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산선문 종찰, 장흥 가지산 보림사

2022. 2. 9. 06:35바롱이의 쪽지/전라남도

반응형

[장흥 구산선문 종찰 가지산 보림사]

가지산 봉덕계곡에 위치한 고찰로 동양3대보림(인도,중국,한국) 중 하나로 우리나라에 선종이 가장 먼저 들어와 정착된 곳이기도 하다.

이곳에 원표대덕(元表大德)이 터를 잡을 당시인 759년에는 초암(草庵)의 형태를 벗어나지 못한 듯 하며, 연기설화(緣起說話)가 이곳을 찾는 이들을 흥미롭게 하고, 곳곳에 그와 관련된 땅 이름이 남아 있다.

옛 모습의 보림사는 웅장하고 수려한 모습이었으나 조선시대 숭유억불책(崇儒抑佛策)으로 쇠락하다가, 한국동란 병화를 겪기도 하였지만 그후 복원되어 있다.

출처:장흥군청


"구산선문 종찰 가지산 보림사 일주문"


"보림사를 지나며, 김병연"


"보림사 해우소"


한국의 아름다운 숲 장흥 가지산 비자림(보림사 주변의 비자나무숲은 싱그러움과 신비로움을 가지고있다. 비자나무숲은 500그루가 넘는 비자나무가 있는데 그중엔 수령이 300년도 넘는 것도 있으며, 비자림에서 나오는 테르펜은 피톤치드 못지않은 살균, 살충 효과가 있어 머리가 복잡해 산사를 찾는 분들에게 더욱 좋다. 가을이되면 알록달록 단풍 구경도 하고, 보림사 산림욕장에서 오래된 비자나무속을 거닐며 여유를 즐기면서 쉬어가보자. 출처:장흥군청)


"보림사 동부도군"


[보물 장흥 보림사 동 승탑 (長興 寶林寺 東 僧塔) East Stupa of Borimsa Temple, Jangheung]

보림사는 통일신라시대 선종 9산 중 가장 먼저 만들어진 가지산파의 중심사찰로, 헌안왕 4년(860)에 왕의 권유를 받아 체징이 창건하였다. 동부도는 보림사 동쪽 숲 속에 있는 여러 승탑 중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손꼽힌다. 승려의 사리를 두는 탑신(塔身)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3단의 기단(基壇)을 두고 위로는 머리장식을 얹었는데, 각 부분이 8각으로 깍여져 있다.

3단으로 된 기단의 맨아랫단과 맨윗단에는 8잎의 연꽃잎을 둘러 새기고 각 귀퉁이마다 꽃장식을 얹은 모습으로, 가운데는 8각의 기둥을 낮게 두었다. 탑신은 한 면에만 자물쇠가 달린 문짝 모양을 새기고, 지붕돌은 다른 부분에 비해 좁고 낮은 편이다. 꼭대기의 머리장식은 중간에 둥근 기둥을 세우고, 위아래를 나누어 장식하였는데, 그 완전함만큼이나 세심한 정성을 기울인 흔적이 엿보인다.

전체적으로 탑신의 위부분이 높게 이루어진 반면, 기단의 가운데받침돌이 작고 낮아 안정감이 떨어진다. 잘 정돈된 구조가 돋보이며 머리장식이 온전하게 남아있는 것도 이 승탑의 소중함을 더하고 있다. 통일신라 후기에 만들어졌으면서도 고려 전기의 특징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승탑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영문 설명]

The East Stupa of Borinsa Temple is considered the best of the stupas located in the eastern forest of Borimsa Temple, which was built as the main temple of the Gajisan Order (the first of the nine major Orders of Zen Buddhism to be established in Korea), founded by Chejing at the request of King Heonan in 860 (the 4th year of the latter’s reign).

