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8. 6. 05:36ㆍ바롱이의 쪽지/강원도
"동해 두타산 삼화사 일주문"
"반석교와 동해 두타산 삼화사"
"보호수 수령 400년 동해 삼화사 느티나무"
"삼화사 12지신상"
"삼화사 천왕문, 삼층석탑, 적광전"
"세 나라를 하나로 화합시킨 영험한 절"
[동해 두타산 삼화사]
너럭바위를 지나 봉긋이 선 무지개 다리를 건너면 두타산의 대표적인 고찰 삼화사가 나선다. 삼화사는 1,300여 년의 긴 역사를 갖고 있다. 신라 선덕여왕 11년(642) 자장율사가 이곳 두타산에 이르러 절을 짓고 흑연대(黑連臺)라 한 것이 그 효시라고 하지만, 경문왕 4년(864)에 구산선문 중 사굴산파의 개조인 범일국사가 ‘삼공정’(三公頂)에다 삼공암을 지었을 때부터 뚜렷한 내력을 갖는다. 그 뒤 고려 태조 때에 와서 삼화사라는 이름을 얻었다. 고려를 세운 왕건이 삼공암에서 후삼국 통일을 빌었으며, 삼화사라는 이름은 ‘세 나라를 하나로 화합시킨 영험한 절’이라는 뜻이다.
삼국을 화합시킨 영험한 도량이어서 그랬을까? 삼화사는 일본의 침략 때마다 크게 수난을 겪는다. 삼화사에서 한 시간 가량 더 가야 하는 두타산성은 임진왜란 당시 삼척 지방의 의병들이 주둔하던 곳이며, 1907년 일제 때는 의병들이 삼화사에 진을 치고 병력을 길렀다 하여 일본군이 불을 지르기도 했다.
본래는 북평사거리에서 오는 길에 허연 속살을 흉하게 내보이던 삼화동 산 중턱 채석장에 삼화사 도량이 있었다. 거대한 시멘트 공장이 들어서자 채광권 안에 속하게 된 삼화사가 1977년부터 지금의 자리인 개국사터로 옮겨오게 된 것이다. 일본의 괴롭힘도 다 견뎌냈는데 산업화의 시련까지 받게 되다니. 대웅전 앞 부처님의 시야를 가리는 높은 기암괴석의 병풍이 멋지게 보이지 않고 어째 좀 답답하게 느껴질 때면 더욱 안타까워진다.
계곡에 바짝 붙어 서 있는 천왕문으로 들어서면 정면에 적광전이 자리 잡고 있다. 적광전 앞에는 얼마전까지 두 삼층석탑이 부처를 협시하듯 서 있었는데, 근래에 세워진 오른쪽 탑은 현재 철거되었으며 왼쪽에 고색을 풍기며 서 있던 탑 역시 최근에 마당으로 이전 복원되었다. 보물 제1277호인 이 삼화사 삼층석탑은 선덕여왕 13년(644)에 세워진 것이라 전하지만 그 수법으로 보아 고려 때의 탑으로 추정된다. 높이는 4.95m, 2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쌓았다. 녹슬고 휘어진 상륜부의 찰주 맨 꼭대기에 보주 하나가 달랑 꽂혀 있다.
출처:한국문화유산답사회
[보물 동해 삼화사 삼층석탑 (東海 三和寺 三層石塔) Three-story Stone Pagoda of Samhwasa Temple, Donghae]
삼화사에 있는 석탑으로,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비교적 높아 보이는 기단은 각 층 모두 네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기단의 맨윗돌에는 별도의 탑신 괴임돌을 두어 탑신을 받치도록 하였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을 번갈아 쌓아 올렸는데, 위층으로 올라갈수록 그 규모가 서서히 줄어든다.
여러군데에 금이 가 있고 부분적으로 훼손되었으나, 대체로 잘 남아있고 균형이 잘 잡힌 단아한 모습이다. 기단의 구성이나 별도의 석재로 탑신괴임을 둔 점 등으로 미루어 9세기 후반에 조성된 것으로 짐작된다.
1997년 4월 대웅전 앞에서 지금의 자리로 옮기면서 해체하여 복원하였는데, 이 때 위층 기단 안에서 나무 궤짝이 발견되었다. 그 안에는 곱돌로 만든 소형탑 25기와 청동제 불대좌조각 2점, 철조각 6점, 문서를 기록한 종이 1매 등이 들어있었다.
[영문 설명]
This one stands on a two-tiered platform, looking rather tall compared to the others. The upper tier carries column-shaped inscriptions on the four corners and center of each side.
It has a separate stone supporting the body of the pagoda at the top of the upper tier of the platform. Each tier of the body is composed of a body stone and a roof stone, with the top tier shorter than the second tier, which is also shorter than the bottom tier.
The pagoda has cracks and damaged parts here and there but has generally been preserved well. Overall, it shows a well-balanced, graceful body. It is presumed to have been made in the late 9th Century based on the composition of the platform and use of a separate stone supporting the body.
