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2. 19. 09:55ㆍ바롱이의 쪽지/서울
[보물 안중근의사 유묵 - 극락 (安重根義士 遺墨 - 極樂) Calligraphy by An Jung-geun]
「안중근의사유묵-극락(安重根義士遺墨-極樂)」은 안중근(安重根:1879∼1910) 의사가 1909년 10월 26일 만주 하얼빈 역에서 조선 침략의 원흉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사살한 뒤 여순감옥(旅順監獄)에서 1910년 3월 26일 사망하기 전까지 옥중에서 휘호한 유묵을 일괄ㆍ지정한 것 중의 하나이다. 일괄 지정된 이 작품들은 1910년 2월과 3월에 쓴 것으로 글씨 좌측에 “경술이(삼)월, 어여순옥중, 대한국인안중근서(庚戌二(三)月, 於旅順獄中, 大韓國人安重根書)”라고 쓴 뒤 손바닥으로 장인(掌印)을 찍었다.
글씨 내용은 「논어(論語)」ㆍ「사기(史記)」 구절 등 교훈적인 것이 많으며, 자신의 심중을 나타낸 것, 세상의 변함을 지적한 것, 일본에 경계하는 것, 이밖에 어떤 사람의 당호(堂號)를 써준 것 등이다.
유묵 대부분은 당시 검찰관, 간수 등 일본인에게 써준 것들이다. 그중 "안중근의사유묵-욕보동양선개정계시과실기추회하"는 러일전쟁 때 종군했다가 전쟁이 끝난 뒤 여순감옥에서 근무했던 사람[오리타타다스(折田督)]이 받은 것으로, 8ㆍ15 광복으로 그의 가족들이 일본으로 귀국할 때 조카[오리타간지(折田幹二)]에게 넘겨주었고, 그것이 1989년 2월 20일 단국대학교에 기증되었다. 또 "안중근의사유묵-언충신행독경만방가행"는 안의사 수감 당시 여순감옥에서 경관을 지냈던 이의 손자[야기마사즈미(八木正澄)]가 2002년 10월에 안중근의사숭모회에 기증한 것이다. 또 "안중근의사유묵-국가안위노심초사", "안중근의사유묵-위국헌신군인본분"는 앞쪽에 “야스오까 검찰관에게 증여한다(贈安岡檢察官)”라고 적었듯이 당시 관련했던 검찰관에게 써준 것이다.
유묵 대부분은 당시 검찰관, 간수 등 일본인에게 써준 것들이다. 그중 제569-21호는 러일전쟁 때 종군했다가 전쟁이 끝난 뒤 여순감옥에서 근무했던 사람[오리타타다스(折田督)]이 받은 것으로, 8ㆍ15 광복으로 그의 가족들이 일본으로 귀국할 때 조카[오리타간지(折田幹二)]에게 넘겨주었고, 그것이 1989년 2월 20일 단국대학교에 기증되었다. 또 569-25호는 안의사 수감 당시 여순감옥에서 경관을 지냈던 이의 손자[야기마사즈미(八木正澄)]가 2002년 10월에 안중근의사숭모회에 기증한 것이다. 또 제569-22, 23호는 앞쪽에 “야스오까 검찰관에게 증여한다(贈安岡檢察官)”라고 적었듯이 당시 관련했던 검찰관에게 써준 것이다.
출처:국가유산청
極樂
극락
Paradise
1910.3. | 보물
안중근의사숭모회
극락은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을 가리키는 불교 용어이다. 종교를 뛰어 넘어 모든 사람들의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을 꿈꾼 안중근 의사의 마음이 표현된 글씨가 아닐까 생각된다.
天堂之福
천당지복
永遠之樂
영원지락
The Bliss of Heaven is an Eternal Joy
1910.3.
안중근의사숭모회
"천당의 복은 영원한 즐거움이다."
천주교인 안중근 의사의 신앙심을 느낄 수 있는 글씨이다. 안중근 의사는 1897년 세례를 받은 이후 독실한 신앙심을 지니고 살았다. 유일하게 남아 있는 안중근 의사의 인장에는 "CORÉE AN THOMAS"라는 세례명과 함께 태극기와 십자가가 새겨져 있는데, 한국인이자 천주교 신자였던 안중근의사의 정체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바롱이의 쪽지 > 서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물 안중근의사 유묵 – 인무원려난성대업 (1) | 2024.12.22 |
---|---|
안중근 가문 (2) | 2024.12.21 |
보물 안중근의사 유묵 - 세한연후지송백지부조 (0) | 2024.12.17 |
보물 안중근의사 유묵 - 황금백만냥불여일교자 (2) | 2024.12.16 |
왕눈이차를 알까요? (3) | 2024.12.13 |