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적 여주 고달사지

2022. 1. 24. 06:10바롱이의 쪽지/경기도

반응형

[사적 여주 고달사지 (驪州 高達寺址) Godalsa Temple Site, Yeoju]

고달사는 신라 경덕왕 23년(764)에 처음 세워진 후, 고려 광종 이후 역대 왕들의 보호를 받아 큰 절로 성장하였다. 고달사에는 석조 문화재들이 많이 남아 있는데, 모두 고달이라는 석공이 만들었다고 전한다. 고달은 가족들이 굶어 죽는 줄도 모르고 절을 이루는 데에 혼을 바쳤다고 하는데, 절을 다 이루고 나서는 스스로 머리를 깎고 스님이 되었으며, 훗날 도를 이루어 큰스님이 되니, 고달사라 불렀다는 전설이 있다.

절터 안에는 깔끔한 모양과 세련된 조각수법의 고달사지부도(국보)를 비롯하여 훌륭한 문화재들이 많이 남아 있다. 고달사 원종대사혜진탑비 귀부와 이수(보물)는 원종대사의 행적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탑비로 975년에 만들었는데,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시대 초기로 넘어가는 탑비형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고달사 원종대사혜진탑(보물)은 원종대사의 묘탑으로 아름답고 화려한 조각이 있어 고려시대 부도의 조각 수법이 잘 나타나 있다. 그 밖에 고달사지석불좌(보물 제8호)와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긴 고달사지쌍사자석등(보물)이 있다.

최근에 발굴조사를 통해 금당터를 비롯한 건물터를 확인하고, 절터의 규모를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게 되었다.

[영문 설명]

As a historic Buddhist temple site, Godalsa Temple was built in 764, the 23rd year of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of the Silla Dynasty. Godalsa Temple had been a very prosperous and large Buddhist temple under the protection of many kings succeeding King Gwangjong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re is no record as to when and why it was closed, however. 

Quite a few cultural properties have been found at the site. Among them, the Stupa at the Godalsa Temple Site (National Treasure No. 4), a round stone Buddhist pagoda where the bones of a renowned Buddhist monk were placed, boasts of refined shape and engraving. The tortoise-shaped pedestal and ornamental capstone of the Stele for Buddhist Monk Wonjong, a stone monument built to honor highly learned Buddhist Monk Wonjong, were found at the Godalsa Temple Site (Treasure No. 6). It was erected in 975, clearly showing the stylistic change of the Buddhist pagodas and monuments from the late Silla Dynasty to the early Goryeo Dynasty. The Stupa of Buddhist Monk Wonjong at the Godalsa Temple Site (Treasure No.7) shows the engraving skills of stupa in the Goryeo Period with its refined shape. The Stone Pedestal at the Godalsa Temple Site (Treasure No. 8) and Twin Lion Stone Lantern from the Godalsa Temple Site (Treasure No. 282) were also found at the site. The stone lantern was later moved to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출처:문화재청


"보호수 수령 400년 고달사지 느티나무"


[경기도 유형문화재 여주 고달사지 석조 Stone Basin of Godalsa Temple Site, Yeoju]

석조(石槽)란 돌의 외부를 장방형으로 다듬고, 내부를 완만한 곡선으로 파서 물을 담을 수 있도록 만든 거대한 돌그릇이다. 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했으므로 승려들이 거주했던 사찰에서는 필수적인 생활용품이었다. 고달사지 석조는 보원사지 석조와 비슷한 시기인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여주 고달사’는 고려 시대에 왕실의 후원 속에 번창했던 대표적인 선종사원이다. 764년(경덕왕 23)에 창건되었다고 전해지는데 절터의 금당지에서는 통일 신라 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기단이 확인되었다. 이곳에서는 금당지의 고달사지 석조대좌와 함께 고달사지 부도, 고달사 원종대사혜진탑, 탑비의 귀부와 이수 등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석조 유물이 남아 있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여주 고달사지 쌍사자 석등 역시 여주 고달사지의 대표적인 석조유물이다. 

