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3. 17. 06:18ㆍ바롱이의 쪽지/서울
"독립 정신이 살아 숨쉬는 유서 깊은 곳"
[사적 서울 탑골공원]
조선시대 원각사터에 세운 서울 최초의 근대식 공원으로 파고다 공원이라고도 불리운다.
원각사는 고려 때 흥복사라 불린 절로, 조선 전기에 절을 넓히면서 원각사로 이름을 바꾸었다. 그러나 불교를 억누르는 정책으로 인해 연산군과 중종때 절이 폐사되었다. 그 후 영국인 브라운의 건의로 이곳에 서양식 공원을 세웠으나, 그 이유와 시기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없다.
공원 안에는 원각사지 10층석탑(국보 제2호)과 원각사비(보물 제3호)가 있다. 또한 독립선언문을 낭독하고 만세를 부른 팔각정·독립만세 부조판·손병희 선생의 동상들도 있다.
1919년 3월 1일 처음으로 독립선언문을 낭독하고 독립만세를 외친 3·1운동의 출발지로서, 우리 민족의 독립 정신이 살아 숨쉬는 유서 깊은 곳이다.
[영문 설명]
The first modern park was called Pagoda Park and was built at the site of Wongaksa Temple in Seoul.
Initially, Wongaksa Temple was called Heungboksa Temple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was extended and renamed Wongaksa Temple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Due to the Joseon Dynasty’s fundamental policy of suppressing Buddhism, however, the temple was shut down during the reigns of King Yeonsangun and King Jungjo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a Western-style park was developed at the site in accordance with the suggestion by a British man named Mr. Brown, but no written material exists as to the reasons for the establishment or when it was built.
In the park are important cultural assets such as the Ten-story Stone Pagoda at the Wongaksa Temple Site (National Treasure No. 2) and the Stele for the Construction of Daewongaksa Temple at the Wongaksa Temple Site (Treasure No. 3).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ople made declarations for Korea’s independence at Palgakjeong, a pavilion of the park. In the park are other cultural heritage items, too, such as an embossed carving about the people and leaders making the declaration and a statue of Son Byeong-hui, a leader of the movement.
On March 1, 1919, Korea’s independence was declared for the first time in the park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developing into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cross the nation. As such, this park holds very important historical meaning for Koreans.
출처:문화재청
"탑골공원 삼일문"
"손병희 선생 동상"
[보물 서울 원각사지 대원각사비 (서울 圓覺寺址 大圓覺寺碑) Stele for the Construction of Daewongaksa Temple at Wongaksa Temple Site, Seoul]
원각사의 창건 내력을 적은 비로, 조선 성종 2년(1471)에 건립되었다. 원각사는 탑골공원 자리에 있던 절로 조선시대 태조가 한양에 도읍을 정할 때 조계종의 본절로 세웠다. 조계종이 없어지자 관아로 사용되다가 세조가 간경도감에서『원각경(圓覺經)』을 번역하고, 회암사 사리탑에서 사리를 나누어온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이곳에 다시 원각사를 짓고 10층 사리탑을 세웠다.
비는 머릿돌을 따로 얹지 않고 비몸돌 위를 두 마리의 용이 감싸듯 표현되어 있어 복고적인 형식을 따르고 있다.
비를 지고 있는 돌거북은 둔중한 몸체로 머리는 목을 표현하지 않고 앞으로 나와 있다. 등무늬는 육각형이 아닌 사다리꼴 평행세선을 새겼으며, 등 중앙에는 연잎조각을, 꼬리와 다리에는 물고기 비늘을 조각해 놓아 조선시대 조각미의 독특한 형태를 잘 보여주고 있다.
비몸돌 위로는 보주(寶珠:연꽃봉오리모양의 장식)를 드는 두 마리의 용이 조각되었으며, 조각 아래의 가운데에는 ‘대원각사지비 (大圓覺寺之碑)’라는 비의 이름이 강희맹의 글씨로 새겨져 있다.
비문은 당대 명신들이 짓고 썼는데, 앞면의 비문은 김수온, 성임, 뒷면의 추기는 서거정, 정난종이 각각 짓고 썼다.
