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 덕룡산 불회사

2022. 2. 25. 05:53바롱이의 쪽지/전라남도

반응형

"나주 덕룡산 불회사 일주문"


"꽃무릇과 바위, 꽃무릇과 비자나무 숲"


[국가민속문화재 나주 불회사 석장승 (羅州 佛會寺 石장승) Stone Guardian Post of Bulhoesa Temple, Naju]

나주 불회사 입구에 서있는 2기의 돌장승이다. 장승은 민간신앙의 한 형태로 마을이나 사찰 입구에 세워 경계를 표시함과 동시에 잡귀의 출입을 막는 수호신의 역할을 하는데 이 장승 역시 경내의 부정을 금하는 수문신상이다.

불회사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높은 산을 뒤로한 협곡에 자리잡고 있다. 절 앞 300m 되는 지점의 길 양쪽으로 마주보고 서있는 이 장승은 남·여의 모습으로 구별된다. 남장승은 선이 깊고 뚜렷하며 수염이 표시되었고, 머리 위에서는 상투를 올린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입 가자장자리에는 송곳니가 아래로 뽀족하게 돌출되었고 몸체에는 ‘하원당장군(下元唐將軍)’이란 이름이 새겨있다. 여장승은 남장승에 비해 표정이 온화하고 얕은 선으로 표현되었다. 미소 띤 얼굴에 몸체에는 ‘주장군(周將軍)'-원래 명칭은 상원주장군(上元周將軍)- 이란 이름이 있다. 두 장승 모두 크고 둥근 눈에 두리뭉실한 주먹코이다. 얼핏보면 제주도의 돌하루방을 옮겨다 놓은 것 같기도하고 나주운흥사석장승의 모습과도 비슷하다.

나주 불회사 석장승은 숙종 45년(1719) 전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민간의 무속신앙과 불교신앙이 혼합된 상징적인 조형물로서 험상궂은듯 하면서도 익살스러운 모습이 친근감을 준다.

[영문 설명]

Two Stone Guardian Posts are standing at the entrance of Bulhoesa Temple in Naju. As with most of the guardian posts, they are erected at the entrance of villages or Buddhist temples to mark property boundaries and to guard against evil spirits.

These Stone Guardian Posts served as protective deities to prevent evil spirits from entering the temple.  Built during the Silla Dynasty, Bulhoesa Temple is located in a ravine at the foot of a steep mountain. The two Stone Guardian Posts, which have distinctive male and female figures, are standing on each side of the road at about 300 meters from the Temple. The male post is made with deeply carved distinct lines, with a goatee and a hair knot on its head. It has upper canine teeth sticking out of the corner of the mouth, with Hawondang Janggun (General Hawondang) inscribed on its body. Compared to the male post, the female stone guardian post has a gentle look, and it is depicted in shallow lines. It has a smiling face, with the name Ju Janggun -- originally Sangwonju Janggun (General Sangwonju) -- inscribed on its body. Both posts have big round eyes and stubby nose. They look very similar to dolharubang (stone grandfather) in Jeju-do as well as the Stone Guardian Post of Unheungsa Temple, Naju (Important Folklore Material No. 12). 

These Stone Guardian Posts are presumed to have been made in the 45th year of King Sukjong’s reign (1719). They are a symbolic sculpture reflecting shamanistic beliefs and Buddhism. Their rugged yet humorous facial expression looks friendly.

출처:문화재청


여장승(남장승에 비해 표정이 온화하고 얕은 선으로 표현되었다. 미소 띤 얼굴에 몸체에는 ‘주장군(周將軍)'-원래 명칭은 상원주장군(上元周將軍)- 이란 이름이 있다. - 출처:문화재청)


남장승(선이 깊고 뚜렷하며 수염이 표시되었고, 머리 위에서는 상투를 올린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입 가자장자리에는 송곳니가 아래로 뽀족하게 돌출되었고 몸체에는 ‘하원당장군(下元唐將軍)’이란 이름이 새겨있다. - 출처:문화재청)


보호수 수령 600년 느티나무(천년에 한번 나올까말까한 음양수 연리목으로 마치 바위에 두남녀가 사랑을 나누는 모습처럼 보이고 있는 희귀수목으로 나라의 경사, 자식의 부모에 대한 효성등을 상징하는 나무로 고려사와 삼국사기에서도 연리목을 기록할 정도로 희귀하고 경사스런 나무로 보호수로 지정되었다.)


"닥룡산 불회사 진여문"


[보물 나주 불회사 대웅전 (羅州 佛會寺 大雄殿) Daeungjeon Hall of Bulhoesa Temple, Naju]

나주 불회사 대웅전은 상량문 및 건축수법 등으로 볼 때 1799년(정조 23년) 중건된 정면 3칸, 측면 3칸의 장식성이 돋보이는 조선후기의 화려한 다포집이다.

자연석 기단위에 세워진 팔작지붕 건물로 정면에는 모두 궁창판이 있는 4분합의 빗살문인데 한국전쟁 이전에는 꽃살문으로 장식 되어 있었다. 기둥을 받치고 있는 초석은 덤벙주초로 비교적 큰 편이며 그 위에 세워진 기둥은 민흘림 수법을 보여주고 있다. 