고달사지 석조는 화강암 통돌을 장방형으로 다듬고 내부를 완만한 곡선으로 파내어 만든 것으로 중앙부 바닥 한쪽에 마련된 원형 구멍은 물을 뺄 때 사용했던 배수공으로 추정된다. 고달사지 석조는 표면을 매끄럽게 잘 다듬었으며, 각 모서리의 모를 죽이면서 세로줄의 홈을 내서 장식했는데, 석조에 장식을 가한 보기 드문 예에 속한다. 왕실의 후원을 받던 고달사의 위상을 잘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이다.

[영문 설명]

A seokjo (stone basin) is a large stone bowl that was made by cutting the exterior of a stone into a rectangular shape and digging out its interior into a gentle slope to create a vessel that could hold water. Since seokjos were used to store water, they were an essential item used daily at the temples, where the monks resided. The Stone Basin of Godalsa Temple Site is estimated to have been produced during the Goryeo Period, during the same general timeframe as the Stone Basin of the Bowonsa Temple Site. Godalsa Temple in Yeoju is said to have been established in 764 (the 23rd year of King Gyeongdeok’s reign) and was a leading Zen Buddhist temple that prospered during the Goryeo Dynasty, thanks to the support of the royal family. The stylobate at the temple is estimated to be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was discovered in what used to be the main hall of the temple. Along with the Stone Pedestal at the Godalsa Temple Site, excavated from the main hall of the temple site, many other stone artifacts from the Goryeo Period were also discovered at the site, including the Stupa of the Godalsa Temple Site, the Stupa of Buddhist Monk Wonjong of the Gosalda Temple Site, and a turtle base and dragon cap that were part of a stele’s body stone. The Twin Lion Stone Lantern of the Godalsa Temple Site in Yeoju, house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s another representative stone artifact that was unearthed at the Godalsa Temple Site in Yeoju.  

The Stone Basin of the Godalsa Temple Site was made by cutting a large slab of granite into a rectangular shape and digging out its interior to form a gentle slope. The round hole at the bottom center of the basin is believed to be a drip hole that was used to drain water. The surface of the Stone Basin of the Godalsa Temple Site is smoothly polished and each corner is rounded and decorated with a vertical groove. This particular basin is a rare example of a stone basin with an added decoration. The stone basin is an important work that demonstrates the high status of Godalsa Temple as a temple that received support from the royal family.

출처:문화재청


보물 여주 고달사지 쌍사자 석등 자리(현재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석조물공원에 옮겨져 있다.)


[보물 여주 고달사지 쌍사자 석등 (驪州 高達寺址 雙獅子 石燈)Twin Lion Stone Lantern from Godalsa Temple Site, Yeoju]

고달사터에 쓰러져 있었던 것을 1959년 경복궁으로 옮겨 왔으며,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 높이는 2.43m이며 불을 밝히는 화사석(火舍石)까지만 남아있었으나, 2000년에 경기도 기전매장문화연구원이 실시한 발굴조사에서 지붕돌이 출토되었다.

직사각형의 바닥돌 4면에 둥글넓적한 모양의 안상(眼象)을 새기고, 아래받침돌 대신 2마리의 사자를 앉혀 놓았다. 사자는 좌우에서 앞발을 내밀고 웅크리고 있으며, 등 위로 구름이 솟아올라있다. 가운데받침돌에는 구름무늬를 돋을새김하였고, 윗받침돌에는 연꽃을 새겼다. 그 위에 놓인 화사석은 4면에 창을 뚫었다.

우리나라 쌍사자석등의 사자는 서있는 자세가 대부분인데, 이 석등은 웅크리고 앉은 모습이 특징적이며, 조각수법 등으로 보아 고려 전기인 10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된다.

[영문 설명]

Found lying on the ground at the Godalsa Temple site, this stone lantern was moved to Gyeongbokgung Palace in 1959. This 2.43m high pagoda only had the light chamber intact with its capstone and other parts missing at the time of discovery. 

