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리움미술관(고미술 상설관 M1, 2층)

2023. 1. 8. 05:26바롱이의 쪽지/서울

반응형

[리움미술관]

리움은 문화창조에 기여하고, 소통하는 21세기 융합미술관을 지향합니다.

1965년 삼성문화재단 설립 이후 소중한 문화 유산을 보전하고 대중에게 알리고자 노력해온 삼성미술관은 2004년 서울 한남동에 미술관 건물을 신축하면서 리움미술관을 개관했습니다. 수준 높은 소장품 전시 및 기획전시 개최 등 그간의 괄목할만한 활동과 성과로 지금 리움은 명실공히 한국을 대표하는 미술관으로 성장하였습니다.

미션

리움미술관은 한국 고유의 미를 담고 있는 전통미술과 생동하는 현대미술, 시대적 가치를 반영한 국 제미술이 함께 공존하는 세계를 향한 열린 미술관입니다. 리움은 과거와 현재를 바탕으로 미래를 함께 모색하고, 시대와 장르를 초월한 융합미술관으로 관객과 함께 향유하고 소통하는 문화적 공간이 되고자 합니다.

리움은 관객과 소통하는 미술관으로서 예술과 삶을 더욱 풍부하게 하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시대와 함께 호흡하며 문화를 선도하고 대중과 소통하는 것은 미술관으로서 리움의 가장 중요한 역할입니다. 이를 위해 리움은 전시와 교육, 미술품 보존 등 각 분야의 전문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시의성 있는 주제와 중요 작가를 조명하는 기획전, 심도 있는 학술 행사와 교육 프로그램 등을 선보여 왔습니다. 앞으로도 리움은 우리 시대 예술의 지평을 넓히고 미래의 문화를 선도하는 미술관의 역할을 더욱 충실히 할 것입니다.

출처:리움미술관


[고미술 상설관 M1]

고미술 상설관인 M1에는 4층부터 1층까지 각 층별 주제에 맞춰 엄선한 120여 점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4층에는 ‘푸른빛 문양 한 점’이라는 주제로 고려시대 청자의 세계가 펼쳐진다. '흰빛의 여정'을 주제로 꾸민 3층은 조선시대 분청사기와 백자를 감상할 수 있는 공간이다. 2층 '감상과 취향'에서는 다양한 기법과 주제의 고서화를 볼 수 있다. '권위와 신앙, 화려함의 세계'를 주제로 한 1층에서는 불교미술, 금속공예, 나전칠기 등에 구현된 선조들의 정신세계와 미감을 느낄 수 있다. 더불어 각 층마다 고미술 작품과 함께 전시된 현대미술 작품들 사이를 거닐며 시대를 초월한 예술의 교감을 확인할 수 있다.


[감상과 취향(2층)]

서화는 실생활에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도자기나, 예배를 위해 만들어진 불교미술품과는 달리 오롯이 감상을 위해 만들어진 예술품이었다. 2층에는 우리나라 예술사에 커다란 자취를 남긴 겸재 정선(謙齋 鄭敎), 단원 김홍도(金弘道),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 오원 장승업(吾園 張承業) 등의 작품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화단을 대표하는 여러 화가들의 그림과 글씨가 전시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고서화는 중국이나 일본 그림에 비해 과장이 적고, 자연스러운 조화를 추구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러한 작품을 감상할 때 중요한 기준은 '아름다움'과 '격조'이다. 그림의 세부 표현이 서로 잘 어울려 구도상의 균형을 이루고 있는지, 화면에 나타난 분위기가 한눈에 들어와 산만하지 않고 일관된 느낌을 주는지, 사물을 묘사한 선과 화면의 여백을 통해 운치 있는 세련미가 표현되었는지를 주의 깊게 살펴본다면 감상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아울러 전통을 토대로 새로운 미감을 보여주는 현대미술 작품을 함께 전시하고 있어, 전통과 현대의 연속성을 느낄 수 있다.