The stupa consists of three octagonal parts including the three-layer stylobate, the main body enshrining a sarira, and the finial. The stylobate is composed of three tiers: the bottom and top tiers are engraved with a lotus design with eight petals, and each corner of those tiers is carved with a flower design. The middle tier is an octagonal pillar.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stupa is engraved with an old Korean-style door and a lock. The roof stone is narrow and low compared with the other parts. A little round pillar is placed on the middle part of the finial, and the top and bottom areas are decorated separately, exhibiting meticulous craftsmanship. Although, on the whole,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stupa is high, the middle stone of the stylobate is small and low, giving the stupa an unstable appearance.

Nevertheless, it is a valuable relic – all the more so as its well-made, undamaged finial is fully intact. Although it was erected during the late Unified Silla Period, it exhibits the characteristic style of the early Goryeo Dynasty, making the stupa an important material for the study of Korean stupas.

출처:문화재청


장흥 가지산 보림사 일주문(1950년 가을, 전남 지역의 공산군 유격대가 가지산에 집결하여 보림사에서 한겨울을 났다. 다음해 봄에 이곳으로 밀고 들어온 군경토벌대는 ‘공비들의 본거지’라고 불을 질러 버렸다고 한다. 보림사에서 그 난리를 면한 것은 일주문과 천왕문뿐, 나머지 20여 동은 모두 불타 버렸다.

포작이 여러 겹 중첩되어 화려하고 장중한 일주문 정면에는 '가지산 보림사'라는 현판이 걸려 있는데, 그 안쪽에 걸린 '선종대가람'이라 적힌 현판은 보림사의 역사적 위상을 한마디로 대변해 준다. '선종대가람' 현판 구석에는 옹정(雍正) 4년, 즉 영조 2년(1726)이라는 연대가 적혀 있다. 일주문 또한 그 무렵에 세워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천왕문"


[보물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長興 寶林寺 木造四天王像) Wooden Four Guardian Kings of Borimsa Temple, Jangheung]

사천왕은 갑옷을 입고 위엄이 충만한 무인상을 하고 동·서·남·북의 사천국(四天國)을 다스리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통일신라 초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에는 사찰입구에 사천왕문을 세워 모시고 있다. 대웅전을 향하여 오른쪽에는 동방 지국천왕(持國天王)과 북방 다문천왕(多聞天王)이, 왼쪽에는 남방 증장천왕(增長天王)과 서방 광목천왕(廣目天王)이 위치하고 있다.

동방 지국천왕은 호화롭게 장식된 보관을 쓰고 얼굴은 분노한 표정을 하였으며, 복장은 갑옷과 천의(天衣)를 입고 있다. 건장한 체구에 오른손으로 칼자루를 잡고 왼손은 칼끝을 받쳐들고 있다. 북방 다문천왕은 높직한 보관을 쓰고 미소를 띤 인자한 모습으로 선비형의 눈썹과 긴 턱수염에서 부드러운 문인의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 비파를 들고 있으며, 발 아래에는 힘에 겨운 듯 고통스러워 하는 악귀가 왼쪽다리를 받쳐들고 있다.

남방 증장천왕은 굳게 다문 입과 함께 근엄한 얼굴 표정을 하고 있고, 오른손에 칼을 들고 있고 있으며, 왼손은 무엇인가 쥐고있는 듯한 자세만을 취하고 있다. 당당해 보이는 신체는 수호신으로서의 모습을 잘 표현하고 있다. 서방 광목천왕은 부릅뜬 눈에 입을 벌리고 소리지르는 듯한 위엄있는 모습이다. 오른손에는 깃발을 잡고 왼손에는 무엇인가 들고 있었던 모습인데 보탑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시대 사천왕상 대부분이 중국식 갑옷에 각기 다른 상징물을 들고 있으며 발 밑에는 악귀를 밟는 형태상의 특징을 갖는다. 또한 무장한 분노상에 화려한 보관을 쓰고 천의자락을 휘날리며 보관 밑으로 흘러내린 머리카락이 귓바퀴를 돌아 어깨 위에서 여러 갈래로 갈라지는 자비로운 보살상의 모습이 추가되고 있다. 보림사의 사천왕상은 이러한 특성을 가장 앞서 선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불교조각사적 비중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의 조성시기는 천왕문에 걸린 목판과 『보림사중창불사기록』에 의하여 중종 10년(1515)에 조성되고 이후 2차례에 걸쳐 중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보림사 사천왕상은 현존하는 천왕문 목조사천왕상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임진왜란 이전의 것으로는 유일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각 부의 조각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사천왕상의 기본이 되는 귀중한 유물로 평가된다.

