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나주박물관& 사적 나주 반남 고분군

2022. 2. 24. 06:16바롱이의 쪽지/전라남도

반응형

[국립나주박물관]

국립나주박물관은 영산강 유역에 남아있는 고고자료를 보존하고 전시하며 호남지역 발굴매장 문화재에 대한 수장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국립박물관으로서는 처음으로 도심이 아닌 전원속에 자리잡은 나주박물관은 바쁜 현대인들에게 느림을 통해 휴식의 시간을 제공하는 역사공원의 기능도 수행한다.

국립나주박물관은 첨단 기술을 문화영역에 접목한 새로운 개념의 열린 문화공간이다. 국내 박물관 최초로 스마트폰의 NFC기술(접촉식 무선통신)을 이용한 전시안내 시스템을 전시실 전관에 도입하여, 관람객이 스마트폰으로 전시내용을 안내받고 이를 다시 SNS상에서 서로 주고 받는 실시간 쌍방향 소통이 가능하도록 설비되어 있다.

또한 6곳의 수장고 가운데 2곳의 수장고에 대형 관람창을 설치하여 관람객들이 수장고 내부를 직접 볼 수 있는 개방형 수장고를 운영하며 체험전시 공간을 확대하고, 박물관 옥상정원을 개방하여 박물관의 여러 공간을 보다 생생하게 체험하고 느낄 수 있게 만들었다.

출처:나주시청


[보물 나주 서성문 안 석등 (羅州 西城門 안 石燈) Stone Lantern Inside the West Gate, Naju]

이 석등은 본래 전라남도 나주읍 서문안에 있던 것을 1929년 경복궁으로 옮겨놓았다가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건되어 보관되어 왔다. 2017년 해체, 보존처리를 거쳐 현재 국립나주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석등은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는 3단을 이루는 받침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었다.

네모난 모양의 널찍한 바닥돌 위에 세워져 있으며, 아래받침돌은 8각이고 연꽃문양이 새겨져 있다. 기둥모양의 중간받침은 8면으로 각 면마다 테를 둘러 공간을 만들고 그 중심 안에 한 줄씩의 문장을 새겼다. 윗받침돌은 8각면에 돌아가며 연꽃무늬를 조각했고, 화사석은 새로 만들어 놓은 것으로 창이 4개다. 지붕돌은 매우 장식적으로 8개 면마다 처마 끝에 짧은 막을 드리운 것처럼 세로줄무늬가 있고, 그 위로 막 피어오르는 형상의 꽃장식이 두툼하게 달려 있다. 지붕돌 위로는 마치 지붕을 축소해 놓은 듯한 돌이 올려져 있고, 맨 꼭대기에 올려진 연꽃봉오리모양의 돌은 석등을 옮겨 세울 때 새로 만든 것이다.

받침에 새겨져 있는 기록을 통해 고려 선종 10년(1093)에 석등을 세웠음을 알 수 있다.

각 부분의 조각이 둔중한 편이나 지붕돌의 형태가 장식적인 공예기법을 보이고 있는 특이한 고려시대 작품으로, 통일신라시대 8각형 석등의 양식을 이어받으면서도 그 구조와 조각이 우수하다.

[영문 설명]

Originally located at Seomun Gate (west gate) of Naju-eup, Jeollanam-do, this lantern was moved to Gyeongbokgung Palace in 1929. Now it is plac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t stands on a wide square base stone, surmounted by the bottom octagonal pedestal engraved with lotus flower patterns.

The middle pedestal in the shape of a pillar has eight sides. Each side has a space surrounded by a band and engraved with a line of sentence within it. On eight sides of the upper pedestal are engraved the lotus flower patterns. The light chamber, which has been newly rebuilt, has four windows. The capstone is well decorated, with vertical stripes on each of the eight sides. It was likely that a short curtain hung down from the tip of the eaves. Freshly blooming floral decorations are hung luxuriantly above it, and a stone which appears to be a miniature roof is laid on top of the capstone. A lotus bud sculpture was newly added when the lantern was moved and rebuilt. Although the individual parts of the sculpture are rather dull, the form of the capstone shows a decorative artisanship.

While it follows the shape of the octagonal stone lantern of the Unified Silla period, it is a unique work of the Goryeo Dynasty, and its structure and sculpture are excellent.

