에서는 남한강 푸른 물줄기와 멀리 양섬과 강 건너 신륵사의 아름다운 전경을 한 눈에 내려다 볼 수 있다. 누각 아래 기암절벽 바위에는 ‘마암(馬巖)’ 이란 글자가 선명하게 새겨져 있다.
* 마암 : 신라 경덕왕때 마암바위 아래 강물에서 황룡마와 여룡마(검은용마)가 나타나 당시 고을 이름을 황려현으로 고쳤다고 전한다.
출처:여주시청
[보물 여주 하리 삼층석탑 (驪州 下里 三層石塔) Three-story Stone Pagoda in Ha-ri, Yeoju]
원래는 하리지역의 옛 절터에 있던 것을 1958년 창리의 3층석탑과 함께 현재의 터로 옮긴 것으로, 1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얹은 모습이다.
기단은 4면의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본떠 새기고, 그 윗돌 중앙에 1층 몸돌을 괴기 위한 2단의 테두리 조각을 둘렀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로 이루어져 있으며, 몸돌의 각 면 모서리마다 얕은 기둥 형태의 조각이 나타나 있다. 지붕돌 밑면의 받침은 4단으로, 처마는 수평을 이루다가 양쪽 귀에서 위로 약하게 솟아있다. 전체적으로 돌을 짜서 올리는 수법의 규칙성을 보이고 온화한 비율감이 느껴져 고려 전기보다는 중기에 세워졌을 것으로 보인다.
탑을 옮겨 세울 당시, 1층 몸돌에서 독특한 모습의 사리홈이 발견되어 흥미를 끌고 있다. 즉, 몸돌 윗면의 중앙에 높이 3㎝의 얇은 띠가 둘러져 있고 그 안으로 2개의 구멍이 파여있는데, 이와 닿게 되는 지붕돌의 밑면에도 이를 배려한 듯 홈이 깊게 파여져 있다. 이는 몸돌의 윗면에만 깊은 홈을 두어 사리를 담아두는 일반적인 모습이 아니라 그 정반대의 형태를 하고 있어 특이하다.
[영문 설명]
This three-story stone pagoda was moved from the former site of a temple in the Ha-ri district of Yeoju to its current location in 1958 along with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Chang-ri.
The pagoda consists of a single- layer stylobate and a three-story body. The stylobate is engraved with pillars in each corner and the middle of the top stone is carved with two-tier border patterns to support the core stone of the first story. Each core stone and roof stone is made out of a separate piece of stone, each corner of which is carved with pillar patterns. The roof stone has a four-tier cornice. The horizontal eaves curve slightly upward on each edge. Overall, the methodical piling technique and the sense of proportion indicate that it was erected in the mid-Goryeo rather than the early Goryeo period.
A unique type of sarira niche was found in the first story of the pagoda during its relocation, i.e. the middle of the upper part of the body is engraved with a 3cm-high band in which two holes are carved. Moreover, the contacting part of the roof stone also has deep grooves. In most pagodas, only the upper part of the body is carved with big holes to contain sarira. However, this pagoda has more holes for sarira than is customary.
출처:문화재청
[보물 여주 창리 삼층석탑 (驪州 倉里 三層石塔) Three-story Stone Pagoda in Chang-ri, Yeoju]
원래 창리지역 과수원 안의 옛 절터에 있던 것을 1958년 현재의 터로 옮긴 것이다.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일반적인 형태이나 그 느낌이 독특하다.
아래기단의 4면에는 안상(眼象)이 2개씩 새겨져 있는데, 움푹한 무늬의 바닥선이 꽃모양처럼 솟아올라 있어 당시의 조각기법이 잘 드러나 있다. 기단을 마감하는 맨윗돌에는 엎드린 연꽃 모양의 조각을 둘러 놓았는데, 보기 드문 모습이다. 탑신은 독특한 수법으로 돌을 올려놓고 있다. 즉 1층의 몸돌만 하나의 돌을 사용하였고, 이후 지붕돌부터는 윗층의 몸돌과 하나로 이루어져 있어, 마치 모자 형태의 돌 3개를 얹어놓은 듯하다. 지붕돌 밑면의 받침은 3단이며, 추녀는 매우 두껍고 귀퉁이 끝의 들림도 희미하다.
각 부분의 재료가 두툼하여 전체적으로 높아 보이며, 아래기단의 안상이나 3단의 지붕돌 밑면받침 등에서 고려시대의 모습이 잘 나타나 있다. 조각수법도 엉성하고 몸돌과 지붕돌을 각 하나의 돌로 쌓는 등 간략한 모습들도 여기저기 보이고 있어 고려 중기 이후에 세워진 것으로 여겨진다.
[영문 설명]
This pagoda consisting of a two-layered stylobate and a three-story body was moved from the site of an ancient temple within the Chang-ri district orchard to its current location in 1958.