[영문 설명]

The statues of the Four Guardian Kings in the shape of warriors in armor first appeared in the early Unified Silla Period (676 – 935) as those ruling over the four directions. In the Korean Peninsula, the Gate of the Four Guardian Kings came to be built at the entrance of temples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Dhattrattha (ruling over the east) and Vaisravana (north) are on the right, with Virudhak (south) and Virupaksa (west) on the left.

Dhattrattha wears a gorgeously adorned jeweled crown. He wears a heavenly robe beneath the armor, his face showing anger. He has a robust physique, with the right hand holding the sword handle and the left hand holding up the sword tip. Vaisravana wears a high jeweled crown and a benevolent simile, reminding one of the gentle image of a scholar. He also holds a lute. A devil kneeling down holds up his left foot, his facial expression showing that it feels painful under the king’s weight.

Virudhak has a tightly closed mouth and a stern facial expression, holding a knife in the right hand. Overall, he displays an imposing figure of a guardian. Virupaksa has glaring eyes, looking as if he is yelling at someone. He holds a flag on the right hand.

The statues of Four Guardian Kings mad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are in Chinese-style armor, each holding symbolical object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hands. They have diverse appearances, wearing facial expressions ranging from anger to benevolence and heavenly robe or armor. The images kept at Borimsa Temple are superior to those kept at the other temples, thereby occupying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Buddhist sculptures.

The wooden tablet hung nearby and the relevant records say that the statues were made in 1515 (the 10th year of King Jungjong’s reign) and repaired on two occasions. They are the oldest ones of their kind in the country and the only ones made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displaying the exquisite skills of craftsmen.

출처:문화재청


"보물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보림사 전경"


[국보 장흥 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 (長興 寶林寺 南·北 三層石塔 및 石燈) South and North Three-story Stone Pagodas and Stone Lantern of Borimsa Temple, Jangheung]

가지산 남쪽 기슭에 있는 보림사는 통일신라 헌안왕의 권유로 체징(體澄)이 터를 잡아 헌안왕 4년(860)에 창건하였다. 그 뒤 계속 번창하여 20여 동의 부속 건물을 갖추었으나, 한국전쟁 때 대부분이 불에 타 없어졌다. 절 앞뜰에는 2기의 석탑과 1기의 석등이 나란히 놓여 있다. 

남북으로 세워진 두 탑은 구조와 크기가 같으며, 2단으로 쌓은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놓고 머리장식을 얹은 통일신라의 전형적인 석탑이다. 기단은 위층이 큰데 비해 아래층은 작으며, 위층 기단의 맨윗돌은 매우 얇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어 쌓았으며, 각 층 몸돌에 모서리기둥을 새겼는데, 2·3층은 희미하게 나타난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계단형으로 5단씩이고, 처마는 기단의 맨윗돌과 같이 얇고 평평하며, 네 귀퉁이는 심하게 들려있어 윗면의 경사가 급해 보인다. 탑의 꼭대기에는 여러 개의 머리장식들을 차례대로 가지런히 올려 놓았다.

석등 역시 신라의 전형적인 모습으로, 네모꼴의 바닥돌 위에 연꽃무늬를 새긴 8각의 아래받침돌을 얹고, 그 위에 가늘고 긴 기둥을 세운 후, 다시 윗받침돌을 얹어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받쳐주도록 하였다. 화사석은 8각으로 4면에만 창을 뚫어 놓았고, 그 위로 넓은 지붕돌을 얹었는데 각 모서리 끝부분에 꽃장식을 하였다. 석등의 지붕 위에는 여러 장식들 놓여 있다.