출처:문화재청


출토 100년 기념 특별전 신촌리 금동관,그 시대를 만나다


자미산 정상에서 바라본 신촌리고분군, 신촌리 9호분 발굴 모형도, 고분 발굴조사 모습


[국보 나주 신촌리 금동관 (羅州 新村里 金銅冠) Gilt-bronze Crown from Sinchon-ri, Naju]

나주 반남면 신촌리 9호 무덤에서 발견된 높이 25.5㎝의 금동관이다. 나주  신촌리 9호 무덤은 1917∼1918년에 일본에 의해 발굴 조사되었다. 이 금동관은 삼국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외관과 내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관은 나뭇가지 모양의 장식 3개를 머리에 두른 띠 부분인 대륜에 꽂아 세웠으며, 내관은 반원형의 동판 2장을 맞붙여 만들었다. 기본 형태는 신라 금관과 같으나 머리 띠에 꽂은 장식이 신라 관의 ‘山’자 모양이 아닌 복잡한 풀꽃 모양을 하고 있어, 양식상 더 오래된 것으로 보인다.

내관인 모자는 전북 익산 입점리(사적 제347호)와 일본에서도 비슷한 것이 출토된 바 있어 백제와 일본과의 문화 교류 관계를 살피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금동관의 주인은 당시 이곳을 지배하던 세력의 최고 지도자였을 것으로 짐작되는데, 다만 이 금동관이 현지의 토착 세력에 의해 제작된 것인지 백제로부터 하사받은 것인지에 대하여는 알수 없다.

[영문 설명]

This is a Gilt-bronze Crown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hat is 25.5cm tall. This Gilt-bronze Crown was found at the Sinchon-ri, Bannam-myeon, Naju excavation in 1917~1918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in Korea. 

It has two structures of inner and outer crown. The outer crown has 3 tree-limb like ornaments mounted on it, and the inner crown was made by putting 2 half cylindrical copper plates together. The basic structure is similar to the one found in the Silla Dynasty, but different its ornaments distinguishes its origin. 

Also, the inner crown is similar to the ones excavated from Ipjeom-ri of Jeollabuk-do and Japan. This artifact became quite important in researching the cultural interaction between Baekje and Japan. 

The owner of this crown is believed to be the leader of the region, but it is uncertain whether it was made there or received from the Baekje Kingdom. This Gilt-bronze Crown from Sinchon-ri, Naju was the first excavated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Its preservation is outstanding; and its resemblance to Baekje Period's crown structure contributes to both academic and fine arts studies.

출처:문화재청


"나주 신촌리 금동관&먹거리"

 

나주 신촌리 금동관&먹거리

"백제 관모를 대표하는 금동관" [국보 제295호 나주 신촌리 금동관] 나주 반남면 신촌리 9호 무덤에서 발견된 높이 25.5㎝의 금동관이다. 나주  신촌리 9호 무덤은 1917∼1918년에 일본에 의해 발굴

barongl.tistory.com


[보물 천마총 금제 관식(1978-1) (天馬塚 金製 冠飾(1978-1)) Gold Diadem Ornament from Cheonmachong Tomb]

천마총은 경주 황남동고분 제155호 무덤으로 1973년 발굴하여 금관, 팔찌 등 많은 귀중한 유품들과 함께 천마 그림이 발견되어 천마총이라 부르게 되었다.

천마총 금제 관식(天馬塚 金製冠飾)은 널<관(棺)> 밖 머리쪽에 껴묻거리(부장품)가 들어있는 상자 뚜껑 위에서 발견되었다. 높이 23㎝, 너비 23㎝인 이 관식은 중앙에 새머리같이 생긴 둥근부분이 있고, 그 밑 좌우 어깨 위치에는 위로 솟는 날개 모양의 한 쌍이 있다.

몸체는 수직으로 내려오다 조금씩 좁아지면서 끝을 둥글게 처리하였다. 머리부분에는 나뭇잎 모양으로 2개의 구멍을 뚫었고, 좌우 날개에서 몸통부분까지 5개의 구멍을 나뭇잎 모양으로 뚫었다. 아래의 방패형으로 된 부분에는 장식이 없지만, 그 윗부분에는 약 150개의 원형 장식을 한 줄에 연결해서 달았다.

전체를 세로로 반으로 접었던 흔적이 있으며, 밑에는 못 구멍이 하나 있어 어느 곳에 꼽기위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어떠한 용도로 쓰였던 것인지 분명하지 않다.

[영문 설명]

A diadem ornament is either used simply to decorate the diadem, or it may contain religious meaning. This ornament is 23 cm in height and 23 cm in width.

It was found on top of a box holding belongings of the buried person. The box was laid outside the coffin towards the head. In the middle there is a round protrusion in the shape of a bird's head and below that, on the shoulders, there are a pair of wings in the motion of ascent.