In April 1997, the pagoda was moved to its present location from the place in front of the Great Buddha Hall. A wooden casket, found from the top tier of the platform, contained 25 agalmatolite-made miniature pagodas, 2 bronze miniature pedestals, 6 iron carvings, and 1 sheet of paper containing the relevant information.
출처:문화재청
"삼층석탑과 적광전"
[국가무형문화재 삼화사 수륙재 (三和寺 水陸齋) Samhwasa Suryukjae (Water and Land Ceremony of Samhwasa Temple)]
‘수륙재(水陸齋)’는 온 천지와 수륙에 존재하는 모든 고혼(孤魂)의 천도를 위하여 지내는 의례로 개인 천도의 성격을 띤 영산재에 비해 공익성이 두드러지는 불교 의례이다. 조선초기부터 국행 수륙재로서 대규모로 설행되어 왔던 사실이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한 문헌에 나타나 있다.
동해 삼화사는 조선전기 국행수륙재의 전통을 계승하는 동시에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고혼 천도의 수륙재 전통을 가진 사찰이며, 의식과 범패, 장엄 등을 아울러 전승하고 있다.
[영문 설명]
Suryukjae (Land and Water Rite) began to be performed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1392-1910) to guide all the spirits of beings that lived in both water and land to the peaceful other world. The rite has high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and aesthetic merit as provided by, among other old texts, Joseon wangjo sillok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t is performed night and day for the peace of the entire living and the dead. On the other hand, the Yeongsanjae (Celebration of Buddha's Sermon on Vulture Peak Mountain) was performed for the peace of individual beings.
Samhwasa Temple in Donghae had been a main venue for such rites, which aimed to bring peace and unity to the local community. It preserves the tradition established through state-commissioned events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as well as tangible elements such as the altar, architectural adornments, and ceremonial proceedings with prayer chanting.
출처:문화재청
"적광전에서 바라본 전경"
"목조 해태상"
[보물 동해 삼화사 철조노사나불좌상 (東海 三和寺 鐵造盧舍那佛坐像) Iron Seated Rocana Buddha of Samhwasa Temple, Donghae]
삼화사 대웅전에 모셔져 있는 이 불상은 시멘트로 만든 대좌 위에 머리로부터 가슴과 배, 등판을 붙여 안치했던 것을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한 철불좌상이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은 듯하며, 얼굴에는 비교적 살이 올라 통일신라시대의 풍이 엿보인다. 가늘고 길게 뜬 눈, 오똑한 코, 두툼한 입술은 전체적으로 단정한 모습이다.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은 주름이 도식적이며, 복부까지 속이 드러나 허리띠와 드리워진 매듭이 보인다. 손은 오른손을 들어 손바닥을 밖을 향하게 하고, 왼손은 아래로 내려 손바닥을 밖으로 향하도록 복원하였다.
복원과정 중 오른쪽 등판면에서 약 10행 161자로 된 글을 발견하였다. 내용에 노사나불이란 명칭이 2번 나와 이 불상의 이름을 알 수 있으며, 시주자의 부모를 위해 880년대에 활약한 결언 스님을 중심으로 화엄경에 따라 불상을 조성했다는 기록을 통해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만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10세기 이후까지 내려오는 이두의 사용과 한자를 국어 어순에 맞추어 배열하는 문장 등으로 미루어 그 당시 국어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로 생각된다.
[영문 설명]
The Buddha image displays turban shell-shaped hair on the head.
The slightly plump face points to the style of the Unified Silla Period (676 - 935). Overall, the image gives an impression of tidiness: the slit eyes, the straight nose, and the thick lips. The wrinkles of the robe appear to be lifeless. The repaired Buddha image has the right hand held up with the palm facing outward and the left hand put on the lap facing upward.
In the course of carrying out the restoration work, the crew found a sheet of paper containing 161 Chinese characters in 10 lines from the back of the Buddha image. The description Rocana Buddha appears twice. The characters say that the Buddha image was made based on Avatamsaksa Sutra for the spirit of the deceased parents of the donor, with Monk Gyeoreon (who carried out activities in the 880s) playing a leading role; thus showing that it was made sometime between the end of the Unified Silla Period (676 - 935) and the early Goryeo Period (918-1392).
The use of Idu (archaic writing system representing the Korean language using Chinese characters) in said sheet of paper makes it an important material for researchers studying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writing system.
출처:문화재청
'바롱이의 쪽지 > 강원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해 송정동 철기시대유적 (0) | 2022.08.09 |
---|---|
동해 추암해변&촛대바위 (0) | 2022.08.07 |
동해 묵호 논골담길&묵호등대 (0) | 2022.08.04 |
우리나라 가장 규모가 큰 석회암 동굴, 삼척 환선굴 (0) | 2022.08.03 |
삼척 이사부사자공원 (0) | 2022.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