이들 석탑과 석등은 모두 완전한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특히 탑의 머리장식은 온전하게 남아 있는 예가 드물어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탑 속에서 발견된 기록에 의해 석탑은 통일신라 경문왕 10년(870) 즈음에 만들어진 것으로 밝혀졌고, 석탑과 더불어 석등도 같은 시기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영문 설명]

Borimsa Temple located on the southern foot of Gajisan Mountain was established in 860 by Chejing (804-880), an eminent Unified Silla monk, under the auspices of King Heonan (r. 857-861). The temple continued to prosper until it had in its precincts about twenty buildings, most of which were burnt down during the Korean War (1950-1953). Only two stone pagodas and one stone lantern remain in the temple’s front yard.

The two pagodas -- one standing in the north and the other in the south of the yard -- have the same structure and size, displaying the typical style of the Unified Silla pagoda with three-story body set up on a double-tier base whose upper tier is considerably larger than the lower tier. Each story of the pagodas consists of a body and a roof carved from a single block of stone; each body is engraved with corner columns, although these are not clear-cut on the second and third stories. Each roofstone has five-step cornice along its eaves and overly upturned corners. Both pagodas are topped with finials each consisting of a group of symbolic ornamental objects.

The stone lantern also exhibits a typical style of Silla lanterns consisting of a square base, two lotus-carved octagonal stones connected by a long, comparatively slender pillar, an octagonal light chamber with four windows, a wide roofstone with floral ornaments at the ends of the hip rafters, and the finial of several symbolic decorative objects.  These two stone pagodas and one stone lantern are in their original good condition complete with the finial, serving as a rare source of knowledge for the Buddhist art of Silla.

A document discovered at one of the pagodas revealed that they were erected around 870 when Silla was under the rule of King Gyeongmun (r. 861-875). Historians believe that the stone lantern was also made in the same period.

출처:문화재청


"국보 장흥 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

 

장흥 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먹거리

"통일신라의 전형적 양식" [국보 장흥 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 (長興 寶林寺 南·北 三層石塔 및 石燈) South and North Three-story Stone Pagodas and Stone Lantern of Borimsa Temple, Ja..

barongl.tistory.com


석등(석탑과 같은 때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현재까지 알려진 석등 가운데 가장 완전하게 보존된 신라의 전형적인 양식의 석등이며 그 가운데서도 가장 장식이 많이 된 예이다. 높이는 3.12m이며 전체적으로 몸매가 단정하고 아담한 인상을 준다. 네모난 지대석 위에 3단의 팔각 굄을 둔 후 하대석, 간주석, 상대석, 화사석 그리고 지붕돌과 상륜부가 얹혀 있다. -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 보림약수, 대웅전"


[국보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長興 寶林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 Iron Seated Vairocana Buddha of Borimsa Temple, Jangheung]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의 대적광전에 모셔진 철로 만든 불상으로, 현재 대좌(臺座)와 광배(光背)를 잃고 불신(佛身)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불상의 왼팔 뒷면에 신라 헌안왕 2년(858) 무주장사(지금의 광주와 장흥)의 부관이었던 김수종이 시주하여 불상을 만들었다는 내용의 글이 적혀 있어서 정확한 조성연대를 알 수 있는 작품이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달걀형의 얼굴에는 약간 살이 올라 있다. 오똑한 콧날, 굳게 다문 입 등에서 약간의 위엄을 느낄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 다소 추상화된 모습이다.

통일신라 전성기(8세기)의 불상에 비해 긴장감과 탄력성이 줄어들었고, 양 어깨에 걸쳐 입은 옷은 가슴 앞에서 U자형으로 모아지며, 다시 두 팔에 걸쳐 무릎으로 흘러내리고 있다. 옷주름은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고 있지만 탄력을 잃은 모습이다. 이런 형태의 표현은 신라 불상에서 보여주던 이상적인 조형감각이 후퇴하고 도식화되어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9세기 후반 불상 양식의 대표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손은 왼손의 검지를 오른손으로 감싸고 있는 모습으로 비로자나불이 취하는 일반적인 손모양이다. 