The body of the ornament becomes narrower as it comes vertically down and is rounded off at the end. Near the head there are two leaf-shaped holes and on each wing there are five leaf-shaped holes. The lower half of the ornament is shaped like a shield and has no decoration, but on the upper half there are about 150 circular ornaments connected on a chain. There are signs of the ornament for the diadem having been folded in half lengthwise. There is also a nail hole at the bottom. However, it is hard to decide clearly what the ornament was used for.

Cheonmachong (Heavenly Horse Tumulus) Tomb was originally called Gyeongju Tumulus, Tumulus No. 155 until it was excavated in 1973. After its excavation it was presumed to be either the tumulus of Silla's 21st Maripgan (a title for earlier kings of Silla) Soji or the 22nd Maripgan Jijeung. Alongside many invaluable relics including gold diadems and bracelets, a coffin with a Cheonma (heavenly horse) painted on its side was discovered. From this came the tomb’s present name.

출처:문화재청

[보물 천마총 금제 관식(1978-2) (天馬塚 金製 冠飾(1978-2)) Gold Diadem Ornament from Cheonmachong Tomb]

천마총은 경주 황남동고분 제155호 무덤으로 1973년 발굴하여 금관, 팔찌 등 많은 귀중한 유품들과 함께 천마 그림이 발견되어 천마총이라 부르게 되었다.

천마총 금제 관식(天馬塚 金製冠飾)은 천마총 안의 널<관(棺)> 머리쪽에 있던 유물 보관함에서 발견된 것으로 큰 새의 날개가 펼쳐 있는 모양이고, 밑은 방패 모양으로 된 장식이 달려있다. 몸체와 좌우의 날개에는 덩굴무늬를 파 놓았는데, 가장자리의 테두리와 줄기부분에는 세밀하게 점선을 찍어, 얇고 긴 금판이 힘을 받도록 했다.

표면 전면에는 지름 0.7㎝정도의 원판을 400여개 정도 금실로 연결하여 매우 화려해 보인다. 밑에는 장식이 전혀 없고 밑이 둥근 돌기부가 있고, 못 구멍이 하나 있으나 어떠한 방법으로 어느 곳에 고정시켰던 것인지 그 용도에 관해서는 확실하지 않다.

[영문 설명]

This was found in a box storing relics laid beside the head of a coffin in Cheonmachong (Heavenly Horse Tumulus) Tomb.

It is in the shape of a flying bird with its wings spread out with a shield-like ornament attached underneath. A pattern of vines is carved on the body of the ornament and on both wings. Around the edge and trunk runs along a delicate dotted line which helps hold up the thin gold plate.

On the front surface there are about 400 circular plates, each with a diameter of 0.7cm, hanging on gold threads. This gives it an appearance of splendor. On the lower half there is no decoration at all. There is a round protrusion and one nail hole. It is still not certain how this ornament was used or what it was attached to.

출처:문화재청


신촌리 9호분의 장식대도(나주 신촌리 용봉황장식 큰칼, 나주 신촌리 세잎장식 큰칼)


양직공도 복제품 백제국 사신의 모습(중국 양나라의 원제인 소역이 황위에 오르기 전 그린 사신도로 526-536년경에 남조 양나라에 파견된 외국인 사찰에 대한 그림과 글을 수록하였다. 현재 남아 있는 것은 송나라 때(11세기)에 원본을 다시 그린 것으로 13국의 사신 그림과 기록이 남아 있다.)


"영산강의 독널들"


[사적 나주 반남 고분군 (羅州 潘南 古墳群) Ancient Tombs in Bannam, Naju]

반남은 영산강 지류인 삼포강을 중심으로 고대문화의 꽃을 피운 곳으로 자미산을 중심에 두고 약 40여기의 고분이 대안리, 신촌리, 덕산리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에 처음으로 발굴되어 세상에 알려진 이 고분군에서는 다른 지역에서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대형옹관과 함께 금동관, 금동신발, 봉황문 고리자루칼(환두대도) 등 최고 권력자의 위상을 보여주는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옹관고분은 고구려의 적석총, 백제의 석실분, 신라의 적석목곽분, 가야의 석곽묘 등과 달리 영산강 유역에만 분포하던 독특한 묘제이다. 이른 시기의 옹관고분은 지면을 약간 파고 옹을 반쯤 안치한 후 그 위에 낮은 분구를 쌓았으나 후대에는 분구를 쌓은 후 정상부에 흙을 되파고 옹관을 안치하였고 분구의 규모도 커진다. 이처럼 옹관을 묘제로 사용하는 형식은 세계 각지에서 나타나며, 한국에서도 신석기시대부터 묘제의 일부로 사용하던 것이다. 그러나 영산강 유역의 옹관고분처럼 대형 전용 옹관을 사용한 예는 없으며 영산강 유역 토착세력에 의해 완성된 묘제로 이해되고 있다. 

