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 미륵사&나주 심향사

2022. 3. 1. 08:13바롱이의 쪽지/전라남도

반응형

"미륵사 가는 길 코스모스와 누렇게 물든 논"


"미륵사 전경"


"미륵사 대웅전과 마애여래입상"


"보물 나주 철전리 마애칠불상과 석조여래입상"


[보물 나주 철천리 마애칠불상 (羅州 鐵川里 磨崖七佛像) Rock-carved Seven Buddhas in Cheolcheon-ri, Naju]

4각에 가까운 원추형의 바위 표면에 불상을 조각한 독특한 형태의 작품이다.

바위 꼭대기에는 동자상(童子像)이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없어졌다. 동쪽면에는 좌상 1구가 있고, 북쪽면에도 좌상 1구가 합장하고 있다. 남쪽면에는 표현수법이 비슷한 4구의 입상이 있으며, 서쪽면에는 원래 2구의 불상이 있었는데 일제시대에 광부들이 1구를 떼어갔다고 전해진다.

이들 불상은 모두 세부표현이 거의 같다. 민머리 위에 높게 솟은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를 가지고 있으며 얼굴은 길쭉하다. 신체는 길고 굴곡이 없이 밋밋하며 경직된 자세와 간략하게 표현된 옷주름의 처리 등에서 형식화된 모습이 보인다. 불상의 발 아래에는 돌출부분을 마련하여 대좌(臺座)를 대신하고 있다.

비록 불상의 표현수법에서는 고려 석불상에 흔히 나타나고 있는 형식화된 모습이 보이지만 독특한 겉모습과 사방불적(四方佛的) 특징이 표현되고 있어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영문 설명]

This is a unique style of Buddha statues carved on an almost square-like, cone-shaped rock.

There used to be a statue of a young boy on top of the rock, but it is now gone. A seated Buddha statue is placed on the east side, with another seated image with hands put together on the north side. There are four standing statues whose expression styles are similar to each other on the south side. Moreover, two Buddha statues used to be on the west side, but miners are said to have taken one statue away during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ts.

The details of these Buddhist images are almost similar to each other. All of the Buddha statues have high usnisa (protuberance symbolizing supreme wisdom) on top of their heads, and their faces are long. The bodies are long and flat without curves. The stiff postures and simple folds in the clothing are expressed in a formal way. Below the feet is a protruding piece that serves as a pedestal.

Although the carving techniques used for expressing the statues are common and formal in Buddha stone statues made during the Goryeo Dynasty, it is regarded as a valuable cultural asset exhibiting its unique appearance and the four-sided Buddhist images.

출처:문화재청


[보물 나주 철천리 석조여래입상 (羅州 鐵川里 石造如來立像) Stone Standing Buddha in Cheolcheon-ri, Naju]

전체 높이가 5.38m나 되는 커다란 불상으로 하나의 돌에 불신과 부처의 몸 전체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光背)가 조각되어 있다.

민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큼직하게 표현되었고, 얼굴은 사각형으로 양감이 풍부하다. 목에는 3개의 주름인 삼도(三道)가 뚜렷하고, 양 어깨를 감싸고 입은 옷에는 발목까지 늘어진 U자형의 옷주름이 표현되어 있다. 두 팔은 두꺼운 옷자락 때문에 양 손만이 드러나 있는데 오른손은 손바닥을 밖으로 하여 내리고, 왼손은 위로 향하고 있는 모습이다. 광배는 배(舟) 모양이며, 머리광배와 몸광배로 구분되는데, 머리광배 안에는 연꽃무늬를 새기고 몸광배에는 구름무늬를 새겨 넣었다.

살찐 얼굴이라든지 비정상적으로 표현된 신체의 모습, 그리고 형식화된 옷주름 등에서 고려 초기 유행하던 불상임을 알 수 있다. 이 불상은 특히 남원 용담사지 석조여래입상과 크기와 양식이 비슷한 작품이다.

[영문 설명]

This 5.38-meter high Buddha statue consists of the body of the Buddha and the mandorla (Buddhist halo of light), which expresses the light emanating from the body of the Buddha, hewn from one stone.

The usnisa (protuberance on top of the head symbolizing supreme wisdom) can be seen on top of its bald head, and it has a quadrangle face that gives a considerable sense of volume. The three wrinkles clearly expressed on the neck represent the samdo (three ways to attain enlightenment). The beobui (sacerdotal robes) covering both shoulders has U-shaped folds running down to the ankles. Since the two arms are covered by thick clothes, only the hands are exposed. The right hand is hanging down with the palm facing outward, and the left arm is held upward. The mandorla (Buddhist halo of light), which has the shape of a boat, is made up of dugwang (light radiating from the head) behind the head and singwang (light emanating from the body) behind the body. The dugwang is carved with lotus flower patterns, and the singwang, with cloud patterns.

Its plump face, unrealistic expression of the body, and formally expressed folds in the clothing are elements characteristic of the popular Buddha statue style made during the early Goryeo Dynasty. It is especially similar to the Stone Standing Buddha at the Yongdamsa Temple Site in Namwon (Treasure No. 42) in size, style, and form.