이 작품은 만든 연대가 확실하여 당시 유사한 비로자나불상의 계보를 확인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며, 신라말부터 고려초에 걸쳐 유행한 철로 만든 불상의 첫번째 예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크다.

[영문 설명]

Enshrined at Daejeokgwangjeon Hall of Borimsa Temple in Yuchi-myeon, Jangheung-gun, Jeollanam-do, this iron cast Buddha statue has an inscription stating that it was produced in 858 in Unified Silla during the reign of King Heonan. The statue has lost its original pedestal and mandorla (Buddhist halo of light) but has a clear record of its background, i.e., it was commissioned by a local government official named Kim Su-jong who served the administration of Muju and Jangsa (today’s Gwangju and Jangheung). 

The Buddha features an oval, plump face with high-ridged, sharp nose and firmly sealed mouth as well as conch-shaped curls covering the head, which, together, help create a dignified look. 

Some, however, have the general impression that it is a somewhat conventional, rather than original, work. Comparing the Buddha statues of Unified Silla in the 8th century, this iron statue lacks dynamism and intensity in its details. The robe is draped from both shoulders to create several symbolic U-folds in the front and more over the arms and knees, but their rendition lacks resilience. Art historians agree that the statue provides a fine example of an artistic tendency of Silla in the 9th century when its Buddhist statues began to lose their early vitality and started to be stylized. The Buddha’s symbolic hand gesture -- the right hand holding the left index finger -- suggests that he is Vairocana, the Buddha of All Pervading Light. 

The statue is highly regarded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t art not just because it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genealogy of Vairocana Buddha images in Korea with its date of production clearly known; it is also the earliest existing item of iron cast Buddhist statues that enjoyed great popularity in Korea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late Unified Silla and early Goryeo.

출처:문화재청


"국보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먹거리

"통일신라 하대 철조불상의 대표작" [국보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長興 寶林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 Iron Seated Vairocana Buddha of Borimsa Temple, Jangheung]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의 대

barongl.tistory.com


"구산선문 종찰, 장흥 가지산 보림사"

반응형

한국의 명수 100선 장흥 보림약수(보림사 마당 한가운데는 극심한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 약수터가 있으며, 한국의 명수 100선에도 선정되었다. 다슬기와 송사리가 살 정도로 물이 맑다.)


"한국의 명수 100선 장흥 보림약수"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장흥전의상암지석불입상 (長興傳義湘庵址石佛立像)]

원래 전라남도 장흥읍 제암산 중턱에 있는 의상암 절터에 있던 것인데, 1994년부터 보림사로 옮겨 모시고 있다. 몸 뒤의 광배(光背)와 목 부분에 약간의 파손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양호한 편이다.

민머리 위에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높게 표현되었고 얼굴은 계란형이다. 옷은 양 어깨를 감싸고 있으며 가슴 위까지 U자형 주름을 이루고 있다. 양 팔에 걸쳐진 옷자락은 물결 모양의 주름을 만들면서 무릎까지 길게 드리워졌다. 오른손의 엄지와 검지를 맞대고 있는 것으로 볼 때 아마타여래를 표현하고 있는 것 같다.

원만한 얼굴, 높은 머리묶음, 상체의 옷주름 등으로 보아 9세기 후반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출처:문화재청


"청태전 티로드 자생 차나무 군락지"


"차나무군락지에서 바라본 보림사"


[보물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 Stupa of Master Bojo at Borimsa Temple, Jangheung]

보림사에 세워져 있는 사리탑으로, 보조선사의 사리를 모셔두고 있다.