대안리 일대에는 12기가 분포하는데 제9호분은 대안리 고분군 중 최대 규모이며 9기의 옹관과 함께 금반지, 큰칼, 구리팔찌, 유리구슬, 토기 등 유물이 출토되었다. 

신촌리 일대에는 9기가 분포하는데 일제강점기에 9호분 등 고분 일부가 발굴되었으며 이때 금동관(국보)을 비롯한 금동 신발, 금반지, 봉황문 고리자루칼(환두대도), 구리팔찌 등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1999년 신촌리 9호분을 재발굴조사한 결과, 고분 정상부를 두르며 장식한 원통형 토기 32개가 출토되었다. 원통형 토기는 일본의 고분에서 출토된 ‘하니와’라는 유물과 같은 성격으로 한국과 일본의 고대사 교류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덕산리 일대에는 14기 이상이 분포하고 있으며 중심 축조연대는 신촌리, 대안리와 유사한 5세기 중엽~후반경으로 판단된다. 반남 고분군 가운데 가장 늦은 시기에 해당하는 10호분은 석실분으로 6세기 중엽 이후 백제 세력이 진출하면서 토착세력의 옹관묘가 소멸되는 과정에서 축조된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설명]

Bannam was an area along the Sampogang River where ancient cultures flourished. Around forty ancient tombs were discovered in the area (i.e. Daean-ri, Sinchon-ri, and Deoksan-ri during excavations carried ou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1910-1945). Diverse relics have been unearthed from the tombs, such as unique large-sized jar coffins unlike any others found elsewhere in the country, and objects that display the status of the ruling class, such as gilt-bronze crown and shoes, and a sword with ring pommel and phoenix design. 

Jar coffin tombs are found only in areas along the Yeongsangang River, and are markedly different from the stone mound tombs of Goguryeo, the stone chamber tombs of Baekje and Gaya, and the wooden coffin tombs with stone mound of Silla. In the early period, such tombs were formed by burying about half of a jar coffin in a hole and then building a mound over it. Later, the mound was formed first and then the jar coffin was placed into a hole made at the top of the mound. Over time, larger mounds were also built. This style of jar coffin tomb was adopted in many areas around the world. In Korea, the practice appears to have been adopted during the Neolithic Age. As large jar coffins appear not to have been used elsewhere, this tomb system is thought to have been influenced by people in areas along the Yeongsangang River.

Nine jar coffins, along with gold rings, large swords, bronze bracelets, glass beads, and potteries were unearthed from Tomb No. 9 in Daean-ri, which is the largest of the twelve tombs in the area.

Nine jar coffin tombs are located in Sinchon-ri. Some of the tombs, including Tomb No. 9, were excavat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1910-1945), yielding a Gilt-bronze Crown (National Treasure No. 295) and shoes, gold rings, a sword with ring pommel and phoenix design, and bronze bracelets. During the excavation of Tomb No. 9 in Sinchon-ri in 1999, thirty-two cylinder-shaped pottery items, eventually found to be associated with the Haniwa (terracotta clay figures unearthed from ancient tombs) of Japan, were found around the top. This provides important clues for studying exchanges between Baekje and Japan in the ancient period.

More than fourteen tombs are located in Deoksan-ri, which are thought to date back to the mid- to late-5th century, like those in Sinchon-ri and Daean-ri. Tomb No. 10 in Deoksan-ri, which dates from the latest period among those found in Bannam-myeon, is a stone chamber tomb. It is thought to have been made at a moment in the mid-6th century or perhaps a bit later, when the ruling class of the area fell under the domination of Baekje, resulting in the discontinuation of jar coffin tombs.

출처:문화재청

덕산리 고분군 1호


"신촌리 고분군 1호"


"덕산리 고분군, 대안리 고분군"


신촌리 고분군 9호(신촌리 일대에는 9기가 분포하는데 일제강점기에 9호분 등 고분 일부가 발굴되었으며 이때 금동관(국보 제295호)을 비롯한 금동 신발, 금반지, 봉황문 고리자루칼(환두대도), 구리팔찌 등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1999년 신촌리 9호분을 재발굴조사한 결과, 고분 정상부를 두르며 장식한 원통형 토기 32개가 출토되었다. 원통형 토기는 일본의 고분에서 출토된 ‘하니와’라는 유물과 같은 성격으로 한국과 일본의 고대사 교류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 출처:문화재청)


"신촌리 고분군 9호에서 바라본 전경"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