Symbolic images of the elephant’s eyes are engraved on the side of square bottom stones, and two lion statues are placed on the base stone. Both lions are crouching with their paws out, with clouds on their back as if to support the upper stone. Cloud patterns are engraved in the middle of the base stone, and lotus patterns are engraved on the upper stone. The light chamber above them has four windows to all four sides. 

What sets these twin lion statues apart from others is that they’re crouching, while most of twin lion statues found in Korea are standing on their four legs. Judged from its carving style and technique, it was built in the 10th century during the early Goryeo Dynasty.

출처:문화재청


[보물 여주 고달사지 석조대좌 (驪州 高達寺址 石造臺座)Stone Pedestal at Godalsa Temple Site, Yeoju]

고달사는 신라 경덕왕 23년(764)에 창건되었으나, 누구에 의해 창건되었는지 확실히 알 수 없다. 이 석불대좌는 불상(佛像)은 없어진 채 대좌만 제 자리를 지키고 있는데, 보존상태가 거의 완벽하다.

받침돌은 위·중간·아래의 3단으로, 각기 다른 돌을 다듬어 구성하였는데, 윗면은 불상이 놓여져 있던 곳으로 잘 다듬어져 있다. 아래받침돌과 윗받침돌에는 연꽃잎을 서로 대칭되게 돌려 새겼다. 이 대좌가 사각형으로 거대한 규모이면서도 유연한 느낌을 주는 것은 율동적이면서 팽창감이 느껴지는 연꽃잎의 묘사 때문이다. 이와 같은 연꽃잎의 표현 수법은 여주 고달사지 승탑(국보) 아래받침돌과 매우 비슷하며, 가운데 꽃잎을 중심으로 좌우로 퍼져나가는 모양으로 배열하는 방법은 고려시대의 양식상 공통된 특징이다.

조각솜씨가 훌륭한 사각형 대좌의 걸작으로, 절터에 있는 여주 고달사지 승탑이 고려 전기의 일반적인 양식을 따르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 대좌도 10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영문 설명]

This stone pedestal was discovered at Godalsa Temple, Yeoju, which was built in 764 (the 23rd year of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of the Silla Dynasty) by persons whose identity remains unknown. This pedestal for a granite Buddha has been preserved in almost perfect condition, although the stone statue of Buddha has been lost.  

The foundation of the pedestal consists of three parts, i.e., upper, middle, and lower stones, each of which is made of polished stone. The Buddha statue would have been placed on the upper stone, which is especially well polished, and a carving of 24 double-folded lotus flowers runs along both the upper and lower stones.  

Despite being a huge square of stone, the pedestal creates a soft impression due to the rhythmical beauty and sense of animation generated by the engraved lotus flowers. This type of carving technique is similar to that seen on the lower base of the Stupa at Godalsa Temple Site (National Treasure No. 4). The arrangement of lotus flowers around a central flower was a common motif of the Goryeo Dynasty.  

The pedestal, which is considered a masterpiece due to the excellence of the carving, is thought to date back to the late 10th century (early Goryeo Dynasty) because the stupa found at the same site follows the traditional construction method of the early Goryeo Dynasty.

출처:문화재청


[보물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驪州 高達寺址 元宗大師塔碑) Stele for Buddhist Monk Wonjong at Godalsa Temple Site, Yeoju]

고달사터에 세워져 있는 비로, 원종대사를 기리기 위한 것이다. 원종대사는 신라 경문왕 9년(869)에 태어나, 고려 광종 9년(958)에 90세로 입적하였다. 광종은 신하를 보내어 그의 시호를 ‘원종’이라 하고, 탑이름을 ‘혜진’이라 내리었다.

비는 일찍이 무너져 비신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져 있으며, 이곳 절터에는 귀부와 이수만이 남아 있다. 비문에는 원종대사의 가문·출생·행적 그리고 고승으로서의 학덕 및 교화·입적 등에 관한 내용이 실려 있다 한다.