[영문 설명]
This stele, inscribed with details concerning the foundation of Wongaksa Temple, was erected in 1471 (the 2nd year of the reign of King Seongjong of the Joseon Dynasty). Originally occupying the site of the present-day Tapgol Park in Seoul, Wongaksa Temple was built as the main temple of the Jogye Order when King Taejo, the founder and first king of the new Joseon Dynasty, decided to use Seoul as his capital. However, following the disappearance of the Jogye Order, the temple building began to be used as a government office. The temple was later rebuilt to commemorate the translation of Mahavaipulya-purnabudha Sutra by the Gangyeongdogam (Directorate of Buddhist Publications) and the acquisition of sarira from the stupa at Hoeamsa Temple. A ten-story stone pagoda was also built at the site around the same time.
The stele follows the traditional style, in which the top of the stele (without a roof stone) is decorated with two dragons as if wrapped around its main body.
The stone base of the stele resembles a tortoise with a heavy body and protruding head, and features a trapezoidal - rather than the more typical hexagonal - pattern on its back. The lotus leaves engraved on the middle of the back, and the fish scales on the tail and legs exhibit the unique beauty of sculptural works of the Joseon Dynasty.
The top of the main stone is carved with an image of two dragons supporting a large lotus bud, beneath which the name of the stele (Daewongaksajibi) is inscribed in the calligraphic style of Gang Hui-maeng, a renowned calligraphic artist of the era.
The stele’s inscriptions were composed by famous scholars such as Kim Su-on and Seong Im, who wrote those on the front, and Seo Geo-jeong and Jeong Nan-jong, who wrote those on the back.
출처:문화재청
"보물 서울 원각사지 대원각사비"
[발굴출토 우물 The Excavated Well]
2001년 탑골공원 재정비(성역화) 사업으로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시행한 시굴조사 때 발견된 우물 가운데 하나이다. 우물은 원통형으로 직경 1.3m이며 잔존 깊이는 5.2m에 달한다. 내부는 회색을 띤 직사각형 벽돌을 사용하여 면을 고르게 축조하였다. 발견 당시 우물 내부는 바닥까지 모래와 마사토로 채워져 있었기 때문에 일시에 폐기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안에서 일본 동전과 상평통보, 일본산 맥주병 등이 발견되고, 벽돌이란 사용재료, 그리고 축조방법으로 미뤄 조선말기(대한제국기)에 조성한 뒤 일제강점기까지 사용된 우물로 판단된다.
시굴조사 전에는 우물 상부에 보호용으로 추측되는 장대석으로 사각형 틀을 짜서 올려뒀었는데 수리하면서 지금 모습처럼 만들었다. 서울 4대문 안에서 민간용 우물이 발견된 사례가 드문게 비출 때 이 우물은 조선후기 한양의 생활사 연구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팔각정"
"국보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국보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탑골공원의 석재유구 Stone Relics in Tapgol Park]
탑골공원 내에 모아둔 여러 석물들은 이 일대의 도시개발과정에서 출토되었던 부재들이다. 이 중 대리석으로 된 인물상(3점)은 원각사 탑(圓覺寺塔)의 주위를 호위하던 신장상(神將像)이나 보살상(菩薩像)으로 추정되고, 연화문(蓮花紋)이 새겨진 난간석(石)은 원각사 탑 외곽을 둘린 부재가 아닌가 여겨진다.
“복청교(福淸橋)"라고 음각된 교명주(橋名柱)가 보이는데, 복청교는 원래 교보문고 뒷편인 광화문우체국 북측지점에 있었던 혜정교(惠政橋)인데, 탐관오리를 공개적으로 처형하던 다리로써 중학천(中學川)이 청계천(淸溪川)으로 합류하기 전의 중학천 하류에 걸쳐져 있었다. 일제강점기하(1926)에 혜정교를 개축하면서, 다리이름을『복청교』라고 새로이 개명(改名)하면서 만든 교명주로 보인다.
나머지의 여러 석재들은 도성 내에 가설되어 있었던 옛 돌다리의 부재 (귀틀석 16점, 멍에서 1점, 엄지기둥 1점 등)들이 대부분이다. 현재 이곳에 모아둔 각종 석물들은 출처를 정확히 알 수 없는 형편이나, 전통석조물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탑골공원사적비"
"삼일정신찬양비"
"독립만세 부조판"
'바롱이의 쪽지 > 서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그렇게 노숙자가 되었다? (0) | 2023.06.12 |
---|---|
한양의 심장, 운종가&피맛골 (0) | 2023.03.30 |
천연기념물 서울 재동 백송 겨울 나기 (0) | 2023.03.09 |
대한민국 헌법재판 전담 최고법원, 헌번재판소 (1) | 2023.03.08 |
NH농협은행 종로금융센터&이문설렁탕 (0) | 2023.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