출처:문화재청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심향사 (尋香寺)]

심향사는 신라시대 원효대사가 ‘미륵원’이라는 이름으로 세운 절이다. 언제부터 심향사로 이름이 바뀌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신왕사’로 기록하고 있고, 미륵전 건물에서 발견한 기록에 따르면 정조 13년(1789) 무렵 까지는 ‘신황사’로 불렸던 듯하다. 고려 현종 2년(1011)에 거란군이 침입하자 현종이 이곳 나주로 몽진하여 나라의 평안을 위해 기도를 올렸다고 전하는데, ‘신황사(神皇寺)’라는 이름에서 황제 황(皇)자를 쓰고 있는 것으로 보아 임금이 이 절의 대법회에 참여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경내에는 미륵전, 극락전을 비롯하여 고려시대에 제작한 석탑과 석불이 남아 있다. 미륵전에는 석불좌상이 있으며, 극락전에는 아미타여래좌상이 있다. 특히 심향사아미타여래좌상(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99호)은 베에 칠을 한 건칠불상으로 고려시대 즉 13∼14세기경에 제작되어 고려말 불상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출처:문화재청


"극락보전, 미륵전, 보물 삼층석탑"


[보물 나주 북망문 밖 삼층석탑 (羅州 北望門 밖 三層石塔) Three-story Stone Pagoda Outside the North Gate, Naju]

원래 나주 북문 밖에 있던 것을 1915년 옛 나주 군청 내로 옮겼다가 2006년 심향사 경내 미륵전 앞으로 다시 옮겨 놓은 탑으로, 상 ·하 2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일반적인 모습이다. 

기단에는 면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는데, 아래기단에는 모서리에만 두고, 윗기단에는 모서리와 가운데에 각각 조각을 하였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한 돌로 구성하였는데, 위층으로 갈수록 몸돌의 비율이 줄어들어 전체적으로 날렵한 느낌을 준다.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본떠 새겼다. 지붕돌은 두꺼운데, 밑면마다 3단의 받침을 두었고, 윗면은 지붕돌의 처마끝에 이르러 살짝 들려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머리장식으로는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과 복발(覆鉢: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만이 남아있다. 

전체적으로 풍화가 심하고 뛰어난 작품은 아니지만 단정한 품위를 잃지 않았고 각 부의 비례도 아름답다. 양식으로 보아 고려 후기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영문 설명]

Originally located just outside the north gate of Naju, this stone pagoda was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former building of Naju County Office in 1915. Some ninety years later, in 2006, the pagoda was moved in front of Mireukjeon Hall at Simhyangsa Temple.

Consisting of a three-story main body and two-story stylobate, this pagoda follows the general style of the period. Each face of the stylobate is engraved with pillar patterns; the bottom tier of the stylobate has patterns only on the edges, while the upper-tier has similar patterns on both the edges and the center. The main body of the pagoda consists of core stones and capstones, each of which is hewn from one separate stone, and tapers sharply upwards. In addition, all the corners of the core stones are engraved with pillar patterns. The thick roof stone has a three-tier cornice and displays slopes gently before turning sharply upwards at the edges of the eaves. Of the upper part of the pagoda, only the finial base and the finial, which resembles an over-turned bowl, remain. 

Overall, although it has been defaced and cannot be considered a masterpiece, this three-story pagoda’s well-proportioned structure nonetheless exudes the beauty of simplicity. Judging by its construction style, the pagoda is thought to have been built in the late Goryeo Dynasty.

출처:문화재청


"극락보전"


[보물 나주 심향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羅州 尋香寺 乾漆阿彌陀如來坐像) Dry-lacquered Seated Amitabha Buddha of Simhyangsa Temple, Naju]

이 불상은 고려 말 조선 초에 특히 많이 조성된 건칠불상 중 하나이며, 점토나 석고로 만든 원형을 제거한 탈활(脫活) 건칠 기법으로 제작되었다. 고려후기 불상의 특징인 이국적이면서도 단엄한 얼굴표정을 지니고 있으며, 왼쪽 어깨 위에 부채살처럼 흘러내린 세밀한 잔주름은 13세기 후반에 조성된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1276년),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불좌상(1362년 이전) 등에서도 확인되는 공통된 특징이다. 

나주 지역에서는 이 불상 외에도 불회사와 죽림사 등 여말선초에 조성된 건칠불이 전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조형적 완성도가 가장 높다. 더욱이 이 불상은 현재 알려진 건칠불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속하는 작품 중 하나로 중요성을 지닌다.

[영문 설명]

This is one of the many Buddha statues made in the dry lacquer method, with clay or plaster core removed, betwee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Dynasty. The Buddha has an exotic and austere facial expression, typical of the Buddhist images of late Goryeo. The narrow folds in the robe flowing down from the left shoulder echo those on two other famous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s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 one at Gaeunsa Temple (dated 1276) and the another at Bongnimsa Temple in Hwaseong (dated earlier than 1362).

Buddhist temples in the Naju region, including Bulhoesa and Jungnimsa, have more Buddhist images made with the dry-lacquered method, among which this is one of the earliest known works. It stands out most prominently in formative quality.

출처:문화재청


"불상과 심향사, 나주시 전경"


보물 나주 북망문 밖 삼층석탑보다 더 예스러워 보이는 삼층석탑과 미륵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나주 심향사 석조여래좌상 (羅州 尋香寺 石造如來坐像)]

나주 심향사 석조여래좌상은 길쭉한 신체와 넓은 어깨, 네모난 넓은 무릎에서 안정감을 보여주며 편단우견의 대의를 입은 위에 오른쪽 어깨에 별도의 편삼을 걸친 착의법, 항마촉지인의 수인 등의 특징은 통일신라 후기에서부터 고려 전기에 유행한 형식이다. 

그러나 장방형의 얼굴 모습과 편평한 가슴으로 볼 때 지역성에 강한 고려전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조선시대에 후기에 용화전의 주불로서 미륵불로 신앙된 점 또한 주목되며 월출산 마애불과 더불어 후대에 변형된 미륵신앙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전남지방의 고려전기 불상을 연구하는데 좋은 자료이며, 광배는 왼쪽 윗부분이 파손된 것을 2010년 복원수리에서 고색처리까지 하면서 보수하였다.

출처:문화재청


삼층석탑, 보호수 수령 140년 모과나무, 고사한 팽나무, 보물 북망문 밖 삼층석탑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