기둥 위에는 다포계의 일반적인 수법을 따라 창방과 평방이 놓이고 전·후면의 각 주칸에는 외3출목, 내4출목 포작을 2조씩, 양측면에는 1조씩 배치하였는데 외부살미의 끝은 심하게 휘어져 올라가 있고 내부에서는 화려한 연봉형으로 마감하였다. 또한 정면 어칸에는 용머리 장식의 안초공을 사용하여 용두는 외부로 힘차게 빠져나왔고 그 꼬리는 내부로 힘차게 뻗었다. 

건물의 양측면 중앙에서는 건물내부로 2개의 충량을 걸어 그 머리를 용두로 장식하여 대량에 걸치었는데 이러한 결구법은 조선중기 이후에 나타나는 일반적인 수법이다. 건물의 내부천장은 빗천장과 우물천장을 혼용하였는데 빗천장에는 물고기, 연화문 등을 매우 정교하게 조각하여 달았다. 

건물 기둥 위 창방 위에 평방을 돌리고 그 위에 공포를 짜 올려 다포계(多包系)의 일반적인 수법을 따른 것으로 보이나 가운데 칸의 양 기둥사이로 두 마리의 용을 조각한 점이 특이하다. 즉, 용두를 밖으로 나오게 하고 그 꼬리를 건물 안쪽 대들보 밑에 끼어 넣은 수법, 양쪽 대들보 사이로 상호 중앙을 향해 마주 보도록 또 다른 두 마리의 용을 목각으로 조각한 수법, 건물 내부에 연꽃봉오리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한 기법은 부안 내소사 대웅보전(보물) 등 변산반도를 중심으로 한 사찰과 건축수법에 있어서 그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나주 불회사 대웅전은 조선후기 건립 당시의 면모를 잘 간직하고 있는 중요한 건물로 역사적 의의와 함께 학술적 가치가 있다.

[영문 설명]

According to Sangnyangmun (piece of remarks written on a ridge beam of a newly built building) as well as the techniques used, the building (measuring 3 kan* by 3 kan) was renovated in 1799 (the 23rd year of King Jeongjo’s reign). 

It is a well-embellished building with a liberally bracketed structure. With a hip and gable roof, the building is set up on a platform made with natural stones. The columns, which adopt the minheullim technique (a column narrower at the top than at the base), are all supported by large-sized natural cornerstones. 

The lintel and the upper lintel are placed at the top of the columns the way liberally bracketed structures (dapogye) are generally built. The system consists of three bracket arms projecting outward and four arms pointing inward. The ends of the outward bracket arms are sharply curved, and those of the inward arms are finished with carved lotus buds. 

The base blocks of the brackets (anchogong) on the columns forming the central bay are decorated with a carved dragon head powerfully projecting outward. Two transverse beams that start from the central column of the side walls are connected to the main cross beam within the building, their ends carved with a dragon head-shaped embellishment. This technique of jointing transverse beams to the main cross beam was commonly used in the mid-Joseon Period (1392-1910) and thereafter. The ceiling is a combination of slanted and coffered parts. The slanted parts of the ceilings are decorated with exquisite engravings of fish and lotus flowers. 

The building follows a general technique of dapogye (liberally bracketed structure) by stacking the lintel, upper lintel, and bracket system on the tops of the columns. The two dragon-shaped embellishments carved on the two central columns look unique. The heads of the dragons are made to stick outward, with the tails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main cross beam. The two dragons are made to face each other, and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is beautifully decorated with lotus buds. A similar technique is also found in nearby temples on the Byeonsan Peninsula, including the Daeungbojeon Hall of Naesosa Temple, Buan. 

Thus, this building in Bulhoesa Temple is an important material for those studying the architecture of the late Joseon Period. (*kan: a unit of measurement referring to the distance between two columns)

출처:문화재청


[보물 나주 불회사 건칠비로자나불좌상 (羅州 佛會寺 乾漆毘盧遮那佛坐像) Dry-lacquered Seated Vairocana Buddha of Bulhoesa Temple, Naju]

불회사 대웅전의 주존으로 모셔진 이 불상은 고려 말 조선 초에 특히 많이 조성된 건칠불상이다. 양식적으로 이 불상은 다소 길어진 신체의 비례와 형태, 작아진 얼굴, 착의형식, 옷 주름의 표현 등에서 고려후기 불상 양식을 계승한 조선 초기에 제작된 상으로 추정된다. 특히 주먹 쥔 왼손을 오른손으로 감싸 쥔 형태의 지권인(智拳印)의 수인(手印)은 고려후기의 화엄경 변상도에 등장하는 비로자나불의 수인인데, 불회사 상은 현존하는 조각에서 이 수인이 표현된 이른 예일 뿐만 아니라 조각적으로도 우수한 불상이다.

[영문 설명]

The principal Buddha enshrined at Daeungjeon Hall of Bulhoesa Temple, this is one of the many Buddhist images made with the dry-lacquered method betwee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Dynasty. In view of the elongated torso, smaller face, and the style of the robe and folds, this Vairocana is assumed to have been made in early Joseon, inheriting the late Goryeo style. This is not only one of the earliest known sculpted Buddha images with the vajra mudra, a hand gesture symbolizing wisdom, but is also an outstanding sculptural work. This specific mudra, made by enclosing the right index finger extended upward with the left fist, often appears on frontispieces for the Avatamsaka Sutra (The Flower Garland Sutra)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출처:문화재청

임시법당 안 보물 나주 불회사 건칠비로자나불좌상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