[공예 지금 정해조 Chung Hae-cho]

잊혀져 가던 전통 옻칠공예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세계적 공예품 반열에 올린 정해조 작가의 신작들이다. 옻나무에 상처를 내 얻어낸 수액을 용도에 맞게 정제해 기물의 표면에 칠하는 옻칠은 흐르는 시간과 함께 완성되고 제 빛을 낸다. 

작가는 50년 넘게 옻칠의 특질에 대해 연구하고 인고의 시간을 통해 '색(色光律)' 시리즈로 불리는 작업을 완성했고 지금도 보다 깊은 옻칠의 아름다움을 찾기 위해 탐구 중이다.

작품은 삼베를 옻칠액과 함께 굳혀가며 겹겹이 이어 붙이는 협저태(紵夾胎) 기법으로 만들어졌다. 이는 옷에 숨어 있는 광택을 빛의 반사를 이용해 다각도로 보여주기 위함인데 협저태는 작품에 굴곡을 주면서 만들기에 가장 용이한 기법이다. 작가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광택과 율동감 있는 형태에, 한국전통 오방색(五方色)을 기반으로 한 다양하고 깊은 색채를 더해 살아 움직이는 색의 향연을 선사한다. 이 작품들은 같은 공간에 전시된 다양한 전통 수묵화와 채색화들과 함께 어우러져 우리 전통색에 대한 새로운 시선과 감상의 폭을 옻칠이란 매개체로 넓혀준다.


[국보 김홍도 군선도 조선, 1776년]

조선을 대표하는 화가인 단원 김홍도(1745-1806?)는 우리에게 풍속화가로 잘 알려져 있지만, 젊은 시절에는 신선 그림을 잘 그리는 작가로 유명했다. 그 중에서도 이 작품은 김홍도가 남긴 신선 그림 중 대표작으로 현재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그림에 등장하는 신선들은 그들의 우두머리였던 서왕모의 행사에 초대를 받고 물 위를 건너가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이러한 그림을 해상신선도라 부른다. 그러나 같은 주제를 그린 다른 작품들은 바다를 배경으로 그려 넣는 것과 달리 배경이 생략되어 있는 것이 독특하다. 신선들의 얼굴은 하나하나 꼼꼼하게 그린 것과 달리 옷은 굵고 힘찬 붓질로 거침없이 그렸는데, 이는 김홍도가 젊은 시절 신선을 그리는 전형적인 방법으로, 신선 그림에 대한 작가의 자신감을 잘 표현해주고 있다.

출처:리움미술관


[정선 쌍도정도 조선, 18세기]

우리나라의 산천을 그렸던 진경산수화의 대가인 겸재 정선(1676-1759)의 작품이다. 쌍도정은 현재 경상북도 성주의 관아 안에 있는 정자로, 전통 한국식 정원을 잘 갖춘 지역의 명승지다. 그림을 그렸을 당시 정선은 대구 근처 하양에서 현감을 하고 있었는데, 아마도 근처였던 쌍도정을 방문하고 그렸던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정자를 중심으로 주변의 경치를 꼼꼼하고 사실적으로 묘사한 것이 특징인데, 이러한 섬세함은 정선 진경산수화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출처:리움미술관


"정선 삼승정도 조선, 18세기"


[전(傳) 이징 산수도 조선, 16세기]

조선 전기 산수화는 채색이 거의 없이 먹으로 그린 것들이 많다. 또한 배경이 되는 자연을 크게 그리고 인물들은 없거나 매우 작게 그리는 경우가 많다. 이는 선조들이 이상적인 자연 속에 귀의하고자 하는 열망을 산수화를 통해 표현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이 작품도 이러한 조선 전기 산수화의 모습을 잘 반영하고 있다. 화면에 아무런 도장이나 내용이 없어 작가는 알 수 없으나 전체적으로 꼼꼼한 묘사가 돋보여 당시 대표적인 화가였던 이징의 작품으로 추정되고 있다.