The symbolic images of the elephant’s eyes are carved on the lower layer of the stylobate, while the cover stone is etched with a down-turned lotus flower design. A unique technique was used to construct the three stories of the main body. The core stone of the first story is hewn from a single stone, whereas the first story’s roof stone and the second story’s core stone are carved from a single stone, as are the second story’s roof stone and the third story’s core stone. The thick eaves curve slightly upward, and the roof stone has a three-tier cornice. As most of the stones used for each part of the pagoda are thick, the overall structure is high.
The symbolic images of the elephant’s eyes on the lower layer of the stylobate and the three-tier cornice of roof stones are typical features of Goryeo pagodas. Judging from the poor workmanship and its simple shape, including the roof and body made from a single piece of stone, the pagoda was erected in the mid-Goryeo Period.
출처:문화재청
[경기도 문화재자료 영월루 (迎月樓) Yeongwollu Pavilion]
‘영월루’는 경기도 여주 외곽인 남한강 주변에 있는 이층 누각(樓閣; 사방 바라볼 수 있도록 지은 건물)이다. 영월루 바로 아래에는 커다란 바위 절벽이 있는데, 바위에는 ‘마암(馬巖)’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이는 이 바위에서 여주의 지명이 유래 되는 ‘황마(黃馬)’와 ‘여마(驪馬)’가 솟아났다고 하여 마암으로 불렸다고 한다. 또한 이곳은 예로부터 당대의 시인과 묵객(墨客 ; 먹을 가지고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사람)들이 찾아와 시와 풍류를 즐겼던 명소였다고 한다. 영월루의 건축 시기는 정확하지 않다. 건물구조로 볼 때 18세기 말의 것으로 추정되는 이 건물은 낮은 기단(基壇; 집터를 잡고, 터를 반듯하게 다듬은 다음에 터보다 한층 높게 쌓은 단)과 좌우로 기다란 몸체와 치켜 들려진 지붕의 비례가 적절히 조화를 이루고 있다. 앞면 4칸, 옆면 2칸 규모의 2층 누각으로, 겹처마의 ‘八(여덟 팔)’자 모양인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영문 설명]
Yeongwollu Pavilion is a two-story nugak (building constructed to be viewed from all sides) built near the Namhangang River on the outskirts of Yeoju in Gyeonggi-do. Right below Yeongwollu Pavilion is a large rock cliff with the letters “maam” (“horse rock”) etched into the side. According to legend, a “hwangma” (“yellow horse”) and “yeoma” (“black horse”) came out of this rock and contributed to naming the city “Yeoju,” which is why this rock is called “maam.” Years ago, many poets, calligraphers, and painters gathered at the pavilion to enjoy poetry and appreciate the arts. It is unclear exactly when Yeongwollu Pavilion was constructed, but based on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it is estimated to have been built sometime in the late 18th century. The building has a great sense of balance with its low stylobate, long body that extends to the left and right, and its elevated roof. The two-story pavilion is 4 kan to the front, 2 kan to the side, and topped with a octagonal, gabled roof with double eaves.
출처:문화재청
"영월루에서 바라본 여강(남한강) 전경"
마암(마암은 여주팔경 중 제2경으로 이 바위에서 여주 지명의 유래가 돠는 황마와 여마가 솟아났다 하여 먀암이라 부르게 되었으며, 이 고장의 지명도 황려라 불렀다고 한다. 즉, 여주의 지명은 골내근현-황효-황려-여흥-여주로 변천 되었는데, 황려 지명은 이 마암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고장 출신 대문호 이규보의 한시중에 "두마리 말이 기이하게 물가에서 나왔다 하여, 이 때문에 고을 이름이 황려라네"라고 읊은 내용이 있어 그 역사성이 매우 높은 유적이다. 또한 여주의 대표적 성씨인 여흥민씨의 시조가 탄생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는 우리시를 대표하는 자연경관 유적이다. 또한 이규보,이색,서거정.최숙점,김상헌,정약용,김창협 등 당대의 시인묵객들이 마암에 찾아와 시와 품류를 즐기던 명소였다. 현재 평평한 바위면에 馬巖 이라 큰 글씨가 새겨져 있으며, 위쪽에 여주목사를 역임한 이인응과 좌측에 경오 시월 일각이 그리고 우측에 여주군수를 자낸 신현태라 새겨진 글씨가 있다.)
"남한강, 마암 전경"
'바롱이의 쪽지 > 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주 봉미산 신륵사 (0) | 2022.01.25 |
---|---|
사적 여주 고달사지 (0) | 2022.01.24 |
한국 천주교회 최초 성모 순례지, 화성 남양성모성지 (0) | 2021.12.28 |
안산 화정천과 조각상 (0) | 2021.06.02 |
안산 고잔역과 개양귀비꽃 (0) | 2021.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