받침돌의 거북머리는 눈을 부릅떠 정면을 바라보고 있는데, 눈꼬리가 길게 치켜올라가 매우 험상궂은 모습이다. 다리는 마치 땅을 밀치고 나가려는 듯 격동적이고, 발톱의 사실적 표현은 땅을 꼭 누르고 있는 듯하다. 목은 길지 않아 머리가 등에 바짝 붙어 있는 듯 하다. 등에는 2중의 6각형 벌집 모양이 정연하게 조각되었으며, 중앙부로 가면서 한 단 높게 소용돌이치는 구름을 첨가하여, 비를 끼워두는 비좌(碑座)를 돌출시켜 놓았다.

머릿돌은 모습이 직사각형에 가깝고, 입체감을 강조한 구름과 용무늬에서는 생동감이 넘친다. 밑면에는 연꽃을 두르고 1단의 층급을 두었다.

이 거북받침돌과 머릿돌은 탑비에 기록된 비문에 의해 975년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거북의 머리가 험상궂은 용의 머리에 가깝고, 목이 짧고 앞을 똑바로 바라보고 있는 점, 비머리의 표현이 격동적이며, 특히 소용돌이치는 구름무늬의 번잡한 장식 등은 통일신라 후기에서 고려 전기로 진전되는 탑비형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영문 설명]

This stele was erected at the site of Godalsa Temple to commemorate the life and achievements of the Buddhist monk Wonjong, who was born in 869 (the 9th year of the reign of King Gyeongmun of the Silla Dynasty) and died at the age of 90 in 958 (the 9th year of the reign of King Gwangjong of the Goryeo Dynasty). King Gwangjong bestowed the posthumous title of Wonjong upon him and named the monument ‘Hyejin’. 

The actual stele was destroyed a long time ago, and only the tortoise-shaped pedestal and the ornamental capstone in the form of a hornless dragon remain today. The stele’s broken main stone is display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ts inscription includes details about Wonjong's birth, life, achievements, learning and virtues as a monk.  

The tortoise pedestal is characterized by glaring eyes that seem to stare directly at the viewer, vividly expressed legs and paws, and a very short neck. The back of the tortoise pedestal is carved with double hexagonal honeycomb patterns, while its middle part, which is one tier higher than the pedestal and is the part to which the main body of the stele is fixed, is adorned with swirling cloud patterns. 

The ornamental capstone, which features a lively design of clouds and dragons, is almost rectangular; while its base is decorated with a lotus flower design. 

According to the inscription, the tortoise-shaped pedestal and the ornamental capstone were made in 975. Judging from certain details such as the tortoise's face’s resemblance to a grim dragon, its short neck, glaring eyes, and ornamental stone, and especially the vivid and complex decoration with swirling cloud design, this stele dates from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the artistic style of the late Unified Silla Dynasty to that of the early Goryeo Dynasty.


고달사지 귀부(원종대사 부도비의 귀부와 비견해볼 수 있는, 대조적인 귀부 한 기가 북쪽으로 10m쯤 떨어진 곳에 놓여 있다. 원종대사 부도비의 귀부가 힘을 과시하는 거대한 거북이라면, 이 이름 모를 귀부는 민물에 노는 아기 자라와 같다고나 할까. 귀엽고 얌전하게 느껴지는 건 몸체가 우선 작기도 하려니와 조각이 부드럽고 유연성이 있기 때문이다. 바닥돌까지 통돌인 귀부는 비신도 이수도 어디로 가버리고, 거북의 머리마저 깨져 달아난 채 옴츠린 몸만 남아 있는데, 그냥 스쳐 지나기엔 아까운 볼 거리이다. -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남불자님이 손으로 산을 가리키시며 산에 올라가서 봐야 한다며 말씀하신다.