출처:리움미술관


[김양기 초옥산수도 조선, 19세기 전반]

김양기는 조선 후기 최고의 화가였던 단원 김홍도의 아들로, 가업을 이어 궁중의 화원화가로 활동했다. 대가였던 아버지의 그늘에 가려 뚜렷한 업적을 만들어 내지는 못했으나, 산수화나 풍속화, 신선 그림에 두각을 나타내었다고 한다. 어느 여름 계곡 아래 초가집을 그린 이 작품은 화려하지는 않지만 거친 듯 담담한 표현을 하였는데, 이는 김양기 그림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화면 위에는 소나무 밑 초가집에서 여름 계곡을 감상하며 느끼는 감정을 쓴 시가 있어 작품의 청량한 분위기를 한층 높이고 있다.

출처:리움미술관


[심사정 방황자구산수도 조선, 18세기]

심사정은 조선 후기 산수화와 꽃 그림에 뛰어난 실력을 발휘했던 인물이다. 특히 산수화는 중국의 여러 화풍을 혼합하여 자신만의 개성적인 경지를 만든 화가로 잘 알려져 있다. 화면 상단에 ‘황공망의 필법을 따랐다’라는 제목이 있는데, 황공망은 중국 원나라를 대표하는 화가 중 하나로 조선의 많은 화가들이 그의 화풍을 따라하고 배우고자 했던 인물이다. 높고 웅장한 산을 그리고 그 아래 자잘한 나무를 그렸는데, 이는 당시 산수화를 그리던 기본 구도였다. 전반적으로 갈색 빛이 도는 옅은 채색을 사용하여 담담한 듯 차분한 표현법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출처:리움미술관


[최북 유곡후동도 조선, 18세기]

최북은 18세기에 활동하면서 시와 글씨, 그림에 뛰어난 화가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예술을 향유하던 계층인 양반도,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궁중화가도 아니었지만 매우 높은 수준의 작품들을 남겼던 인물이었다. 특히 산수화와 산수인물화에 뛰어났는데, 이상적인 자연 속에서 풍류를 즐기는 모습을 그린 그림을 많이 남겼다. 이 작품도 그 중 하나로 초가집에 앉아 자연을 즐기는 인물을 그렸다. 뒤로 물러나는 듯 배치되어 있는 산과 강의 모습을 그려 깊은 산 속임을 표현했으며, 채색이 없이 먹으로만 표현하여 담백하고 담담한 분위기를 한층 돋우고 있다.

출처:리움미술관


[이재관 오수도 조선, 19세기 초]

깊은 산속 작은 집에서 책을 읽다 잠깐 졸음에 빠진 선비의 모습을 그린 이 작품은 조선후기 왕실 화원화가였던 이재관의 대표작이다. 이재관은 직업화가임에도 불구하고 화려하고 기교가 많이 들어간 그림 대신 이처럼 자연을 벗삼아 살아가는 모습을 많이 그렸으며, 문인 화가들이 자주 그렸던 담백한 화풍을 구사하였다. 잠에 든 인물 옆 뜰 한 모퉁이에는 약을 달이는 동자와 학 두마리를 그려 넣어 속세를 벗어나 살아가는 인물의 분위기를 더했다. 화면 위에는 “새가 지저귀니 낮잠이 막 쏟아지네”라는 구절이 있어 한가로운 오후에 나른한 분위기를 표현했다.

출처:리움미술관


[김득신 외 환어행렬도 조선, 1795년경]

정조가 화성으로 행차했을 때의 모습을 그림으로 남긴 것 중 한 장면이다. 정조는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환갑을 맞아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소인 현륭원을 성묘하고, 환갑잔치를 열고, 새로 만든 수원성에서 병사들을 사열했는데, 이러한 행사를 모두 마치고 한양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왕의 행렬답게 정조의 행차는 규모가 매우 컸는데, 이를 한 화면에 표현하기 위해서 ‘갈 지(之)’ 형태로 늘어 놓았다. 이는 당시 조선에 처음으로 소개된 서양화법인 원근법을 사용한 것으로 이전까지 궁중의 행사그림에는 사용하지 않았던 방식이었다. 인물, 수목, 산수를 작게 그렸음에도 불구하고 세부묘사가 매우 뛰어나 궁중 행사 그림의 걸작이라 평가받고 있다.