보조선사(804∼880)는 어려서 출가하여 불경을 공부하였으며, 흥덕왕 2년(827)에 승려가 지켜야 할 계율을 받았다. 희강왕 2년(837) 중국으로 건너갔으나 문성왕 2년(840)에 귀국하여 많은 승려들에게 선(禪)을 가르쳤다. 헌안왕 3년(859)에 왕의 청으로 보림사의 주지가 되었으며, 77세의 나이로 입적하였다. 왕은 그의 시호를 ‘보조선사’라 하고, 탑 이름을 ‘창성’이라 내리었다.

탑은 바닥돌부터 지붕돌까지 모두 8각으로, 통일신라 탑의 일반적인 모습이다. 탑신(塔身)을 받치는 기단(基壇)의 아래받침돌에는 구름무늬를 매우 입체적으로 조각하였고, 가운데받침돌은 아래위로 띠를 두른 약간 배가 부른 모습이다. 8개의 큰 연꽃조각 위에 놓여진 탑신의 몸돌은 앞·뒷면에 문짝 모양을, 그 양 옆에는 사천왕상(四天王像)을 새겼다. 두터워 보이는 지붕돌은 밑면에 서까래를 표현해 놓았고, 윗면에는 기왓골이 깊게 파여져 있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완전한 모양은 아니지만 복발(覆鉢: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 보륜(寶輪:바퀴모양의 장식), 보주(寶珠:연꽃봉오리모양의 장식) 등이 차례로 놓여 있다.

탑신의 몸돌이 지붕돌에 비해 지나치게 커 보이고, 지붕돌의 질감이 달라서 전체적으로 부자연스럽다. 일제시대 때 사리구를 도둑맞아 쓰러졌던 것을 복원한 바 있는데 이때 일부분이 손상되어 안타까움을 주고 있다.

[영문 설명]

This stupa was erected in 880 (the 6th year of the reign of King Heongang of the Silla Dynasty) at Borimsa Temple in Jangheung County to enshrine the sarira of Master Bojo.

Bojo (804~880) became a Buddhist monk in his early years and devoted himself to study of the Buddhist scriptures. In 827 (the second year of the reign of King Heungdeok of the Silla Dynasty) he received the religious precepts and devoted himself to their practice. In 837 (the second year of the reign of King Heuigang) he went to China and returned in 840 (the 2nd year of the reign of King Munseong) and preached Zen to many monks. He was appointed as the head monk of Borimsa Temple at the request of King Heonan in 859 (the 3rd year of the reign of King Heonan) and in 880 entered Nirvana at the age of 77. The King granted him the posthumous title of "Master Bojo" and named the stupa "Changseong".

The stupa is octagonal in form from the base to the top, adopting the typical style of stupas erected during Unified Silla. As for the three-tiered stylobate, the bottom-tier stone supporting the main body is embossed with a vivid cloud design; the middle-layer stone is decorated with two bands in the lower part, giving it a bulging appearance. The core stone of the main body lies on the supporting stone, which is carved with eight large lotus patterns.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core stone are engraved with an old Korean-style door, while its other two surfaces are engraved with images of the Four Guardian Kings. The roof stone looks thick, and a cornice is expressed on its lower part. The sloping side of the roof contains runnels to drain away rainwater. Although the upper ornamental part is incomplete, the top of the finial consists of a bokbal (over-turned bowl), boryun (mast with nine discs), and boju (magic bead) arranged in that order. The core stone is too large compared with the roof stone, and looks unnatural overall in that the material of the roof stone differs from the other stones.

The sarira was stolen from the stupa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while the stupa itself collapsed. The stupa has been restored to some extent, but is still damaged in parts.

출처:문화재청


"보물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사천왕상(화려한 갑주를 입은 사천왕상에서는 굽이쳐 휘날리는 옷자락과 매듭 등 정교하고 섬세한 조각이 돋보인다. -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불두가 없는 불상"


"보물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와 탑"


"보물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와 보림사 전경"


[보물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碑) Stele for Master Bojo at Borimsa Temple, Jangheung]

보림사에 있는 보조선사 지선의 탑비로, 거북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얹은 모습이다.