[국보 여주 고달사지 승탑 (驪州 高達寺址 僧塔)Stupa at Godalsa Temple Site, Yeoju]

고달사터에 남아 있는 고려시대의 승탑이다. 고달사는 통일신라시대 경덕왕 23년(764)에 창건된 절로, 고려 광종 이후에는 왕들의 보호를 받아 큰 사찰로서의 면모를 유지하기도 하였으나, 언제 문을 닫게 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이 승탑은 바닥의 형태가 8각을 이루고 있으며, 꼭대기의 머리장식이 완전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면 대부분 잘 남아 있다. 전체의 무게를 지탱하고 있는 기단(基壇)은 상·중·하 세 부분으로 갖추어져 있는데, 특히 가운데돌에 새겨진 조각들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다. 가운데 돌은 8각이라기보다는 거의 원을 이루고 있으며, 표면에 새겨진 두 마리의 거북은 입체적으로 표현되어 사실감이 느껴진다. 각 거북을 사이에 두고 네 마리의 용을 새겨 두었으며, 나머지 공간에는 구름무늬로 가득 채웠다. 돌에 꽉 차게 새겨진 무늬들이 과장되지 않고 세련되어 능숙하면서도 대담한 힘이 느껴진다. 가운데 돌을 중심으로 그 아래와 윗돌에는 연꽃무늬를 두어 우아함을 살리고 있다.

사리를 모셔둔 탑몸돌에는 문짝 모양과 사천왕상(四天王像)이 새겨져 있는데, 문에 새겨진 자물쇠 모양의 조각은 밋밋하여 형식적으로 흐른 감이 있다. 이를 덮고 있는 지붕돌은 꽤 두꺼운 편으로, 각 모서리를 따라 아래로 미끄러지면 그 끝마다 큼직한 꽃 조각이 달려 있는데, 크기에 비해 조각이 얕아서 장식 효과는 떨어진다. 지붕돌 꼭대기에는 둥그런 돌 위로 지붕을 축소한 듯한 보개(寶蓋)가 얹혀 있다.

전체적으로 신라의 기본형을 잘 따르면서도 각 부분의 조각들에서 고려 특유의 기법을 풍기고 있어 고려시대 전기인 10세기 즈음에 세워졌을 것으로 보인다. 돌을 다듬은 솜씨도 깨끗하고 조각에서도 세련미가 묻어나오는 작품이다. 

[영문 설명]

This stupa of the Goryeo Period (918~1392) had originally been located at the precincts of Godalsa, a Buddhist temple established in 764 when Unified Silla was under the rule of King Gyeongdeok. The temple enjoyed great prosperity during the early Goryeo since it was protected by its rulers after King Gwangjong (925-975), eventually disappearing although no record remains to inform us when.  
The stupa, marked by an octagonal base, has preserved its original condition comparatively well although the finial lacks perfection. The base consists of three tiers whose middle tier is adorned with an impressive array of elaborate carvings. It is more circular than octagonal, with the surface carved with two tortoises and four dragons surrounded by auspicious clouds all expressed in a realistic manner. All the carvings of the middle tier exhibit fine artistic skills and overflowing energy, whereas those around the upper and lower tiers feature elegant lotus designs.
The main body of the stupa where the Artifact of an eminent monk are enshrined is carved with the Four Heavenly Kings and a pair of doors closed with a padlock. The carving of the doors is rather plain and much stylized, whereas the roofstone is significantly thick with large -- but coarsely carved -- floral decorations on each corner. Above the roofstone is a bejeweled canopy (bogae) in the shape of a roof supported by a spherical stone.
The style of this stone stupa i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unique carving techniques developed by Goryeo artisans probably during the 10th century, with its basic elements clearly reflecting the principles form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carving techniques and the artistic details of the carved decorations clearly show that it is a work produced by one or more master artisans of Goryeo.