출처:리움미술관


[장승업 방황자구산수도 조선, 19세기 후반]

조선 말기의 대표 화가였던 장승업의 산수화다. 장승업은 산수, 인물화 뿐만 아니라 동물, 꽃, 새 등 그림의 모든 분야에서 시대를 대표하는 뛰어난 화가였다. 중국 원나라의 대표 화가인 황공망의 예술세계를 본받아 그린 이 작품은 장승업의 여러 산수화 중에서도 대표작으로 손꼽히고 있다. 당시에는 이 그림처럼 좁고 긴 화면이 유행했는데, 그 안에 그림을 그리기 위해 산, 바위, 나무, 인물 등 산수화의 여러 요소를 짜임새 있게 구성하였다. 채색도 다른 작품들과는 달리 수채화를 연상시키는 듯 맑고 깔끔하게 처리하여 화면 전체에 청량한 분위기를 더하고 있다.

출처:리움미술관


[안중식 도원문진도 1913년]

안중식은 조선말부터 근대 시기에 활동했던 화가로, 전통 회화의 주요 주제인 산수, 인물, 화조화 등 다방면에서 뛰어난 기량을 과시했던 궁중 화가였다. 또한 일제강점기에는 근대 한국화의 주역들을 길러내기도 하는 등, 구한말과 근대 화단을 이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기도 하다. 이 작품은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이었던 도연명의 대표작이자 우리에게는 무릉도원 이야기로 잘 알려진 「도화원기(桃花源記)」의 내용 중 무릉도원으로 들어가는 어부의 장면을 그린 것이다. 그림의 크기가 매우 크고 꼼꼼한 채색과 섬세한 묘사가 돋보이는 작품으로, 아마도 왕실을 위해 그렸던 그림이라 생각된다.

출처:리움미술관


[이한철 이항복 초상 조선, 19세기]

우리에게 ‘오성과 한음’의 일화로 알려져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 이항복의 초상화다. 이항복은 임진왜란 때 왕의 피난을 호위하는 등 공적을 세웠으며, 국가에 여러 분쟁을 원만히 해결하여 왕의 신임을 얻었던 인물이다. 이 작품은 이항복이 죽은지 200여 년이 지난 19세기에 9세손인 이유원이 당시 최고의 화가였던 이한철에게 부탁하여 만든 초상화다. 일반적으로 초상화는 사망한 뒤 사당에 걸기 위해 만들어졌으나, 시간이 오래되어 손상되면 원본을 없애고 다시 모사하는데, 이 작품 역시 처음 그렸던 초상화를 모사한 것으로 생각된다.

출처:리움미술관


[허련 김정희 초상 조선, 19세기]

<세한도>의 작가이자 ‘추사체’로 잘 알려진 추사 김정희는 조선 말기의 대표적인 학자이자 서예가, 화가로 알려져 있다. 김정희의 명성은 그가 활동하던 시기에도 매우 높아 많은 추종자가 있었는데, 그 중에서 이 그림을 그린 허련은 가장 아끼는 제자였다. 희미한 미소를 머금고 온화한 표정을 짓고 있는 김정희의 말년 모습을 그렸다. 얼굴 주름과 수염은 세밀하게 묘사한 반면 얼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몇 개의 선 만으로 간략하게 묘사하여 대조를 보이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초상화의 특징으로, 인물의 정신이 그림 속 얼굴에 똑같이 스며든다고 믿어 수염 하나까지 그대로 그리려는 전통에서 비롯된 것이다.

출처:리움미술관


[전(傳) 신사임당 고대명화첩 조선, 16-17세기]

결이 고운 비단에 먹으로 그린 이 작품은 우리나라 대학자 율곡 이이의 어머니이자 시와 그림에 뛰어났던 신사임당이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이다. 이 화첩은 총 13면으로 그려져 있는데 그 중 그림이 9면, 글씨가 4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꽃과 새를 그린 7점이 대표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전반적으로 깨끗하고 섬세한 붓질과 화면의 한 쪽에 치우쳐 소재들을 배치하였는데, 이는 당시 유행했던 방식이었다. 배경을 단순하게 처리하고 여백을 살려 소박하면서도 여유 있는 정서를 화면 가득 표현하여, 조선 중기 화조화의 모습을 만끽할 수 있는 작품이다.