보조선사(804∼880)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로, 어려서 출가하여 불경을 공부하였으며, 흥덕왕 2년(827)에 승려가 지켜야 할 계율을 받았다. 희강왕 2년(837) 중국으로 건너갔으나, 멀리서 구할 필요가 없음을 느끼고, 문성왕 2년(840)에 귀국하여 많은 승려들에게 선(禪)을 가르쳤다. 헌안왕 3년(859) 왕의 청으로 보림사의 주지가 되었으며, 77세의 나이로 입적하였다. 왕은 그의 시호를 ‘보조선사’라 하고, 탑이름을 ‘창성’이라 내리었다.

비는 거북받침돌의 머리가 용머리를 하고 있어 이목구비가 뚜렷한 사나운 모습이며, 등 뒤에는 육각형의 무늬가 전체를 덮고 있다. 등 중앙에 마련된 비를 꽂아두는 부분에는 구름과 연꽃을 새겨 장식해 놓았다. 비몸돌에는 보조선사에 대한 기록이 새겨져 있는데, 김영이 비문을 짓고 김원과 김언경이 글씨를 썼다. 머릿돌에는 구름과 용의 모습을 웅대하게 조각하였고, 앞면 중앙에 ‘가지산보조선사비영’이라는 비의 명칭을 새겼다.

통일신라 헌강왕 10년(884)에 세워진 비로, 당시 조형수준을 대표하는 뛰어난 작품이다.

[영문 설명]

This stele was erected at Borimsa Temple in 884 (the 10th year of the reign of King Heonggang of the Unified Silla Period) to commemorate the life and achievements of Master Bojo.

The stele has a usual form in that the main stone, on which the capstone is placed, is erected on a turtle-shaped pedestal. Master Bojo (804-880) became a Buddhist monk at a tender age and devoted himself to study of the Buddhist scriptures. In 827 (the second year of the reign of King Heungdeok of the Silla Dynasty) he received the religious precepts and devoted himself to their practice. In 837 (the 2nd year of King Huigang) he went to China and returned in 840 (the 2nd year of the reign of King Munseong) and preached Zen to many monks. He was appointed as the head monk of Borimsa Temple at the request of King Heonan in 859 (the 3rd year of the reign of King Heonan) and entered Nirvana at the age of 77 in 880. The king granted him the posthumous title of "Master Bojo" and named the stupa "Changseong".

The turtle-shaped pedestal that supports the main stone has a dragon-like head with a ferocious look and clearly expressed facial features, and a back filled with hexagonal patterns. The base stone on which the main stone of the stele sits is engraved with cloud and lotus flower patterns at the center of the back. The stele bears an inscription about Master Bojo that was composed by Kim Yeong and written by Kim Won and Kim Eon-gyeong. The ornamental top of the stele is magnificently carved with cloud and dragon designs, while the title of the monument, "Master Bojo of Gajisan Mountain," is inscribed at the center.

This masterful work displays all the artistry and characteristic style of steles built in the late 9th century.

출처:문화재청


돌거북(비신을 받친 돌거북의 얼굴은 눈을 몹시 찌푸리고 눈꼬리가 위로 치켜졌으며 콧구멍 속에서 수염이 돋아나왔고 입 옆에 갈퀴가 붙어 용머리처럼 표현되었는데 아주 엄한 표정을 하고 있다. 입에는 여의주를 물었고 곧추세운 목 앞에는 가로로 비늘이 새겨졌으며 네 발에는 발가락이 4개씩 있다. 등껍질에는 육각형 구갑문이 정연하게 조각되었고, 등 한가운데에 높직하게 비신받침대를 마련하여 둘레에 구름무늬를 새기고 윗면에 연꽃무늬를 둘러 놓았다. -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명부전(지붕 꼭대기에 구름무늬 장식이 한 줄 지나간 위에 용의 몸통 모양을 형용한 기와가 죽 얹혀 있고 양끝에 용머리가 달렸는데 한가운데는 탑의 복발과 보주를 모방한 듯한 장식물이 있다. -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합장하는 불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