출처:문화재청


"여주 고달사지 승탑&먹거리"

 

여주 고달사지 승탑&먹거리

[사적 제382호 여주 고달사지] 고달사는 신라 경덕왕 23년(764)에 처음 세워진 후, 고려 광종 이후 역대 왕들의 보호를 받아 큰 절로 성장하였다. 고달사에는 석조 문화재들이 많이

barongl.tistory.com


[보물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 (驪州 高達寺址 元宗大師塔)Stupa of Buddhist Monk Wonjong at Godalsa Temple Site, Yeoju]

넓은 절터 안에 많은 석조 유물들이 흩어져 있는 가운데 탑비와 함께 거의 완전한 형태로 보존되고 있다. 이 탑은 3단으로 이루어진 기단(基壇) 위에 탑신(塔身)과 지붕돌을 올린 형태로, 전체적으로 8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기단부에서 특이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기단부는 네모난 바닥돌에 연꽃잎을 돌려 새겼다. 아래받침돌은 네모난 형태이며, 가운데받침돌 윗부분부터 8각의 평면이 보인다. 즉 윗부분에 1줄로 8각의 띠를 두르고, 밑은 아래·위로 피어오르는 구름무늬를 조각하였다. 그 사이에는 거북이가 몸을 앞으로 두고, 머리는 오른쪽을 향했으며 이를 중심으로 돌아가면서 4마리의 용이 구름 속에서 날고 있다. 윗받침돌에는 연꽃이 새겨져 있다.

탑신은 4면에는 문(門)모양이, 다른 4면에는 사천왕입상(四天王立像)이 새겨져 있다. 지붕은 처마가 수평이나 귀퉁이 부분에서 위로 향하였고 꽃장식이 달려 있다. 꼭대기에는 지붕돌을 축소해 놓은 듯 한 머리장식이 올려져 있다.

이 탑은 8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하면서 아래받침돌을 네모반듯하게 짰음은 시대적인 특색이라 하겠다. 가운데받침돌의 조각은 가장 두드러지게 고려시대의 수법을 나타내었고, 각 부의 조화도 우아하고 화려하다. 기단부가 약간 비대한 듯 하지만 좋은 비례를 보여준다.

이 탑의 주인공인 원종대사는 통일신라 경문왕 9년(869)에 태어나 고려 광종 9년(958)에 입적한 고승이다. 건립연대는 원종대사탑비의 비문에 의하여 고려 경종 2년(977)으로 추정되고 있다.

[영문 설명]

This Buddhist stupa has been preserved in almost perfect condition together with a monument and many stone relics scattered within the precincts of this huge temple site. It consists of the body of the Buddha placed on top of a stylobate and overlaid with roof stones. While following the octagonal form typical of most stupas, its uniquely-structured stylobate features a lotus flower design engraved on the square ground stones. 

The bottom supporting stones are square, while the middle and upper supporting stones are octagonal. In other words, the upper part has octagonal bands arranged in one line. The lower part features a design of clouds, between which are placed several turtles looking to the right, and four dragons flying around the turtles. The top supporting stones are engraved with lotus flowers.

Four sides of the body are engraved with gates while the other four are carved with a Four Guardian Kings design. The eaves of the roof are horizontal and rise upward at the corners, and contain a flower design. It is topped with a capstone that resembles a roof-stone.  

The general appearance of the stupa is octagonal. However, the fact that the bottom supporting stones have been pieced together in straight, rectangular forms is a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period. The engravings on the middle supporting stones show very prominently the technical skills of the Goryeo Period, with each part forming a splendid harmony with the whole. Although the stylobate is a little portly, it is well proportioned.  

The subject of this pagoda, Buddhist Monk Wonjong, was born in 869 (the 9th year of the reign of King Gyeongmun of Silla) and entered nirvana in the 958 (the 9th year of the reign of King Gwangjong of Goryeo). The year of its establishment is conjectured to be 977 (the 2nd year of the reign of King Gyeongjong of Goryeo) according to the Stele for Buddhist Monk Wonjong at Godalsa Temple Site.

출처:문화재청


"보물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


원종대사탑 사천왕상(부도 몸돌에 새겨진 사천왕상 중 하나이다. 조각이 도드라지면서도 차분하게 정제되어 있다. -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