출처:리움미술관


[이정 묵죽도 조선, 16세기 말-17세기 초]

탄은 이정은 세종대왕의 고손으로 시와 서예, 그림에 모두 뛰어났던 인물이다. 특히 먹으로만 대나무를 그린 묵죽화를 잘 그려 조선 제일의 묵죽화가로 알려져 있다. 댓잎의 중간은 풍만하게 표현한 반면, 끝으로 갈수록 날카롭고 꼿꼿하게 마무리 지었는데, 이는 탄은 이정 특유의 묘사법으로 당시는 물론 후대에까지 댓잎을 묘사하는 기본 방법으로 이어져 왔다. 또한 앞쪽의 대나무는 진한 먹으로 표현한 반면 뒤에 있는 대나무들은 매우 연하게 그렸는데, 이를 통해 안개가 자욱한 가운데 신비롭게 서있는 대나무의 모습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였다. 현재 남아 있는 이정의 대나무 그림 중 대표작으로 손꼽히는 작품이다.

출처:리움미술관


[이하응 묵란도 대련 조선, 1888년]

흥선대원군이라는 호칭으로 더욱 잘 알려진 석파 이하응은 조선말 권력의 부침을 겪었던 정치가이기도 했지만, 그림도 잘 그리는 문인 화가였다. 특히 난초 그림을 잘 그려 그가 그린 난초를 호를 따서 ‘석파란(石坡蘭)’이라 따로 부르기도 한다. 이하응의 난초 그림은 잎의 굵고 얇은 변화가 심하고 끝이 송곳처럼 뾰족하고 날카로운 것이 특징이다. 이 작품은 두 폭이 한 작품으로 되어 있는 대련으로, 바위 위에 피어난 석란(石蘭)을 그린 것이다. 거친 바위 위 날카롭게 피어난 이하응 특유의 난초가 서로 조화롭게 어우러져, 난초 그림의 대가였던 이하응의 능수능란 묘사력을 엿볼 수 있다.

출처:리움미술관


[정선 노백도 조선, 18세기 전반]

예로부터 소나무와 잣나무는 불의에 굴하지 않는 지조와 연륜을 상징하여, 나이든 사람들에게 선물로 드리는 그림의 주제로 많이 활용되었다. 늙은 잣나무를 그린 이 작품도 그러한 의미로 그려진 것으로 실제 화면 위에 쓰여 있는 글에 받는 이들의 장수를 축원하는 내용이 있다. 화면 가득 나무 등걸을 휘몰아 치듯 표현하였는데, 이는 대표적인 한자의 서체 중 하나인 초서(草書)로 ‘목숨 수(壽)’자를 표현한 것이다. 작가인 겸재 정선은 우리나라 산천을 그린 진경산수화가이나 나무 그림은 몇 점 남아 있지 않다. 정선의 몇 안되는 나무 그림이자 잣나무가 지닌 상징성을 표현한 점 등 다양한 의미가 있는 작품이다.

출처:리움미술관


[정조 어필 조선, 1792년]

조선의 왕인 정조(正祖)의 친필 글씨로 어려서부터 자신을 보좌했던 신하에게 보낸 시이다. 내용을 살펴보면 김종수와 정민시에게 이 시를 내려주고, 세상을 떠난 서명선의 집에는 제사를 위한 술을 보내준다고 되어 있다. 이들은 정조가 할아버지 영조의 뒤를 이어 왕을 계승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인물들로, 정조는 즉위 후 이들과 모임을 만들어 깊게 교류했다. 정조는 서예에 대한 관심이 각별했던 왕으로 여러 서예가들의 작품에 대해 품평을 하기도 하였으며, 본인 자신도 다양한 서체의 작품들을 많이 남겼다. 특별히 기교를 부리지는 않았으나 자연스러운 필치로 썼으며, 내용도 신하를 아끼는 솔직한 마음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출처:리움미술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